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 환자의 질병단계에 따른 가족 지지, 스트레스 및 삶의 질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upport, Stress and Quality of Life on according to the Phases of Illness in Breast Cancer Patients 원문보기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6 no.1, 2010년, pp.10 - 19  

천상순 (경상대학교병원) ,  최소영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건강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upport, stress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phases of illness in breast cancer patients. Methods: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employed with 121 breast cancer patients.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질병단계에 따른 가족지지, 스트레스 및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가족지지, 스트레스 및 삶의 질 관계를 파악하여 추후 질병단계에 따른 대상자의 요구에 맞는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방암 환자의 가족 지지, 스트레스 및 삶의 질은 질병단계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방암 환자의 가족지지를 증진시키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질병단계에 따른 특성을 고려한 간호중재가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질병단계에 따른 가족지지, 스트레스 및 삶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질병단계에 따른 가족지지, 스트레스 및 삶의 질의 관계를 파악하여 질병단계에 따른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환자의 질병단계에 따른 가족지지, 스트레스 및 삶의 질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루어진 연구들은 대부분 위암이나 전체 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대부분으로(Kim, 2003; Lee & Lee, 1997; Oh, 2008), 유방암 환자의 질병단계별 정서적 문제를 다룬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 환자가 경험하는 가족지지, 스트레스 및 삶의 질 정도를 확인하고 질병단계에 따른 이들 변수들의 관계를 확인하여, 유방암 환자들의 질병단계에 따른 차별적 접근을 통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 환자가 겪을 수 있는 심리적 손상은 무엇이 있는가? 유방암으로 진단을 받게 되면 수술, 항암 화학요법 및 방사선 요법 등의 치료를 수주 혹은 수개월 동안 장기적으로 받게 되면서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를 함께 경험한다 (Yang, Song, & Kim, 1998). 유방암은 다른 암과는 달리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 암으로, 여성으로서의 매력상실, 배우자의 관심 상실, 자존감 손상, 좌절, 분노 등과 같은 격심한 심리적 손상을 함께 경험하게 된다. 그리고 유방절제술을 한 경우는 신체적 손상뿐만 아니라 부부생활, 가정생활 등 사회적인 삶의 변화를 겪게 되며, 여성성의 상징인 유방의 상실로 인한 정서적인 암흑 상태를 겪을 수 있다(Park, 2000).
암의 질병단계의 의학적 분류는 무엇에 따라 결정되는가? 일반적으로 암의 질병단계에 대한 의학적 분류는 암세포가 퍼진 정도에 따라 결정되며 T (Tumor), N (Node), M (Metastasis)법을가장많이사용한다. TNM법의T (Tumor)는 원발종양의 크기와 침윤 정도, N (Node)은 주위 림프절로 어느 정도 퍼졌는지, M (Metastasis)은 다른 장기로의 전이는 어느 정도 있는지에 대한 의미를 나타내는 4단계 분류법이며, 이를 기준으로 초기암, 진행암, 말기암으로도 구분하고 있다.
T (Tumor), N (Node), M (Metastasis)법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암의 질병단계에 대한 의학적 분류는 암세포가 퍼진 정도에 따라 결정되며 T (Tumor), N (Node), M (Metastasis)법을가장많이사용한다. TNM법의T (Tumor)는 원발종양의 크기와 침윤 정도, N (Node)은 주위 림프절로 어느 정도 퍼졌는지, M (Metastasis)은 다른 장기로의 전이는 어느 정도 있는지에 대한 의미를 나타내는 4단계 분류법이며, 이를 기준으로 초기암, 진행암, 말기암으로도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분류를 통해 암의 진행 정도를 파악하여 치료방법과 예후가 결정된다(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 D. V., Kang, D. H., & Carperter, J. S. (2007). Stress, optimism and social support: Impact on immune responses in breast cancer. Research in Nursing Health, 30(1), 72-83. 

  2. Carlson, L. E., Speca, M., Patel, K., & Goodey, E. (2003).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in relation to quality of life, mood, symptom of stress and immune parameters in breast and prostatic cancer outpatients. Psychosomatic Medicine, 65(4), 571-581. 

  3. Chang, M. A. (2008). A study on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breast reconstru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4. Cohen, J. (1992). A power primer. Psychological Bulletin, 112, 155-159. 

  5. Cohen, S., Kamarck, T., & Mermelstein, R. (1983).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4, 585-596. 

  6. EORTC QOL. (1980). EORTC QLQ-BR23. Retrieved November 10, 2007, from http://group.eortc.be/qol/questionnaire downloads.html 

  7. Hur, H. K., Kim, D. R., & Kim, D. H. (2003). The relationships of treatment side effects,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1), 75-76. 

  8. Hwang, J. G. (2002). Family support perceived by cancer patients, family caregivers' burden and physical & psychological heal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9. Kang, B. H.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bilities for the hemiplegic patients (after strok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0. Kim, H. S., Yeom, H. A., Seo, Y. S., Kim, N. C., & Yoo, Y. S. (2002).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patients with cancer. Cancer Nursing, 25(6), 425-431. 

  11. Kim, J. N., & Kwon, J. H. (2006). The efficacy of an integrated group psychotherapy for breast cancer patients on the quality of life and immune function. The Kor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5(3), 639-655. 

  12. Kim, S. H. (2003). A study on the coping patterns of cancer patients and burden of family for caring of cancer patients according to the phases of illn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3. Kim, Y. S. (2003).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hopelessness of the woman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14. Kristijanson, L. K., & Ashcroft, T. (1994). The family's cancer journey: A literature review. Cancer Nursing, 17(1), 1-17. 

  15. Lee, D. S. (1996). Social support need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f patients having gastric canc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6. Lee, H. S. (2009). A study of the influence of perceived family support by breast cancer patient in breast cancer treatment group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7. Lee, P. S., Sohn, J. N., Lee, Y. M., Park, E. Y., & Park, J. S. (2005). A correlational study among perceived stress, anger expression, and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1), 195-205. 

  18. Lee, Y. M. (2006). Effect of self-foot reflexology massage on depression, stress responses and immune functions of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1), 179-188. 

  19. Lewandowski, W., & Jones, S. L. (1988). The family with cancer: Nursing interventions throughout the course of living with cancer. Cancer Nursing, 11(6), 313-321. 

  20. Manning-Walsh, J. (2005).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between symptom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breast cancer.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34 (4), 482-493. 

  2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08). Cancer incidence. Retrieved October 15, 2008, from http://www.cancer.go.kr/cms/statics/incidence/index.html 

  22. Oh, K. M. (2008). A concept development about coping patterns of the cancer pha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3. Oh, P. J. (1997).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9(2), 190-198. 

  24. Park, E. Y. (2000). Changes of quality of life during the period of treatments in patients with high risk breast canc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5. Park, Y. K. (2005). Functional status, depression and family support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5(1), 31-39. 

  26. Rohan, T. E., Jain, M., Howe, G. R., & Miller, A. B. (2000). Alcohol consumption and risk of breast cancer: A cohort study. Cancer Causes & Control, 11(3), 239-247. 

  27. Tringali, C. A. (1986). The needs of family of cancer patients. Oncology Nursing Forum, 13(4), 65-70. 

  28. Yang, K. H., Song, M. R., & Kim, E. K. (1998). The stress and adaptation in family caregiver of chemotherapy patients.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2 (1), 118-132. 

  29. Yang, Y. H. (1998). The comparison of the coping patterns of cancer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according to the phases of ill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4), 970-9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