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 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관한 고찰 - 평가하기 경우 -
Investigation of mathematics teacher reflection - About Assess instances -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49 no.4, 2010년, pp.411 - 421  

권나영 (인하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acher reflection as a form of professional development has been an enduring interest in education that can be traced back to Dewey. Information about how teachers interpret and analyze their students' learning would help us understand difficulties in teaching and learning. Moreover, it can be use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토론 내용을 자료로 삼아 교사들이 자신의 학생들에 대한 말과 행동에 대한 분석을 네 가지 타입으로 구분하였는데, 묘사하기 (describing), 설명하기 (explaining), 평가하기 (assessing), 정당화하기 (justifying) 의 네 가지였다. Wallach과 Even의 연구는 교사가 어떻게 학생들에 대해 분석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으로 본 연구의 목적과도 연관되고, 그들이 발견한 네 가지 타입은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되었다.
  • 교사들의 개인적인 성향에 따라 말을 많이 하거나 하는 등의 개인차가 있어, 자료를 분석할 때, 다섯 가지 카테고리의 순간들에 대해 전체 순간에 대한 백분율을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각 카테고리들은 수학 교사들이 자신의 학생들의 사고 활동을 어떻게 해석하는지를 보여주는데, 이 글에서는 그 중 평가하기(assess) 경우에 대한 결과만을 기술하겠다. 분석의 결과는 연구 문제에 따라 설명하였다.
  • 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에 관한 연구들은 많이 있어왔지만, 이 글에서는 본 연구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두 가지 선행 연구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Wallach과 Even(2005)의 연구는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학생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살폈는데, 자료 분석의 방법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와 관련이 깊다.
  • 별로 없다는 차이점이 있었다. 그래서 교사들의 가르친 경험으로 봤을 때,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분석한 자료들을 다시 살펴보았다.
  • 이는 반성적 사고를 자극하는 것을 통해 수학 교사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생각해 보게 한다.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는 수학 교사 교육과 반성적 사고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수학 교사들의 자신의 학생들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보는 것으로,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속해 있는 학습 환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연구의 배경이 되는 학습 환경으로써 교실의 기본 구성 요소들이 무엇이고 이것을 어떻게 해석하고 분석하는지는 이 연구의 이론적 배경의 핵심이 된다.
  • 연구의 배경이 되는 학습 환경으로써 교실의 기본 구성 요소들이 무엇이고 이것을 어떻게 해석하고 분석하는지는 이 연구의 이론적 배경의 핵심이 된다. 연구에서는 CAen 과 Ball 이 정의한 교수 삼각형 (instructional triangle)을 이용하여 학습 환경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학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세 부분으로 구분지어 그 중 학생에 관한 부분을 살펴보았다. 이글에서는 반성적 사고에 관한 일반적인 연구들을 살펴보고, 교수 삼각형 모델에 대해 설명한 다음 수학 교사의반성적 사고에 관한 선행 연구를 자세히 기술하겠다.
  •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자신의 수업에서 일어난 상황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사고를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살펴본 연구로 교실 상황에서의 학습 환경에 대해 우선 알아볼 필요가 있다. 교실을 포함하여 학생들의 학습이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는 여러 요소가 복잡하게 얽혀 상호 작용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반성적 사고 전반을 살펴보는 것이 아니라, 교사들이 자신의 수업을 분석하는 반성적사고 과정을 통해서 나타나는, 학생들에 대한 평가하기 순간만을 관찰하고 그에 따르는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교사의 반성적 사고는 보는 관점에 따라 사전 계획단계에서부터 이후 수업 실행과 앞으로의 수업 계획에 이르기까지 여러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수학 교사들의 반성적 사고 가운데, 수업을 실행한 후 그 수업에서의 학생들의 사고에 관해 반성하는 부분들만을 골라 분석한 내용들만을 다룬다.
  • 본 연구에서는 미국 중학교 네 명의 수학 교사들의반성적 사고 중 학습자의 수학 학습에 관한 부분에서 평가하는 경우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프로젝트에 참가한네 명의 수학 교사들의 반성적 사고의 일부분으로써 교사들과의 문답을 통해 본 평가하기 경우는 학생이 잘하거나 못한 것에 대해 평가를 한 순간들을 의미했다.
  • 본 연구에서는 이 모델에 근거해서 교사들이 자신의 수업에서 존재하는 상호작용들을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그들의 반성적 사고를 통하여 알아보기로 하였다. Cohen과 Ball의 모델은 최근 교실 외적인 요소도 포함한 더욱 발전된 모형도 존재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교실 환경의 구성 요소간의 관계들만 이용했다는 점에서 1999년의 모델을 사용했다.
  • 여기에서 그는 행동이 일어나는 과정 중의 반성( reflection-in-action)이라는 개념과 행동이 일어난 후의 반성(reflection-on-action)이라는 개념을 구분하여 소개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사들이 자신의 수업을 진행한 후 비디오 녹화된 화면을 보면서 학생들의 사고에 대해 반성적 사고를 하는 것으로 수업을 한 후 학생들에 대한 반성에 초점을 맞추었으므로 행동이 일어난 후의 반성 (reflection-on-action)을 살펴본 것이다.
  • 이 연구는 미국의한 중학교의 수학 교사 네 명의 반성적 사고의 일부분을 관찰한 것이다. 미국의 경우 수학교육 과정이나 학교 체계 등에 있어 우리나라와 다른 점이 많다.
  • 이러한 정의는 교사가 반성적 사고를 하는 순간들이 교사 자신의 학생들, 가르치는 행동들, 그리고 스스로를 교사로서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한다. 이렇게 정의된 반성적 사고에 대해 관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실제 수업을 비디오로 촬영하여 그 수업을 진행한 교사들과 수업 비디오를 이용하여 질문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반성적 사고란 교사 자신의 행동이나 교사의 가르침과 학생의 이해를 연결시켜생각하는 학생들의 생각을 해석하는 교사의 일련의 행동이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정의는 교사가 반성적 사고를 하는 순간들이 교사 자신의 학생들, 가르치는 행동들, 그리고 스스로를 교사로서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한다. 이렇게 정의된 반성적 사고에 대해 관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실제 수업을 비디오로 촬영하여 그 수업을 진행한 교사들과 수업 비디오를 이용하여 질문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rtzt, A. F., & Amour-Thomas, E. (2002). Becoming a reflective mathematics teacher.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 Ball, D. L. (1996). Teacher learning and the mathematics reforms: What we think we know and what we need to learn. Phi Delta Kappan. 77(7), 511-508. 

