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사회 영재의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예비 연구 - 현장 영재교사의 인식 중심으로
A Pilot Study on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for the Gifted in Future: Focused on Perception of Gifted Teacher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0 no.3, 2010년, pp.681 - 701  

박경빈 (경원대학교) ,  이미순 (대구대학교) ,  전미란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현장교사를 중심으로 미래사회 영재를 위한 '창의 인성 교육의 개념,' '창의 인성 교육방안,' 그리고 '창의 인성 교육지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현장교사들은 종래의 인지중심의 영재교육에서 탈피하여 미래사회 발전에 이바지 하는 창의적인 사회적 자본(사회적 + 도덕적 리더)을 양성하는 교육으로 창의 인성 교육을 개념화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현장교사들은 창의 인성 교육방안으로 미래사회 지향적인 교육방안 즉, 사회적 민감성을 신장하는 교육과 창의성 및 리더십 교육을 언급하고, 실제 귀납적인 교육과정을 통해서 영역-특수적인 영재성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그러나 현장교사는 미래사회 영재를 위한 창의 인성 교육을 별도로 전개하기 보다는 정규 학교교육과 연계하여 전개해야 한다고 하면서, 창의 인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함양과 교사 전문성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of gifted teachers toward 'conception of creativity personality education,' 'methodology of creativity personality education,' and 'support of creativity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future gifted education. As a result, gifted teachers conceptualized creativity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미래사회 영재를 위한 창의·인성 교육방안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기에 앞서 창의·인성 교육의 필요성 및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현장 영재교사의 인식을 연구함으로써, 미래사회 영재를 위한 창의·인성 교육을 지향하도록 사회 및 학계의 관심과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미래사회 영재를 위한 창의·인성 교육방안 연구」의 델파이 조사 결과(박경빈, 전미란, 이미순, 2010)를 기초로 영재교육 현장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장교사가 ‘창의·인성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경우, 다시 미래사회 영재를 위한 창의·인성 교육의 개념을 질문하였다.
  • 이에 미래사회 영재를 위한 창의·인성 교육방안에 대한 연구는 창의·인성 교육 대상자 선발 및 교육과정은 물론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미래사회가 영재에게 요청하는 역할과 자질을 함양할 수 있도록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다.
  • 첫째, 본 연구는 선행 델파이 연구(박경빈 외, 2010)를 기초로 영재교육 현장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으나, 아직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정의 및 개념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한 연구였다.
  • 특히, 본 연구는 미래사회 영재를 위한 창의·인성 교육을 ‘능동적으로 지식을 창출하며 공동체 속에서 타인을 배려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으로 그 개념을 도출하였다.
  • 게다가 기업체 및 과학 연구기관의 기술과 산업이 고도로 발전하면서 점차 팀워크가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 명의 뛰어난 영재의 역량 그 자체뿐 아니라, 여러 영재들의 역량을 협조적으로 조직하는 조직관리 시너지 효과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가설 설정

  • 셋째, 영재의 모델로서 영재교사에게 기대하는 역할이다. 미래사회는 영재에게 미래를 통찰하고 사회에 비전을 제시해 주기를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성이란 무엇인가? 미래사회에 대한 공감과 협조적인 조직관리 시스템에서 중요한 요건은 바로 인성이다. 인성이란 학습하는 능력과는 구분되는 것으로서 자신과 타인의 내적 상태, 동기, 행동들을 인지하고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행동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인성은 자신과 타인의 내적 상태를 인지하고 이에 기초하여 감정과 정서를 조절하며, 감정이나 기분 상태를 보다 적응적인 상태로 조절하여 처리함으로써 특정 목표에 도달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영재교육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영재교육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수많은 정보로 인한 혼란과 정보의 빈익빈부익부(貧益貧富益富) 현상, 지구촌이라는 말이 낯설지 않는 시대에서 그 어느 때보다도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강조하게 되었다. 세계 여러 나라들이 앞 다투어 영재교육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영재교육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 것도 국제사회에서 경쟁우위를 획득하여 자국의 번영을 도모하고, 변화를 주도하는 미래의 인적 자원으로서 영재를 육성하려는 이유 때문이다. 즉, 영재들이 지식과 예술의 생산자로서 미래사회의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도록 인적 자원을 구축하는 것이다(Renzulli, 2003, 2004).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현장교사를 중심으로 미래사회 영재를 위한 '창의 인성 교육의 개념,' '창의 인성 교육방안,' 그리고 '창의 인성 교육지원'에 대한 인식을 조사 한 결과는? 본 연구는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현장교사를 중심으로 미래사회 영재를 위한 '창의 인성 교육의 개념,' '창의 인성 교육방안,' 그리고 '창의 인성 교육지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현장교사들은 종래의 인지중심의 영재교육에서 탈피하여 미래사회 발전에 이바지 하는 창의적인 사회적 자본(사회적 + 도덕적 리더)을 양성하는 교육으로 창의 인성 교육을 개념화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현장교사들은 창의 인성 교육방안으로 미래사회 지향적인 교육방안 즉, 사회적 민감성을 신장하는 교육과 창의성 및 리더십 교육을 언급하고, 실제 귀납적인 교육과정을 통해서 영역-특수적인 영재성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그러나 현장교사는 미래사회 영재를 위한 창의 인성 교육을 별도로 전개하기 보다는 정규 학교교육과 연계하여 전개해야 한다고 하면서, 창의 인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함양과 교사 전문성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박경빈, 전미란, 이미순 (2010). 미래사회 영재를 위한 창의?인성 교육방안 연구. 한국창의재단. 

