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of Affecting Career Decision Making in the Science-Gifted Undergraduate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0 no.3, 2010년, pp.921 - 946  

양태연 (인천대학교) ,  한기순 (인천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진로결정의 패턴과 경로를 살펴봄으로써 과학영재의 진로결정 모형을 구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대학생 과학영재들의 진로결정을 부모(부모의 사회적 지지), 학교(대학생활스트레스, 대학생활 적응), 개인특성(문제해결 능력, 진로결정 효능감, 전공선택 확신)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를 위한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2002, 2003년도에 교육을 받은 수료생 93명과, 대통령 과학 장학생에 선정되어 장학금을 받고 있는 국내외 대통령 장학생 264명 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는 부모의 사회적 지지검사, 문제해결능력 검사, 대학생활 스트레스 검사, 대학생활 적응 검사, 진로결정 효능감 검사, 전공선택 확신 검사이며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Program과 AMOS Program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결정 구조모형적합도는, TLI=.928, CFI=.941, RMSEA=.059로 연구모형이 대학생 과학영재 집단에 수용되는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론적 탐색을 바탕으로 세운 가설이 하나의 경로를 제외하고는 모두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영재들의 진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진로결정을 돕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체제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model of career decision in the science-gifted by exploring factors of having influence upon career decision in the science-gifted undergraduates of our country, and by examining pattern and path of career decision. By suggesting a model of structure, which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의 인지적 및 환경적 변인들을 탐색하는 연구들은 있지만, 영재들을 대상으로 진로결 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본 연구는 극히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과학영재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탐색하 고, 진로결정 패턴과 경로를 살펴봄으로써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결정 모형을 구안하 고자 한다.
  • 과학영재들의 진로과정을 연구하면서 어떠한 요인이 진로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쳤 는지를 조사한 연구들(Subotnik, Duschl, & Selmon, 1993; Subotnik & Steiner, 2001)을 살 펴보면 과학을 떠난 집단과 떠나지 않은 집단의 가장 큰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과학을 떠난 집단은 만족스럽지 못한 수업과 교육환경, 그리고 실제로 연구할 기회가 없었던 것, 멘토의 부재로 인하여 정서적, 정보적 지원을 받지 못한 것에 대해 이야기 하였다. 반대 로 과학계에 남아 있는 집단의 경우 실제로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연구 경험이 풍부하였 고, 학교의 장비나 시설 사용 등 연구 환경이 뒷받침 되어 있었다.
  •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결정 구조모형에 포함된 각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 산출과 상관관계 분석, 수집된 자료가 정규성을 만족시키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왜도와 첨도를 검토하였다. 또한 대학생이 된 과학영재의 진로결정 구조모형이 수용되는지를 보기 위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잠재변인간 경로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이때 추정방법은 최대우 도법을 사용하였다.
  • 이에 대학생활 적응 → 진로결정 효능감 간의 경로를 제거하 여 최종 수정모형을 제시하였다.
  • 이 연구는 대학생이 된 과학영재들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고, 요인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대학생 과학영재들의 진로모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하였다. 이는 과학영재들이 진로를 선택하고 결정하는 것을 돕는 이론적, 실천적 토대를 마련하는데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로선택과 계획이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의 고민과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고 있는 이유는? 영재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이 그렇듯이 생애에서 진로선택과 계획은 가장 중요한 사 건 중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의 고민과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고 있다 (Barker & Kellen, 1998). 이는 진로문제가 특정한 대상이나 시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 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전 생애에 걸쳐 고민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대학 신입 생 1,6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결과(숙명여대 학생생활상담소, 2008)에 의하면, 대 학생활에서 가장 심각하게 생각되는 문제로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32.
영재들이 진로 결정시 특별한 조언을 필요로 하는 이유는? 이렇듯 영재들은 조숙한 진로 성숙도, 직업에 대한 구체적 지식, 높은 열망 때문에 진로 결정시 특별한 조언을 필요로 하며 이른 청소년기 때부터 체계적인 직업 탐색과 계획을 하게 함으로써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Kelly, 1994). 또한 전문가들은 영재들에 게는 고등학교에서 제공하는 일상적인 진로 상담이 아닌 구체적인 직업정보를 보다 일 찍 소개해 줄 필요가 있으며, 대학 및 대학원의 교육과정을 계획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야 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진로발달의 지속시기는? 그러나 불행하게도 현재 성인이 된 영재들 대부분이 청소년 기때 받았던 진로 상담이나 미래 직업에 대한 조언이나 지도 등이 만족스럽지 못했다 고 밝히고 있다(Montgomery & Benbow, 1992). 진로발달은 유년시절 초기부터 성인기 까지 지속되는 과정이며 영재들에게도 자신의 능력을 인식하고, 흥미를 이해하고, 자신을 기다리고 있는 가능성의 범위에 노출되도록 도움을 주는 진로지도가 필요하다. 하지 만 우리나라의 경우 영재아들에 대한 진로지도는 학교나 또는 영재교육을 시행하고 있 는 영재교육기관에서 조차도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5)

  1. 고향자 (1992).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결정 상담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2. 김성경 (2003).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0(2), 215-237. 

