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덕유산국립공원 향적봉 일대 식생구조 연구
Vegetation Structure of the Hyangjeokbong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4 no.6, 2010년, pp.708 - 722  

김현숙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이상명 (국립중앙과학관) ,  송호경 (충남대학교 산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향적봉일대 산림 식생을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구배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군락(철쭉하위군락, 전형하위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들메나무군락 및 주목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군락 간에는 종조성, 계층구조 및 식피율 등 생태적 특징에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군락에서 나타난 중요치는 신갈나무가 가장 높고(81.2) 다음으로 들메나무, 졸참나무, 소나무, 당단풍, 굴참나무, 철쭉, 층층나무, 주목 등의 순이었다. 중요치가 높은 주요종에 대한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와 졸참나무는 계속적으로 우점도가 높아질 것이며, 들메나무는 계곡부에 군락을 형성하고 역J자형에 가까운 분포로 나타나 지형적 극상림으로 발달할 것으로 생각된다. 소나무와 주목은 당분간 우점도 상태를 유지 할 것으로 예상되며, 굴참나무와 층층나무는 정규분포형을 나타내고 있어 현상태로 계속 우점도를 유지할 것으로 생각된다.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하여 분류된 7개 군락과 12개의 환경 요인으로 DCCA ordination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군락과 주목군락은 해발고가 높고 건조하고 Ca의 양료가 적으며 pH가 비교적 낮은 곳에 분포하였으며, 졸참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낮고 수분이 비교적 많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소나무군락은 남사면의 해발고가 중간 정도이고 pH가 낮고 Ca 등의 양료가 적은 건조한 지역에 분포하였다. 들메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낮고 수분이 많은 계곡부에 분포하고 있으며, Ca의 양료가 많으며 pH가 높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vegetation structure of the Hyangjeokbong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using the gradient analysis and phytosociological method. The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community(Rhododendron schlippenbachii subcommunity, typical subcommunity), Q...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지역 중 북서쪽에 위치한 두문산일대, 북동쪽에 위치한 삼공지구, 동남쪽에 위치한 송계사지구를 중심으로 비교적 산림 생태계가 잘 유지되어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산림군락을 구분하고 각 군락의 식생구조와 입지특성을 조사 분석하여 식생 천이에 따른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아울러 식생의 생태학적 보존대책과 덕유산국립공원지역의 보존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중요치 분석에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나무 군락, 주목군락을 대상으로 흉고직경급 분포에 의한 천이 경향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덕유산국립공원 향적봉일대 산림 식생 분석 결과 군락은 어떻게 구분되었는가?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향적봉일대 산림 식생을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구배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군락(철쭉하위군락, 전형하위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들메나무군락 및 주목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군락 간에는 종조성, 계층구조 및 식피율 등 생태적 특징에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군락에서 나타난 중요치는 신갈나무가 가장 높고(81.
덕유산국립공원 향적봉일대 산림 식생 분석 결과 군락간에 어떤 특징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향적봉일대 산림 식생을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구배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군락(철쭉하위군락, 전형하위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들메나무군락 및 주목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군락 간에는 종조성, 계층구조 및 식피율 등 생태적 특징에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군락에서 나타난 중요치는 신갈나무가 가장 높고(81.
덕유산국립공원 향적봉일대 산림 식생의 군락에서 중요치는 어떤 순서로 나타났는가?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향적봉일대 산림 식생을 식물사회학적 방법과 구배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군락(철쭉하위군락, 전형하위군락), 졸참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들메나무군락 및 주목 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군락 간에는 종조성, 계층구조 및 식피율 등 생태적 특징에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군락에서 나타난 중요치는 신갈나무가 가장 높고(81.2) 다음으로 들메나무, 졸참나무, 소나무, 당단풍, 굴참나무, 철쭉, 층층나무, 주목 등의 순이었다. 중요치가 높은 주요종에 대한 흉고직경급을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와 졸참나무는 계속적으로 우점도가 높아질 것이며, 들메나무는 계곡부에 군락을 형성하고 역J자형에 가까운 분포로 나타나 지형적 극상림으로 발달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Springer-Verlag, New York, 631pp. 

