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이 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Basic Life Support Education on CPR Knowledge and Attitude of Undergraduates 원문보기

韓國學校保健學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24 no.1, 2011년, pp.1 - 11  

윤매옥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design, which attempted to observe the effects of Basic Life Support Education on undergraduate students' CPR Knowledge and Attitude. Methods: The subjects were 96 undergraduates in Jeonbuk.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AHA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5)의 기본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에 의거하여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Video self-instruction program 교육 후 심폐소생술의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일반대학생을 위한 표준화된 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이 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에 의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J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군 46명, 대조군 50명이였으며.
  • 본 연구는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이 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에 의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여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부분적으로 심폐소생술에 대해 다루고 있으나 아직 활발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 정도를 긍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 심폐소생술을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가설 설정

  •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정도가 높을 것이다.
  •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 정도가 높을 것이다.
  • 가설 1.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정도가 높을 것이다.
  • 가설 2.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 정도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폐소생술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질환은 갑자기 상태가 악화되어 돌연사를 일으키거나 심정지가 발생했을 경우 즉각적인 처치를 받지 못하면 치명적인 뇌손상을 초래하게 된다(오윤희와 김복자, 2005). 이러한 심정지로 인한 비가역적인 손상을 막고 심정지 환자를 소생시키는 과정이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이 다(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5).
허혈성 심장질환의 사망률은 어떠한가? 암, 뇌 혈관질환, 심장질환은 3대 사망원인으로 전체 사망의 48.3%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허혈성 심장질환의 사망률은 인구 19만 명 당 1997년 13.7명에서 2007년 29.5명으로 2배 이상 증가하였다(통계청, 2008). 이러한 질환은 갑자기 상태가 악화되어 돌연사를 일으키거나 심정지가 발생했을 경우 즉각적인 처치를 받지 못하면 치명적인 뇌손상을 초래하게 된다(오윤희와 김복자, 2005).
본 논문에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이 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한 결과는 어떠한가? 첫째,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정도가 높을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F=157.58, p=.000). 둘째,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 정도가 높을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F=23.78, p=.000). 결론적으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이 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대학생들에 대한 교육을 권장할 필요가 있으며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과정 개발 및 교육적 기회가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권용선(2005).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효과 비교.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울산. 

  2. 김경미(2007). 고등학생의 심폐소생술 관련 지식수준 및 교육 실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3. 김동옥(2008). 심정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경험자와 비경험자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차이.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전. 

  4. 김순심, 감신(2006). 고등학생에게 적용한 기본심폐소생술 실기교육 프로그램 효과.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3(4), 155-171. 

  5. 김은미, 이은경(2009).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이 초등학생의 심폐소생술 태도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2), 189-196. 

  6. 김은수(2010).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 실태 및 지식과 태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7. 김혜숙, 김미선, 박미화(2009).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16(4), 430-437. 

  8. 김희정(2008).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기본심폐소생술 교육효과 및 지속성. 한국응급구조학회지, 12(3), 87-98. 

  9. 박대성, 윤영현, 김정술(2008). 치위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효과. 한국치위생과학회, 8(4), 381-386. 

  10. 박세훈, 최혁중, 강보승, 임태호, 염석란(2006). 일부 최초반응자 직업군의 심폐소생술 지식과 태도에 대한 연구. 대한응급의학회지, 17(6), 545-558. 

  11. 박연숙(2010). 기본심폐소생술교육이 중학생의 심폐소생술 관련 지식, 태도, 기술에 미치는 지속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12. 박영례, 김혜숙, 차혜경(2010). 초등학생의 기본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수행자신감.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3(2), 133-142. 

  13. 박정숙, 전현례(2010). 표준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용 비디오를 이용한 실습교육이 간호사의 심폐소 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2), 301-311. 

  14. 박종우, 성창민, 조영순, 최영환, 박인철, 김승호(2006). 의대생 대상의 심폐소생술 재교육 효과와 지속성. 대한응급의학회지, 17(1), 8-13. 

  15. 송근정, 오동진(2007). 심폐소생술의 국내 현황. 대한내과학회지, 73(1), 4-10. 

  16. 오수일, 한상숙(2008). 심폐소생술 재교육이 간호사의 지식과 기술에 미치는 지속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8(3), 383-392. 

  17. 오윤희, 김복자(2005). 비의료인에게 실시한 심폐소생술 실기 교육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2), 278-286. 

  18. 윤영윤(2004). 병원 전 심정지로 내원한 영아의 임상적 특성과 심폐소생술 결과의 분석: 광주권역 3개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19. 이문희, 최순희, 박민정(2005). 심폐소생술 교육이 일반인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4(2), 198-203. 

  20. 이문희, 최순희, 박민정(2005). 심폐소생술 교육이 일반인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4(2), 198-203. 

  21. 이미진, 박규남, 김현, 신중호, 양혁중, 노태호(2006).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 태도와 저해 요인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19(1), 31-36. 

  22. 이원웅, 조규종, 최석환, 유지영, 유기철(2009). 일반인 심폐소생술교육 후 목격자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신감 및 태도변화. 대한응급의학회지, 20(5), 505-509. 

  23. 홍경용, 만현철, 최상복, 위관복, 김기열(2001). 중 고등학생 응급처치 지식수준에 관한 실태조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8(3), 77-88. 

  24. 홍정석, 안력, 김선, 김우연, 김수옥, 홍은석(2009). 미국심폐소생협회의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술기수행능력 유지 정도. 대한응급의학회지, 20(6), 609-614. 

  25.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5).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5 guidelines for CPR and ECC. Texas: American Heart Association. 

  26. Axelsson, A. (2001).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ould they do it again? J Cardiovasc Nurs, 16 (1), 15-20. 

  27. Holmberg, M., Holmberg, S., & Herlitz, J. (2000). Effect of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in Sweden. Resuscitation, 47 (1), 59-70. 

  28. Lauder, G. R,, McQulillan, P. J., & Sear, J. W. (1992). Basic life support. Anaesthesia, 47, 1000-1001. 

  29. Lund, I., & Skulberg, A. (1976).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y lay people. Lancet, 2, 702-704. 

  30.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08). A public emergency servic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survey. Retrieved January 12, 2009. 

  31. Parnell, M. M., Pearson, J., Galletly, D. C., & Larsen, P. D. (2006).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s resuscitation in New Zealand high-school students. Emerg Med J, 23, 899-902. 

  32. Stiell, I. G., Wells, G. A., Field, B., Spaite, D. W., Nesbitt, L. P., Maio, V., et al. (2004).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in out-of hospital cardiac arrest. New Engl J Med, 351 (7), 647-65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