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유방암 여성의 인지기능과 암 대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ognitive Function and Cancer Coping on Quality of Life among Women with Post-chemotherapy Breast Cancer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2 no.3, 2016년, pp.182 - 190  

김윤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강숙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effects of cognitive function and cancer coping on quality of life among women with breast cancer treated with antineoplastic agents. Methods: The study was correlational research and participants were 145 women with breast cancer who had received antineopl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유방암 여성의 인지기능, 암 대처, 삶의 질의 정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여성의 인지기능을 사정하고 관리함으로써 치료 후 일상적인 삶으로의 복귀를 돕는다면 이후의 삶의 질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유방암 여성의 인지기능, 암 대처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한편 국내에서는 암 환자 혹은 암 생존자의 인기지능에 대한 관심이 시작된 지 오래되지 않았으며 최근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유방암 여성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10]와 인지기능이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11] 등이 이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유방암 여성의 인지기능, 암 대처, 삶의 질을 측정하고, 변인 간의 관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유방암 여성들의 항암화학요법과 관련된 인지기능 관리 및 나아가 대상자들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 환자를 치료하는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 중 인지기능저하의 원인은 무엇인가? 하지만 전신적인 치료방법인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하여 대상자들은 여러 가지 이차적인 건강문제를 경험하게 된다. 그 중 하나가 인지기능 저하인데 그 원인은 항암제의 신경독성효과로 인한 DNA, 신경 및 대뇌의 백질 부분의 손상[3], 급격한 호르몬의 변화로 인한 혈액순환 변화에 의한 영향[4] 등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선행연구에서는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암 환자들의 15~50%가 인지기능 저하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5]. 항암화학요법과 인지기능 간의 명확한 인과관계가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연구에 따라 그 발생시기와 진행과정이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그 발생기전에 대한 의학적인 규명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다.
인지기능 저하는 환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인지기능 저하는 구체적으로는 집중력, 기억력, 시간공간능력 등의 저하를 포함하며 이는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하여, 질병과정 이후 삶으로 복귀 시 적응을 어렵게 하는 등 삶의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6]. 유방암 치료를 받은 여성들은 불확실한 질병 특성과 관련한 우울과 같은 심리적 문제를 경험하며[7], 이로 인하여 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데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2].
유방암 환자의 항암화학요법 부작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항암화학요법과 인지기능 간의 명확한 인과관계가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연구에 따라 그 발생시기와 진행과정이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그 발생기전에 대한 의학적인 규명의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유방암 여성의 인지기능 문제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인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환자의 안위를 위협하는 건강문제이므로 간호학적으로 명확히 의미가 있으며, 전인적인 접근으로 인지기능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관련요인 확인, 그리고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재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ancer incidence rate [Internet]. Goyang: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5 [cited 2015 September 6].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101000000 

  2. Park BW, Hwang SY. Depression and coping in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Breast Cancer. 2009;12(3):199-209. 

  3. Deprez S, Amant F, Smeets A, Peeters R, Leemans A, Van Hecke W, et al. Longitudinal assessment of chemotherapyinduced structural changes in cerebral white matter and its correlation with impaired cognitive functioning.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12;30(3):274-281. 

  4. Weiss B. Evaluation of multiple neurotoxic outcomes in cancer chemotherapy. Advances in Experimental Medicine and Biology. 2010;678:96-112. 

  5. Hutchinson AD, Hosking JR, Kichenadasse G, Mattiske JK, Wilson C. Objective and subjective cognitive impairment following chemotherapy for cancer: A systematic review. Cancer Treatment Reviews. 2012;38(7):926-934. 

  6. Jean-Pierre P, Winters PC, Ahles TA, Antoni M, Armstrong FD, Penedo F, et al. Prevalence of self-reported memory problems in adult cancer survivors: A national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Oncology Practice. 2012;8(1):30-34. 

  7. Chae YR. Relationships of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breast cancer survivo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5;17(1):119-127. 