  2. Cho, J.B. and B.S. Kil(1987) Floristic composition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Mt. Daedun. Korean J. Ecol. 10(2): 53-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ung, H.L. and S.K. Hong(2006) Distribution patterns floristic differentiation and succession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south Korea: A perspective at nation-wide scale. phytocoenologia 36(2): 213-2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ung, H.L., Y.M. Chun and H.J. Lee(2000) Syntaxonomy of the forest vegetation in and surrounding Taegu, Korea. Korean J. Ecol. 23(5): 407-4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ung, J.C., K.K. Jang, J.H. Choi, S.K. Jang and D.H. Oh(1997) An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 and forest community in Mt. Unjang by TWINSPAN and ORDINATION. Jour. Korean For. Soc. 86(4): 459-4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J. Ecology 32: 476-496. 

  7. Dierssen, K.(1990) Einfuhrung in die pflanzensoziologie. Akademie-Verlag Berlin, 241pp. 

  8. Hill, M.O. and H.G. Jr. Gauch(1980)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improved ordination technique. Vegetatio. 42: 47-58. 

  9. Hill, M.O.(1979)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Ithaca, N.Y. Cornell Univ. Press, 50pp. 

  10. Jang, Y.S. and Y.J. Yim(1998) Vegetation types and their structures of the piagol, Mt. Chiri. Korean J. Bot. 28(2): 165-1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Jeong, M..H., C.H. Kim, B.C. Kil, H.G. Yoo and S.E. Shin(1997) The forest vegetation of Mt. Kaya National Park, Korea. Korean J. Ecol. 20(2): 145-1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C.H. and B.S. Kil(1992) DCCA and polar ordination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ies of Mudungsan. Korean J. Ecol. 15(2): 117-1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C.H. and B.S. Kil(1997)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Togyu national park, Korea. Korean J. Ecol. 20(2): 125-1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C.H.(1992) A Study on the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and the secondary succession in Togyusan National Park, Korea. Wonkwang University a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156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5. Kim, C.H., S.H. Kang and B.S. Kil(1991) The vegetation of Mt. Choksang. Korean J. Ecol. 14(2): 137-1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C.S. and J.G. Oh(1993)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Mt. Mudeung. Korean J. Ecol. 16(1): 93-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G.T., J.S. Kim, G.C. Choo and W.H. Jin(1994)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Paekryunsa-Hyangchokpong area in Tokyusan National Park. App. Eco. Res. 7(2): 155-1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im, H.S., H.J. Kim, K.S. Lee and H.K. Song(2004) Forest vegetation on the south and north slopes of Donghaksa valley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7(2): 52-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im, H.S., S.M. Lee and H.K. Song(2009) A study of the vegetat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focused on the forest vegetation of the Anseong district).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2(6): 1-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Kim, H.S., S.M. Lee and H.K. Song(2009a) A study of the vegetat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focused on the forest vegetation of the Anseong district).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2(6): 1-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Kim, H.S., S.M. Lee, H.L Chung and H.K. Song(2009b) A study of the vegetat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 Focused on the deciduous forest at Namdeogyu area-. Kor. J. Env. Eco. 23(5): 471-4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Kim, J.U. and B.S. Kil(2000) The Mongolian oak forest in Korea. Wonkwang University Press, 511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3. Kim, J.U. and Y.J. Yim(1986)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of Seonunsan area, Southwestern Korea. Korean J. Ecol. 9: 209-2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Kim, J.U. and Y.J. Yim(1987) Actual vegetation and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of Seonunsan area, southwestern Korea. Korean J. Ecol. 10: 159-1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Kim, J.U., Y.J. Yim and G.Y. Yang(1989) A exist vegetation of the south-eastern slope in Sobaek National Park. Chung-ang University Journal of the institute for basic science 3: 101-114. 

  26. Kimmins, J.P.(1987) Forest ecology. Macmillan, 531pp. 

  27. Koh, J.K. and Y.J. Yim(1987) Vegetation of Mt. Chil-gab. Korean J. Ecol. 10(1): 33-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1971-2000) Meteorological an annual repor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9. Lee, C.S., H.E. Kim, H.S. Park, S.J. Kang and H.J. Cho(1993) Structure and maintenance mechanism of Koelreuteria paniculata community. Korean J. Ecol. 16(4): 377-3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Lee, H.J., D.W. Byun, W.S. Kim, J.S. Lee and C.O. Kim(1994a)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Kaya. Korean J. Ecol. 16(3): 287-3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Lee, H.J., H.L. Choung and B.H. Bae(1995) Syntaxonomy and analysis of interspecific association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Ch'ongnyang. Korean J. Ecol. 18(1): 121-1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Lee, H.J., J.S. Lee and D.W. Byun(1994b) Community classification and vegetation pattern of Quercus mongolica forest in Mt. Myongji. Korean J. Ecol. 17(2): 185-2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Lee, M.J., S. Yee, H.J. Kim, Y.U. Ji and H.K. Song(2004) Vegetation structures and ecological niche of Quercus serrata forests.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7(1): 50-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Lee, T.B.(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990pp. (in Korean) 