  3. Black, S. (2001). Thinking about teaching: How teachers can put reflection at the heart of their teaching. The American School Board Journal, 188(11), 42-44. 

  4. Carr, W., & Kemmis, S. (1986). Becoming critical: Education, knowledge, and action research. Basingstoke, UK: Falmer. 

  5. Cohen, D. K., & Ball, D. L. (1999). Instruction, capacity, and improvement (CPRE Research Report No. RR-43). Philadelphia, PA: University of Pennsylvania, Consortium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CPRE). 

  6. Cooney, T. (1998). Conceptualizing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In C. Alsina, J. M. Alvares, M. Niss, A. Perez, L. Rico, & A. Sfard (Eds.), The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ongress on mathematics education (pp. 101-117). 

  7. Dewey, J. (1933). How we think. Mineola, NY: Dover Publications, Inc. 

  8. Goldsmith, L., & Schifter, D. (1997). Understanding teachers in transition: Characteristics of model for developing teachers. In E. Fennema & Nelson, S. (Eds.), Mathematics teachers in transi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9. Hall, R. (2000). Video recording as theory. In A. E. Kelly & Lesh, R. A. (Eds.), Handbook of research design i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0. Kwon, N., & Orrill, C. (2007). Understanding a teacher's reflections: a case study of a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7(6), 226-237. 

  11. Merriam, S. B. (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s i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12. Schon, D. (1983). The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London: Temple Smith. 

  13. Schon, D. (1991). The reflective turn.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14. Sherin, M. G., & van Es, E. A. (2005). Using video to support teachers' ability to notice classroom interactions.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13(3), 475-491. 

  15. Smyth, J. (1992). Teachers' work and the politics of reflec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9(2), 267-300. 

  16. Wallach, T., & Even, R. (2005). Hearing students: The complexity of understanding what they are saying, showing, and doing.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8, 393-4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