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심층수 소금으로 제조한 간장의 발효기간에 따른 품질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 Made with Salts Obtained from Deep Ocean Water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7 no.6, 2010년, pp.820 - 825  

권오준 (경북전략산업기획단) ,  김미애 (경북전략산업기획단) ,  김태완 (안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대곤 (대구산업정보대학 호텔외식조리계열) ,  손동화 (대구산업정보대학 호텔외식조리계열) ,  최웅규 (포항테크노(바이오)정보지원센터) ,  이선호 (안동대학교 해양바이오산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측면에서 일반 소금보다 우수한 해양심층수 소금을 이용하여 간장을 제조한 후 발효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pH와 완충능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순추출물의 함량은 점차 증가하여 발효 120일째에 7.5%로 나타났다. 간장의 갈색화는 발효 30일 째에 대부분의 갈색화가 진행되었다. 총질소와 아미노태 질소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발효 12일째 각각 1.4%와 0.75%를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179.8~315.7 mg%가 검출되었으며, 발효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함량이 증가하였다. 발효 전 기간에 걸쳐 glutam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alanine, lysine 및 leucine의 순으로 많았다. 총 유리 아미노산에 대한 glutamic acid의 비율은 21.0~23.2%였으며,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발효 30일째에 78~142.3 mg%가 검출되었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그 함량도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 made using salts from deep ocean water; such salts are more economic to obtain than sun-dried salt. pH level and buffer action both decreased as fermentation proceeded. The content of the pure extract after 120 d of fermentation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미노태 질소는 간장의 숙성정도 및 보존기간 중의 품질평가 지표가 되는 성분으로, 아미노태 질소함량이 높은 간장이 성분과 관능적 특성에서도 좋은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에서는 간장의 제조시 경제성이 일반 소금에 비해 우수한 해양심층수 소금을 활용하여 간장을 제조하고 품질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일반 대두 간장으로 제조한 간장과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총질소와 아미노태 질소를 비롯한 결과가 모두 일반 간장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data not shown) 해양심층수 소금을 이용한 간장의 개발은 품질과 경제적 측면에서 모두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측면에서 일반 소금보다 우수한 해양심층수 소금을 이용하여 간장을 제조한 후 발효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pH와 완충능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장류가 우리 식생활에 차지하는 중요성을 고려하여 기능성 식품원료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해수를 활용하는 것 보다 훨씬 경제성이 높은 해양심층수 소금을 식품소재로 이용하기 위해 간장을 제조한 후 각종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Moon DS, Kim HJ, Shin PK, Jung DH. (2005) Characteristics of chemical contents of horizontal spray salts from deep ocean water. J. Korean Fish. Soc., 38, 65-69 

  2. Jo EJ, Shin DH. (1998)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sun-dried, refined, and processed salt produced in Chonbuk area. J. Food Hyg. Safety, 13, 360-364 

  3. Park JW, Kim SJ, Kim SK, Kim BH, Kang SG. (2000) Determination of mineral and heavy metal contents of various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442-1445 

  4. Ham SS, Kim SH, Yoo SJ, Oh HT, Choi HJ, Chung MJ. (2008) Biological activities of soybean sauce (kanjang) supplemented with deep sea water and sea tangle. Korean J. Food Preserv., 15, 274-279 

  5. Jung DH, Kim HJ, Park HI. (2004) A study on the behavior of flexible riser for upwelling deep ocean water by a numerical method. J. Ocean Eng. Technol., 18, 15-22 

  6. Lee SW, Kim HJ, Moon DS, Kim AR, Jung IH. (2007) Characteristics of tofu coagulants extracted from sea tangle using treated deep ocean water. J. Korean. Fish. Soc., 40, 113-116 

  7. Choi UK, Park JH. (2004) Evaluation of taste in kanjang made with barley bran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75-80 

  8. Han KS, Yoon SS. (1991)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al changes on the management of indigenous fermented foods in Korean famil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7, 1-9 

  9. Im MH, Choi JD, Chung HC, Lee SH, Lee CW, Choi C, Choi KS. (1998) Improvement of meju preparatio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kanjang (soy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08-614 

  10. Choi UK, Kim MH, Lee NH, Jeong YS, Kwon OJ, Kim YC, Hwang YH. (2007) The charactristics of cheonggukjang, a fermented soybean product, by degree of germination of raw soybeans. Food Sci. Biotechnol., 16, 734-739 

  11. Choi UK, Kim MH, Lee NH, Jeong YS, Hwang YH. (2007)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ju made with germinated soybean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s Sci. Technol., 39, 304-308 

  12. Kim BS, Rhee CH, Hong YA, Kwon TH, Shin MK, Kim JH, Woo CJ, Kim YB, Park HD. (2008) Changes of exzyme activ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traditional kanjang (soy sauce) during fermentation in the using Bacillus sp. SP-KSW3. Korean J. Food Preserv., 15, 293-299 

  13. Shim SL, Ryu KY, Kim W, Jun SN, SEO HY, Han KJ, Kim JH, Song HP, Cho NC, Kim KS.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herbs Ganjang. Korean J. Food Preserv., 15, 243-252 

  14. Jang DK, Woo KL, Lee SC.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s containing Shiitake mushroom (Lentinus edode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hnol., 46, 220-224 

  15. Choi UK, Kim MH, Kwon OJ, Lee TJ, Lee NH. (2007) Characterization of aroma components in barley bran sauce using statistical analysis. Food Sci. Biotechnol., 16, 23-28 

  16. Lee NH, Kang SC, Jeong HJ, Kwon OJ, Choi UK. (2006) Effective components on the taste of kanjang made with barley bran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35-42 

  17. Choi KS, Kwon KI, Lee JG, Lee RK, Choi JD, Ryu MK, Im MH, Kim KJ, Pyo YP, An YS. (2003) Effects of methods of adding barley malt in the production of kanjang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on it's chemical composition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195-200 

  18. Yoo JY, Kim HG, Kwon DJ. (1998) Improved process for preparation of traditional ka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268-274 

  19. Choi KS, Choi C, Im MH, Choi JD, Chung HC, Kim YH, Lee KS. (1998) The effects of soybean boiling waste liquor on the enhancement of lactic acid fermentation during Korean traditional kanjang mash maturing. J. Korean Agric. Chem. Soc., 41, 201-207 

  20. Lee EJ, Kwon OJ, Im MH, Choi UK, Son DH, Lee SI, Kim DG, Cho YJ, Kim WS, Kim SH, Chung YG. (2002) Chemical changes of kanjang made with barley bra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51-756 

  21. Kim JK, Kim CS. (1980) The taste components of ordinary Korean soy sauce. J. Korean Agric. Chem. Biotechnol., 23, 89-105 

  22. Kim JK. (2004) Changes of components affecting organoleptic quality during the ripening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amino nitrogen, amino acid, and color. Korean. J. Environ. Health, 30, 22-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