  8. Fitch MI, Gray RE, Godel R, Labrecque M. Young women's experiences with breast cancer: An imperative for tailored information and support. Canadian Oncology Nursing Journal. 2008;18(2):74-86. 

  9. Lee JH, Byun HS, Kim GD. Impacts of the mood state on the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7):356-366. 

  10. Kim GD. Impact of climacteric symptoms and fatigue on the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dysfunction. Asian Oncology Nursing. 2014;14 (2):58-65. 

  11. Chung BY, Cho EJ. Correlates influencing cognitive impairment in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3):221-229. 

  12. Wagner LI, Butt Z, Sweet JJ, Cella D. Measuring patient self-reported cognitive function: Development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cognitive function instrument. The Journal of Supportive Oncology. 2009;7(6):W32-W39. 

  13. Park JH, Bae SH, Jung YS, Jung YM.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cognitive (FACT-Cog) in Korea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Supportive Care in Cancer. 2015;23(9):2695-2703. 

  14. Moorey S, Frampton M, Greer S. The cancer coping questionnaire: A self-rating scale for measuring the impact of adjuvant psychological therapy on coping behaviour. Psycho-Oncology. 2003;12(4):331-344. 

  15. Kim JN, Kwon JH, Kim SY, Yu BH, Hur JW, Kim BS, et al. Validation of Korean-cancer coping questionnaire (K-CCQ).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4;9(2):395-414. 

  16. Greer S, Moorey S, Watson M. Patients' adjustment to cancer: The Mental Adjustment to Cancer (MAC) scale vs clinical rating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989;33(3):373-377. 

  17. Brady MJ, Cella DF, Mo F, Bonomi AE, Tulsky DS, Lloyd SR,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breast quality-of-life instrument.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997;15(3):974-986. 

  18. Yoo HJ, Ahn SH, Eremenco S, Kim H, Kim WK, Kim SB, et al. Korean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breast (FACT-B) scale version 4. Quality of Life Research. 2005;14(6):1627-1632. 

  19. Ha EH, Lee SH, Jeong J, Lee HD, Lee JE, Nam SJ, et al. Biopsychosocial predictors of the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Breast Cancer. 2010;13(2):219-226. 

  20. Kim GD, Kim KH. Symptom cluster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undergoing chemotherap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1;23(5):434-445. 

  21. Hedayati E, Alinaghizadeh H, Schedin A, Nyman H, Albertsson M. Effects of adjuvant treatment on cognitive function in women with early breast cancer.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12;16(3):315-322. 

  22. Janelsins MC, Kohli S, Mohile SG, Usuki K, Ahles TA, Morrow GR. An update on cancer- and chemotherapy-related cognitive dysfunction: Current status. Seminars in Oncology. 2011; 38(3):431-438. 

  23. Lee JH, Lee HK. The mediating role of meaning in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coping styles and posttraumatic growth among christians. Korean Journal of Religious Education. 2011;36:171-192. 

  24. Munir F, Burrows J, Yarker J, Kalawsky K, Bains M. Women's perceptions of chemotherapy-induced cognitive side affects on work ability: A focus group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0;19(9-10):1362-1370. 

  25. Silva SM, Crespo C, Canavarro MC. Pathways for psychological adjustment in breast cancer: A longitudinal study on coping strategies and posttraumatic growth. Psychology & Health. 2012;27(11):1323-1341. 

  26. Drageset S, Lindstrom TC, Underlid K. Coping with breast cancer: Between diagnosis and surger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0;66(1):149-158. 

  27. Biegler KA, Chaoul MA, Cohen L. Cancer, cognitive impairment, and meditation. Acta Oncologica. 2009;48(1):18-26. 

  28. Kang G, Oh S.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on perceived stress, ways of coping, and stress response in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 42(2):161-170. 

  29. Park JH, Bae SH. A meta-analysis of chemotherapy related cognitive impairment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5):644-65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