  3. 김진용 (2008). 이공계 박사의 노동시장 특성과 유동성 분석 - 우리나라와 OECD 7개국간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4. 박인호 (2008a). 핵심과학기술인력의 효과적인 발굴.육성을 위한 제도 구축 방안 연구. 서울: 한국과학재단. 

  5. 박인호 (2008b). 해외 우수 신진인력의 국내 유치 및 활용을 위한 제도 구축 방안 연구. 서울: 한국과학재단. 

  6.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7. 배병렬 (2009).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8. 숙명여자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2008). 2008년도 신입생 실태 조사 분석. 학생생활연구, 31집. 

  9. 양태연, 한기순, 박인호 (2007).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들이 인식하는 영재교육의 의미. 영재교육연구, 17(3), 463-492. 

  10. 오헌석, 최지영, 최윤미, 권귀헌 (2007). 과학인재의 성장 및 전문성 발달과정에서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907-918. 

  11. 유계식, 이재창 (1997). 대학생의 성공공포와 성취동기 및 성역할정체감이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9(1), 259-288. 

  12. 윤진 (2001). 과학관련 진로선택 요인들의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3. 이석재 (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 연구 :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보고서. 

  14. 이숙정, 유지현 (2008).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22(3), 589-607. 

  15. 이은경 (2000).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6. 이인혜 (1999). 스트레스 및 대처가 신체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 학회지: 건강, 4(1), 80-93. 

  17. 이희영 (2003) 진로성숙과 상담. 서울: 학지사. 

  18. 장경문 (2005). 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6(1), 185-196. 

  19. 장경애 (2001). 과학자들의 진로선택과정에서 드러난 부각요인.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 조아미 (2001). 예비청소년지도자의 전공 관련 직업체험이 진로의사결정 효능감과 진로 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 청소년 연구, 12(1), 29-46. 

  21. 최해림 (1986). 한국대학생의 스트레스 현황과 인지-행동적 상담의 효과.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2.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8). 우리나라 이공계인력 현황분석. KISTEP 통계 브리프 2008-16. 한국과학기술평가원 정보분석팀. 

  23. 한기순, 양태연 (2007). 최근 국내 영재교육 연구의 흐름: 2000-2006년도 연구물 분석. 영재교육연구, 17(2), 338-364. 

  24. 홍세희 (2000). 구조 방적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25. Avison, W. R., & McAlpine, D. D. (1992). Gender differences in symptoms of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3, 77-96 

  26.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theory of behavioral changes.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27. Bandura, A. (2000). Exercise of human agency through collective efficacy.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9, 75-78. 

  28. Barker, J., & Kellen, J. (1998). Career planning: A developmental approach.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29. Betz, N. E., & Hackett, G. (2006). Career self-efficacy theory: Back to the futur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4, 3-11. 

  30. Boland, C. M., & Gross, M. U. M. (2007). Counseling highly gifted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 Mendaglio & J. S. Peterson (Eds.), Models of counseling gifted childre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pp. 153-197). Waco, TX: Prufrock. 

  31. Bright, J. E. h., Pryor, R. G. L., & Harpham, L. (2005). The role of chance events in care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6(3), 561-576. 

  32.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33. Chan, D. W. (2003). Adjustment problems and multiple intelligences among gifted students in Hong Kong: The development of the Revised Student Adjustment Problems Inventory. High Ability Studies, 14, 41-54. 

  34.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 300-314. 

  35. Coffman, D. L., & Gilligan, T. D. (2002). Social support, stress and self-efficacy: Effects on student's satisfaction. Journal of College Student Retention, 4(1), 53-66. 

  36. Colangelo, N. (2003). Counseling gifted students,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3rd Ed., pp. 373-387). MA: Allyn & Bacon. 

  37. Delisle, J., & Squires, S. (1989). Career development for gifted and talented youth: Position statement. Division on Career Development(DCD) and The Association for the Gifted(TAG). Journal of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3, 97-104. 

  38. Eiduson, B. T., & Beckman, L. (1973). Science as a career choice: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NY: Russell Sage Foundation. 

  39. Eisenberg, N., Fabes, R. A., Gurthrie, I. K., & Reiser, M. (2000). Dispositional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heir role in prediction quality of social function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1), 136-159. 

  40. Gati, I., Krausz, M., & Osipow, S. H. (1996). A taxonomy of difficulties in career decision-mak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3, 510-526. 

  41. Grant, D. F., Battle, D. A., & Heggoy, S. J. (2000). The journey through college of seven gifted females: Influences on their career related decision. Roeper Review, 22, 251-260. 

  42. Graunke, S. S., & Woosley, S. A. (2005). An exploration of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cademic success of college sophomores. College Student Journal, 39, 367-376. 

