$\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학습동기, 핵심역량, 시간관리, 진로태도성숙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Program for Freshmen of Nursing College: Focusing on Learning Motivation, Core Competence, Time Management, Career Attitude Maturit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8, 2018년, pp.331 - 341  

박주영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  임효남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  김두리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 입학예정인 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다양한 교육전략 및 정책수립에 활용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현황조사 및 문헌고찰을 통해 프로그램의 내용에 학습역량, 자기주도적 역량, 사회적 역량이 증진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내용을 전문가들에게 내용타당도를 수행하였다. 개발된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은 간호대학 입학예정학생 121명에게 3주간 진행되었다. 그 결과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 수행 전 보다 후에 학습동기, 핵심역량, 시간관리, 진로태도 성숙이 증가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4주 후에도 학습동기(F=3.45, p=.033), 핵심역량(F=7.35, p=.001), 시간관리(F=9.80, p<.001), 진로태도성숙(F=19.83, p<.001)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이 전공수업과 달리 다양한 학습전략을 포함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학습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자기주도적 학습방법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learning motivation program and to test its effect to provide basic data to be used for freshmen who are going to enter nursing college and various educational strategies and policies for successful university life. In order to develop the program, the co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 입학예정인 신입생의 전문직관정립과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다양한 교육전략 및 정책수립에 활용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가 진행되었다.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현황조사 및 문헌고찰을 통해 프로그램의 내용에 학습역량, 자기주도적 역량, 사회적 역량이 증진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내용을 전문가들에게 내용타당도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 입학예정 신입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 적응과 바람직한 전문직관 정립을 위한 목적으로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두 부분으로 나누어 수행되었다. Fig.
  • 본 연구는 간호대학 입학예정인 신입생의 전문직관 정립과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다양한 교육전략 및 정책 수립에 활용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는 것으로써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 입학예정인 신입생의 전문직관정립과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다양한 교육전략 및 정책수립에 활용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두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가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총 3주간의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반복측정 유사실험연구설계(One group repeated measure design)이다.
  • 본 연구의 논의에서는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이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습동기, 핵심역량, 시간관리, 진로태도 성숙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논의하고자 하며, 이를 바탕으로 추후 간호대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교육전략 및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특히 최근 간호계에서 대두되고 있는 심각한 문제로서, 신규간호사들이 임상현장에 투입되어 현실충격을 극복하지 못하고 전문직 사회화를 이루지 못한 채 조기 사직을 하는 비율이 급증하는 것을 고려할 때 대학 신입생때부터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동기와 핵심역량 및 시간관리 향상과 바람직한 진로준비를 위한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돕는 전략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간호학 전공 대학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총 3주간의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을 위해 학과단위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습동기, 핵심역량, 시간관리,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서 향후 간호학 전공 학생들의 전문직관 정립과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다양한 교육전략 및 정책 수립에 활용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가설 설정

  • 3.2.1 제 1가설: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대학 신입생은 경험 전 보다 학습동기 수준이 증가할 것이다.

  • 3.2.2 제 2가설: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대학 신입생은 경험 전 보다 핵심역량 수준이 증가할 것이다

  • 3.2.3 제 3가설: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대학 신입생은 경험 전 보다 시간관리 수준이 증가할 것이다.

  • 3.2.4 제 4가설: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에 참여한 간호대학 신입생은 경험 전 보다 진로태도성숙 수준이 증가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입시위주의 교육은 학습동기가 어떻게 유지되는 경향이 있는가? 우리나라 대학교 신입생의 특징은 획일적인 입시공부의 강요와 의지와 무관한 진로를 선택 하게 되는 입시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교사와 부모의 기대나 압력으로 학습동기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대학생 스스로 학습동기를 확립할 수 있는 기회가 없고 그 전략 또한 구체적이지 못하다[5].
대학 신입생들이 갈등과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하여 많은 대학들에서 무엇보다 재학생 뿐 만 아니라 신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초점을 두어 오리엔테이션을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다[3]. 특히 대학 신입생들은 치열한 입시경쟁 속에서 지내다가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대학생활을 바로 시작하면서 경험하는 갈등과 어려움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4]. 즉, 성공적인 학습, 핵심역량 달성, 시간관리 향상과 바람직한 전문직관 정립을 통한 진로태도성숙 등에서 스스로 선택하고 책임지는 대학생활은 대부분의 신입생들에게 성장의 기회이지만 동시에 부담이 되는 시기이다.
대학생 스스로 학습동기를 확립할 수 있는 기회가 없고 그 전략 또한 구체적이지 못하여, 국내 대학에서 운영한 예시는 무엇인가? 국내 일 대학에서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적 학습과 진로 설계를 할 수 있도록 학습동기를 유발하여 대학생활에 조기 적응을 돕기 위한 독립된 학기를 운영해 오고 있다. 대학단위와 학과단위의 동기유발 학기(Motivation Semester) 프로그램으로써[6] 2011년에 시범사업을 거쳐 2012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하여 매년 세부 프로그램의 재구성과 재조정을 통해 전공학과별로 특성화를 이루고 있다. 이는 대학 신입생들에게 고등학교와 대학을 이어주는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간을 부여하면서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고 도움을 주기 위해 설계되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orea Higher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2016). KHEI Statistics. [Online], 17(3). http://khei-khei.tistory.com 

  2. Ministry of Education. (2016). Brief Statistics on Korean Education. [Online], http://kess.kedi.re.kr 

  3. M. J. Keum & H. J. Nam. (2010). College Freshmen's Expectations about College Life and Their Mental Health Status. J Hum Underst Couns, 31(1), 105-127. 

