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경 후 여성의 비만, 골밀도와 심혈관질환 위험도 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Obesity, Bone Mineral Density, and Cardiovascular Risks in Post-menopausal Women 원문보기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6 no.3, 2010년, pp.224 - 233  

소희영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안숙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송라윤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현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among obesity, bone mineral density, and cardiovascular risks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One hundred post-menopausal women were recruited via convenience sampling from osteoporosis prevention program participants who were living in a metropoli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통해 폐경 후 여성의 비만도를 조절하여 적절한 골밀도 유지와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출 수 있는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 차원의 간호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지역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비만도, 골밀도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요인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고, 추후 폐경 후 여성의 건강관리 교육과 간호중재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비만도와 골밀도 및 비만도와 심혈관계 위험도간 양의 상관관계를 밝혀 폐경 후 여성의 건강문제 위험도를 파악하였고 이들을 위한 질병예방 차원의 건강교육 전략이 절대적으로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골밀도가 낮은 여성은 반드시 더 이상의 골 소실을 막고 비만이면서 골다공증을 보이는 여성은 운동을 통한 적절한 체중관리를 통해 골밀도는 향상시키고 심혈관질환의 발병은 예방해야 한다.
  • 본 연구는 폐경기 여성의 비만, 골밀도와 심혈관질환 위험도를 파악하고 해당 변수 간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그러나 기존 연구는 대부분 여성노인을 중심으로 골다공증이나 심혈관계질환자에서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보고가 대부분인 반면, 건강한 여성 모두가 거치게 되는 폐경 이후 여성을 대상으로 비만, 골밀도 및 심혈관질환 위험도간 상관성을 조사하여 페경 후 여성의 건강 위험도를 평가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본 연구를 통해 폐경 후 여성의 비만도를 조절하여 적절한 골밀도 유지와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출 수 있는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 차원의 간호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지역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비만도, 골밀도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요인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고, 추후 폐경 후 여성의 건강관리 교육과 간호중재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 후 여성의 비만도, 골밀도 및 심혈관질환 위험도 간 관계를 탐색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 심혈관 위험요인 중 수정불가 요인인 성별, 연령, 가족력을 제외하면, 비만, 비정상적 지질대사 수치 및 높은 수축기 혈압은 수정 가능한 요인으로 균형잡힌 식이, 금연, 규칙적인 신체활동 및 스트레스 관리 등의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여성건강간호사는 폐경기 및 폐경 후 여성의 심혈관질환 발생과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한 건강증진 전략을 계획할 때 이러한 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위험도를 평가하고 교육안의 주요내용을 구성하여야 하겠다. 이를테면, 신체 활동을 격려할 때, 체중부하를 통한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을 실천하면 비만도와 지질대사 수치가 개선될 것이고, 대신 체중을 받는 요추와 대퇴의 골밀도는 향상될 것임을 강조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경 후 여성 중에서 체중이 많이 나가는 여성이 높은 골밀도 수준을 보인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기존 문헌에 따르면, 폐경 후 여성에서 골다공증 위험요인 중 하나로 낮은 체질량 지수를 꼽고 있는데, 체중이 많이 나가는 여성이 마른 여성에 비해 높은 골밀도 수준을 보였고(Revilla, Villa, Sań chez-Atrio, Hernańdez, & Rico, 1997), 비만여성의 경우 대퇴골 골 소실이 낮았다(Hyldstrup, Andersen, McNair, Breum, & Transbol̸ , 1993). 이는 체질량지수가 높은 것은 체중부하를 통해 척추와 대퇴 목의 골량을 적절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골다공증 예방요인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심혈관질환 발생에는 높은 체질량지수, 즉 비만이 위험요인의 하나로 작용하는데 이는 비만이 비정상적 지질대사를 초래하여 심혈관계질환의 이환율을 높이기 때문이다(Masse et al.
폐경 후 여성의 심혈관 질환 위험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필요한가? 또한 폐경 후에는 에스트로겐의 혈관보호 효과가 사라지면서 증가된 혈중 지질이 동맥경화를 유도하여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높이게 된다(Innes, Selfe, & Taylor, 2008). 50대 폐경 후 여성의 심혈관질환 발생률은 동일 연령의 폐경 전 여성에 비해 3배가 높으나, 호르몬대체요법을 받는 경우 심혈관질환 위험도를 30~70%까지 줄일 수 있다(Kim, Kim, Rhu, & Ryoo, 2000). 따라서 폐경은 여성에게 심혈관질환을 유발시키는 주요 위험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폐경기에서는 어떤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가? 3세로 남성에 비해 월등히 증가함에 따라 폐경 이후 여성의 건강문제가 여성 노인의 건강문제로 이어져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 시기 대상자의 건강관련 간호를 수행하는데 유용한 간호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폐경기는 신체적, 생리적, 신경내분비적 변화가 진행되는 시기로 폐경 전 에스트로겐의 골 대사, 지질대사 및 혈관 보호효과가 약화되면서 폐경 후 여성에게 비만, 골다공증 및 심혈관계질환의 건강 문제 발생률이 높아지고 있다(Masse, Tranchant, Dosy, & Donovan,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jani, U. A., Ford, E. S., & McGuire, L. C. (2006). Distribution of lifestyle and emerging risk factors by 10-year risk for coronary heart disease.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13 (5), 745-52. 

  2. Broussard, D. L., & Magnus, J. H. (2004). Risk assessment and screening for low bone density in a multi ethnic population of women and men: Does on approach fits all? Osteoporosis International, 15, 349-360. 

  3. Broussard, D. L., & Magnus, J. H. (2008). Coronary heart disease risk and bone mineral density among U. S. women and men. Journal of Women's Health, 17 (3), 479-490. 