  35. Lee, W.T. and Y.J. Yim(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 Supplement: 1-33. 

  36. Moon, H.S.(2001) Studies on the forest vegetation structure in subalpine zone of Mt. Deokyu National Park. J. Agriculture & Life Sciences 35: 47-54. 

  37. Mueller-Dombois, D. and H. Ellenberg(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Y., 547pp. 

  38. Oh, K.K.(1994)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Choksangsansong area in Tokyusan National Park. App. Eco. Res. 7(2): 172-1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9. Park, I.H., G.S. Moon and Y.C. Choi(1994)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a valley forest at Tokyusan Area. App. Eco. Res. 7(2): 181-1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2000) Soil chemistry analysis. 450pp. 

  41. Seo, B.S., S.C. Kim, K.W. Lee, C.M. Park and C.H. Lee(1995) A study on the structure of vegetation in Deokyusan National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2(4): 177-1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2. Song, H.K.(1990) An analysis of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of Mt. Gyeryong and Mt. Deokyu by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Jour. Korean For. Soc. 79(2): 216-2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3. Song, H.K. and K.K. Jang(1997) Study on the DBH analysis and forest succession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forests. Jour. Korean For. Soc. 86(2): 223-2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4. Song, H.K., K.K. Jang and D.H. Oh(1998) An analysis of vegetation- environment relationships of Quercus mongolica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1(4): 462-4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5. Song, H.K., K.S. Lee, S. Yee, H.J. Kim, M.J. Lee and Y.U. Ji(2001) Forest vegetation of military protective sector in Kyeryong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4(4): 332-3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6. Song, J.S and H.K. Kim(1993) Synecological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Imha-dam area, Andong. Korean. J. Ecol. 16(4): 439-4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7. Song, J.S.(2001)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Oak(Quercus spp.) Forests on Mt. Kaya, bisul, unmun and kaji in southern Kyonfpook peovince. Korean. J. Ecol. 24(1): 9-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8. Song, J.S., S.D. Song, J.H. Park, B.B. Seo, H.S. Chung, K.S. Roh and I.S. Kim(1995) A phytosociological study of Quercus mongolica forest on Mt. Sobaek by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techniques. Korean J. Ecol. 18(1): 63-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9. Ter Braak, C. J. F.(1987) CANOCO - A FORTRAN program for canonical community ordination by correspondence analysis,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nd redundancy analysis( version 2.1) TNO institute of applied computer science, statistics department, Wageningen, The Netherlands. 

  50. Yee, S.(1998) Waldvegetation und standorte im Odaesan-National Park (Sudkorea). Culterra 25, 182pp. 

  51. Yee, S. and H.K. Song(2000) Phytosociological study on vegetavegetation of valley in Kyeryong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4(1): 88-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2. Yim, K.B., G.T. Kim, K.J. Lee and J.S. Kim(1993)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Birobong area in Sobaeksan. App. Eco. Res. 6(2):154-1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3. Yim, Y.J. and J.U. Kim(1992) The vegetation of Mt. Chiri National Park. The Chung-Ang University Press. 200pp. 

  54. Yim, Y.J. and S.D. Baek(1985) The vegetation of Mt. Sorak National Park. The Chung-Ang University Press. 199pp. 

  55. Yim, Y.J. and T. Kira(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l. 25: 77-88. 

  56. Yim, Y.J. and T. Kira(1976)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Korean peninsula. II. Distribution of climatic humidity/ aridity. Jap. J. Ecol. 26: 157-164. 

  57. Yu, J.E., H.K. Song(1989) The analysis of vegetation - environment relationships of Mt. Sokri by TWINSPAN(Two-way indicator species analysis)and DCCA . Res. Rep. Env. Sci. Tech Chungnam Univ., Korea . Vol. 7: 1-8. 

  58. Yun, C.W., C.H. Lee and H.J. Kim(2007) The community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Mt. Gaya,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 J. Env. Eco. 21(5): 379-3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