  43. Gross, M. U. M. (2004). Exceptionally gifted children (2nd Ed.). London: RoutledgeFalmer. 

  44. Harren, V. H. (1984). Assessment of career decision making.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45. Henry, P. (1999).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roblem-solving and career maturity for minority and disadvantaged premedical students. Psycological Reports, 84, 1040-1046. 

  46. Herr, E. L., & Cramer, S. H. (1992).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ough the life san: Systematic approaches (4th Ed.). NY: Harper Collins. 

  47. Holahan, C. J., Valentiner, D. P., & Moos, R. H. (1995). Parental support,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n integrative model with late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4(6), 633-648. 

  48. Jacobi, M. (1991). Mentoring and undergraduate academic success: A literature review.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1, 505-532. 

  49. Kaplan, D. S., Liu, R. X., & Kaplan, H. B. (2005). School related stress in early adolescence and academic performance three years later: The conditional influence of self expectations. School Psychology in Education, 8, 3-17. 

  50. Kelly, K. R. (1992). Career maturity of young gifted.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6(1), 36-45. 

  51. Kelly, K. R. (1994). Career planning and counseling for highly able students. In J. B. Hansen & S. M. Hoover (Eds.), Talent development theories and practice (pp. 281-296). Dubuque, IA: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52. Kelly, K. R., & Cobb, S. J. (1991). A profile of the career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young gifted adolescents: Examining gender and multicultural differences. Roeper Review, 13, 202-206. 

  53. Kerr, B. A., & Ghrist-Priebe, S. L. (1988). Intervention for multipotentiality: Effects of a career counseling laboratory for gifte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6, 366-370. 

  54. Kerr, B. A., & Sodano, S. (2003). Career Assessment with Intellectually Gifted Student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1(2), 168-186. 

  55. Larson, L. M., Toulouse, A. L., Ngumba, W. E., Fitzpatrick, L. A., & Heppner, P. P. (1994).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oping with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 91-110. 

  56. Lent, R. W., Brown, S. D., Brenner, B., Chopra, S. B., Davis, T., & Talleyrand, R. (2001). The role of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in the choice of math/science educational options: A test of social cognitive hypothes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8, 474-483. 

  57.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 (1994).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5, 79-122. 

  58. Lent, R. W., Brown, S. D., & Larkin, K. C. (1987). Comparison of three theoretically derived variables in predicting career and academic behavior: Self-efficacy, interest congruence, and consequence think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4, 293-298. 

  59. Lent, R. W., & Hackett, G. (1987). Career self-efficacy: Empirical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0, 347-382. 

  60. Leong, F. T. L., & Chervinko, S. (1996). Construct validity of career indecision: Negative personality traits as predictors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 315-329 

  61. Mau, W. (2003). Factors that influence persistence in science and engineering career aspirations.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51, 234-243. 

  62. McCracken, R. S., & Weitzman, L. M. (1997). Relationship of personal agency, problem-solving appraisal, and traditionality of career choice to women's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4(2), 149-159. 

  63. Montgomery, J. L., & Benbow, C. P. (1992). Factor that influence the career aspiration of mathematically precious females. In N. Cloangelo, S. G. Assouline & D. L. Ambroson (Eds.), Talent development: Proceedings from the 1991 Henry B. and Joycelyn Wallace National Research Symposium on Talent Development (pp. 384-386). Unionville, NY: Trillium Press. 

  64. Nauta, M. M. (2007). Assessing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academic major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5(4), 446-462. 

  65. Pascarella, E., & Terenzini, P. (1991). How college affects students: finding and insight from 20 years of research. San Fransisco: Jossey-Bass. 

  66. Subotnik, R. F., Duschl, R. A., & Selmon, E. H. (1993). Retention and attrition of science talent: A longitudinal study of Westinghouse Science Talent Search winner. International Journal Science Education, 15(1), 61-72. 

  67. Subotnik, R. F., Miserandino, A. D., & Olszewski-Kubilius, P. (1996). Implications of the Olympiad studies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talent in school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5(6), 563-573. 

  68. Subotnik, R. F., & Steiner, C. L. (2001). Adult manifestation of adolescent talent in science. Roeper Review, 15(3), 164-169. 

  69. Taylor, K. M., & Betz, N. E. (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 63-81. 

  70. Tirri, K. (2000). Finland Olympiad studies: What factor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cademic talent in Finland? Paper re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New Orleans, LA. 24-28 April 2000.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42 735) 

  71. Watters, J. J. (2010). Career decision making among gifted students: the mediation of teachers. Gifted Child Quarterly, 54(3), 222-238. 

  72. Whitmore, J. R. (1980). Giftedness, conflict, and underachievement.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73. Woolnough, B. E. (1994). Factors affecting students' choi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6(6), 659-676. 

  74. Woolnough, B. E. (1995). School effectiveness for different types of potential scientists and engineers.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13, 53-66. 

  75. Wulff, M. B., & Steitz, J. A., (1999). A path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ndecision, androgyny, self-efficacy, and self-esteem. Perceptual and Motor Skills, 88, 935-9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