  4. Choi, H., Song, T. J., Yang, Y. H., Oh, E. K., Ko, J. K., Lee, C. M., et al. (2005). The validation study of BMI (body mass index), age, and body weight for prediction of osteoporosis in Korean post- and perimenopausal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nopause, 11 (1), 43-48. 

  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Philadelphia: Lawrence Erlbaum. 

  6. Cui, L. H., Shin, M. H., Chung, E. K., Lee, Y. H., Kweon, S. S., Park, K. S., et al. (2005). Associ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ies and serum lipid profiles of pre- and postmenopausal rural women in South Korea. Osteoporosis International, 16, 1975-1981. 

  7. Cui, L. (2006). Osteoporosis and som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a Korean rural popul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8. D'Agostino, R. B., Vasan, R. S., Penica, M. J., Wolf, P. A., Cobain, M., Massaro, J. M., et al. (2010). General cardiovascular risk profile for use in primary care: The Framingham study. Circulation, 117, 743-753. 

  9. Ha, H-Y., Choi, B-Y., & Park, H-B. (1997). Correlation between obesity indices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usefullness of abdominal obesity.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30 (2), 327-341. 

  10. Han, S., Nam, K., Kim, J., Ha, T., & Lim, K. (1996). Relationship of whole body bone mineral density to body fat in the postmenopausal women. Inje Medical Journal, 17 (3), 285- 290. 

  11. Hyldstrup, L., Andersen, T., McNair, P., Breum, L., & Transb $\phi$ l, I. (1993). Bone metabolism in obesity: Changes related to severe overweight and dietary weight reduction. Acta Endocrinology, 129 (5), 393-398. 

  12. Innes, K. E., Selfe, T. K., & Taylor, A. G. (2008). Menopause, the metabolic syndrome, and mind-body therapies. Menopause, 15 , 1005-1013. 

  13. Jung, J., & Kim, N. (2006). Risk factors, subjective symptoms, knowledge of coronary artery disease and preventive health practices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2, 29-36. 

  14. Kim, C. J., Kim, T. H., Rhu, W. S., & Ryoo, U. H. (2000). Influence of menopause on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and lipid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15, 380-386. 

  15. Kim, C. J., Oh, K. W., Rhee, E. J., Kim, K. H., Jo, S. K., Jung, C. H., et al. (2009).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in perimenopausal Korean women. Clinical Endocrinology (Oxf), 71 (1), 18- 26. 

  16. Kim, M. K., Baek, K. H., Lim, D. J., Lee, S. S., Han, J. H., Song, K. H., et al. (2007).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ostmenopausal women whose total hip BMD is lower than lumbar spine BMD. Korean Journal of Bone Metabolism, 14 (2), 125-132. 

  17. Koh, Y., Rhee, E., Kim, S., Jung, C., Park, C., Lee, W., et al.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lumbar spine bone mineral density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Korean female adul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docrinology, 21 (6), 497-505. 

  18. Koller, M. T., Steyerberg, E. W., Wolbers, M., Stijnen, T., Bucher, H. C., Hunink, M., et al. (2007). Validity of the Framingham point scores in the elderly: Results from the Rotterdam study. American Heart Journal, 154 (1), 87-93.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4th (2008) results report: 2008 National health statistics. Seoul: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20.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1). Clinical obesity. Seoul: Korea Medical Book Publishing. 

  21. Lee, W., & Kim, N. (2005). A statistical compare analysis of bone mineral density of lumbar spine and femur, risk factors for osteoporosis in women of pre, post-menopaus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adiological Technology, 28 (3), 227-234. 

  22. Masse, P. G., Tranchant, C. C., Dosy, J., & Donovan, S. M. (2005). Coexistence of osteoporosi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 apparently healthy, untreated postmenopausal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Vitamin and Nutrition Research, 75 (2), 97-106. 

  23. Mosca, L., Banka, C. L., Benjamin, E. J., Berra, K., Bushnell, C., Dolor, R. J., et al. (2007).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in women: 2007 Update. Circulation, 115 , 1481-1501. 

  24. Revilla, M., Villa, L. F., Sa?nchez-Atrio, A., Herna?ndez, E. R., & Rico, H. (1997). Influence of body mass index on the age-related slope of total and regional bone mineral content. Calcified Tissue International, 61 (2), 134-138. 

  25. Rho, H. K., Lee, E. S., & Park, H. M. (2008). Perception level of Vitamin D and calcium on osteoporosis treatment.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nopause, 14 (2), 115- 129. 

  26. Shakir, Y. A., Samsioe, G., Nyberg, P., Lidfeldt, J., & Nerbrand, C. (2006). Does the hormonal situation modify lipid effects by lifestyle factors in middle-aged women? results from population-based study of Swedish women: The women's health in the Lund area study. Metabolism-Clinical and Experimental, 55 , 1060-1066. 

  27. Song, H. R., & So, H. (2007). Effects of the knowledge,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about osteoporosis on calcium intake behavior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 763-774. 

  28. Suk Danik, J., Rifai, N,, Buring, J. E., & Ridker, P. M. (2006). Associa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body mass index with novel and traditional cardiovascular biomarkers in women.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95, 1412-1419. 

  29. Tanaka, H., Clevenger, C. M., Jones, P. P., Seals, D. R., & DeSouza, C. A. (1998). Influence of body fatness on the coronary risk profile of physically active postmenopausal women. Metabolism: Clinical & Experimental, 47 (9), 1112- 1120. 

  30. Wilsgaard, T., & Arnesen, E. (2007). Body mass index and coronary heart disease risk score: The troms $\phi$ study, 1979 to 2001. Annals of Epidemiology, 17 (2), 100-1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