  4. Y. K. Kwag. (2013). Effect of Self-Esteem,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5), 2178-2186. DOI : 10.5762/KAIS.2013.14.5.2178 

  5. E. Y. Kim. (2006).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motivation regulation training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6. W. S. Han, J. K. Kim & H. K. Lee. (2013). Effects of the "Motivation Semester" Program among University Freshmen : Focused on K-Universit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7), 522-530. DOI : 10.5392/JKCA.2013.13.07.522 

  7. I. S. Choi. (2014). A Longitudinal Study on Motivation Semester of K University : Focused on College of Busines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4(2), 247-256. DOI : 10.14257/AJMAHS.2014.12.24 

  8. E. J. Yeun & Y. M. Kwon. (2007). A Correlation Study on Nursing Professional Values, Department Satisfaction, Sociality, Self-Esteem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3), 285-292. 

  9. Y. J. Ko & I. K. Kim.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Nursing Valu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1), 62-71. 

  10. Y. M. Go & Y. E. Yoo. (2014). Effects of a Self-Leadership Lecture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of Freshmen Majoring 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8(5), 541-560. 

  11. K. H. Kang. (2013). Change of Learning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a Motivational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1), 128-134. DOI : 10.5762/KAIS.2013.14.1.128 

  12. J. R. Lee, S. J. Lee, H. H. Kwon & G. H. Lee. (2011). The Effect of Basic Mathematical Ability Improvement Program on Scholastic Achievement and Scholastic Motivation-A Case Study on Engineering Freshmen in D University.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5(1), 167-184. 

  13. M. A. Lee & S. D. Lee. (2013). The Effects of Freshmen's University Adaptation Program Organized into the Regular Curriculum and Improvement Methods. The Journal of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13, 111-120. 

  14. S. D. Kim. (2016). A Study on Exploring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of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for Improving Learning Ability of Freshmen-Focused on the D-University Case-.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1(1), 1-16. 

  15. S. J. Han. (2013a). The Influence of Major Orientation o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Efficacy of Freshman in Nursing Students.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Conference, 2013(5), 119-119. 

  16. I. Y. Kym. (2016). Using SBI Model to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English Major Studen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4(1), 73-99. 

  17. J. S. Park, K. S. Back & B. N. Park. (2009). A Study on the Effects of Career Guidance Program on Learning Motivation, a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Self-efficacy for Nursing College Freshman. Journal of College Education, 10(3), 173-184. 

  18. P. R. Pintrich, D. A. F. Smith, T. Garcia & W. J. McKeachie. (1993). Predictiv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3, 801-813. DOI : 10.1177/0013164493053003024 

  19. M. H. Kang, H. O. Heo, I. H. Jo, J. H. Shin & J. H. Seo. (2010). Developing an Educational Performance Indicator for New Millennium Learners.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43(2), 157-170. DOI : 10.1080/15391523.2010.10782567 

  20. E. H. Kim. (2014). Readiness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for the core competencies in the 21st century.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1. Y. O. Youn.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manage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the students at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eoul. 

  22. C. H. Seo. (1997).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ime management strategies and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teachers.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23. O. S. Kim. (2005). Comparative Study on the Time Management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2005(1), 87-98. 

  24. H. Y. Chae. (2005). Workers' types on time management behavior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5. K. H. Lee & J. C. Han. (1997). A Questionnaire for Validity of Career Attitude Questionnaire.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al Research, 8, 219-255. 

  26. S. M. Han. (2006). Development and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y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Asian Journal of Education, 7(3), 1-30. 

  27. I. H. Jo & Y. H. Kim. (2014).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s, Cognitive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s.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5(2), 77-98. DOI : 10.15854/jes.2014.06.45.2.77 

  28. H. Y. Kim, S. Y. Kim, H. W. Seo & E. H. So. (2011). Time Management Behavior and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3), 293-300. 

  29. I. J. Seo & K. J. Doo. (2007). The Effect of Time Management Behaviors on the Satisfaction of Time Management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5(6), 21-131. 

  30. C. K. Yoon & H. N. Lee. (2003). A Study on the Job Stress of Nurses in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tatistics, 28(2), 95-109. 

  31. S. J. Han. (2013b). 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Attitude Maturity in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5), 559-566. DOI : 10.7475/kjan.2013.25.5.5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