  2. 이형우 (2008). 불확실성 시대의 창의적 인재 키우기. 서울: 한국생산성 본부. 

  3. Ardelt, M. (1997). Wisdom and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52B, 15-27. 

  4. Dixon, F. A., & Moon, S. M. (2006). The handbook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Waco, TX: Prufrock Press. 

  5. Cantor, N. (1994). Life task problem solving: Situational affordances and personal need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0, 235-243. 

  6. Gardner, H. (1993). Multiple intelligences. NY: Basic Books. 

  7. Gardner, H. (1999). Intelligence reframed: Multiple intelligences for the 21st century. NY: Basic Books. 

  8. Gardner, H. (2006). 김한영(역)(2008). 미래마인드: 미래를 성공으로 이끌 다섯 가지 마음 능력. 서울: 재인. 

  9.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 

  10. Kekes, J. (1995). Moral wisdom and good lives.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11. Landrum, M. A., Callahan, C. M., & Shaklee, B. D. (2001). 이미순(역)(2009). 수월성 지향 을 위한 영재프로그램 기준: NAGC 유아-유치-12학년 영재프로그램 기준에 대한 주석. 서울: 박학사. 

  12. Langer, E. J. (1997). The power of mindful learning. Reading, MA: Addison-Wesley Publishing Co, Inc. 

  13. Reis, S. M. (1995). Talent ignored, talent diverted: The cultural contest underlying giftedness in females. Gifted Child Quarterly, 39, 162-170. 

  14. Renzulli, J. S. (1998). The three-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In S. M. Baum, S. M. Reis & L. R. Maxfield (Eds.), Nurturing the gift and talent of primary grade students (pp. 1-28).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15. Renzulli, J. S. (2002). Expanding the conception of giftedness to include co-cognitive traits and to promote social capital. Phi Delta Kappan, 84, 33-40, 57-58. 

  16. Renzulli, J. S. (2003). Conception of giftedness and its relationship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capital.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3rd Ed., pp. 75-99). Boston: Allyn and Bacon. 

  17. Renzulli, J. S. (2004). Expanding the umbrella: An interview with Joseph Renzulli. Reoper Review, 26, 65-67. 

  18. Renzulli, J. S., Koehler, J. L., & Fogarty, E. A. (2006). Operation houndstooth intervention theory: Social capital in today's schools. Gifted Child Today, 29, 14-24. 

  19.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ception, 9, 185-211. 

  20. Sternberg, R. J. (1990a). Metaphors of mind: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intelligen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Sternberg, R. J. (1990b). Wisdom: Its nature, origins, and development.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Sternberg, R. J. (1998). A balance theory of wisdom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 347-365. 

  23. Sternberg, R. J. (1999). The theory of successful intelligence.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3, 292-316. 

  24. Sternberg, R. J. (2003). Wisdom, Intelligence, and Creativity Synthesize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Sternberg, R. J. (2003). 김정희(역) (2004). 지혜, 지능 그리고 창의성의 종합. 서울: 시그마 프레스. 

  26. Sternberg, R. J. (2005a). WICS: A model of giftedness in leadership. Roeper Review, 28, 37-44. 

  27. Sternberg, R. J. (2005b). The WICS model of organizational leadership. Retrieved April 10, 2010, from http://www.hks.harvard.edu/leadership/Pdf/SternbergWorkingPaper.pdf. 

  28. Systma, R. E. (2003). Co-cognitive factors and socially-construction giftedness: Distribution, abundance, and relevance among high stud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onnecticut, Storrs, CT. 

  29. Varela, F. J. (1999). Ethical know-how: Action, wisdom, and cognition.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