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흑미가루를 첨가한 쌀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Bread Substituted with Black Rice Flour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0 no.6, 2010년, pp.903 - 908  

임지순 (건양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영택 (경원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 쌀가루에 활성 글루텐, gum 및 유화제를 첨가하여 쌀 빵을 제조시에 흑미가루의 부분적인 대체(10~30%)가 쌀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쌀 식빵의 부피는 일반 쌀가루로만 제조한 100% 쌀가루 식빵에 비해 흑미가루의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흑미가루를 첨가한 쌀 식빵의 내부색은 흑미의 어두운 색상에 의해 L값이 현저히 감소하여 어두워졌으며, 적색도는 증가하고, 황색도는 약간 감소하였다. 흑미가루 첨가 쌀 식빵의 저장 중 텍스쳐에서 대조구 쌀 식빵과 비교하여 흑미가루 10~20% 첨가 쌀 식빵은 3일간 저장 기간 중에 식빵의 경도에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흑미가루 30% 첨가 쌀 식빵에서는 경도가 현저히 높게 증가하였다. 흑미가루 첨가 쌀 식빵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흑미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흑미 첨가 쌀 식빵의 항산화 활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Yeast-leavened rice bread with added vital wheat gluten was formulated by substituting normal rice flour with 0~30% black rice flour, and the effects of black rice flour substitution on rice bread quality were investigated. Black rice flour contained more protein, lipid, and ash contents than norm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일반 쌀가루에 활성 글루텐, 검 및 유화제를 첨가하여 쌀빵을 제조시에 흑미가루의 부분적인 대체가 쌀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 Trough = minimum viscosity after the peak, breakdown = peak viscosity minus trough viscosity, setback = final viscosity minus peak viscosit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흑미의 효능은? 유색미의 일종인 흑미는 일반 백미와는 달리 겉껍질만 제거되어 현미상태로 도정되기 때문에 일반 백미에 비해 식이섬유 함량이 높으며,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소 함량이 풍부하다(Defa & Xu 1992, Ha et al 1999). 흑미에는 polyphenols, flavonoids, anthocya- nins, γ-oryzanol 등 생리 활성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은 생체에서 항산화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Fardet et al 2008) 알려져 있다. 흑미의 쌀겨층에 존재하는 자홍색 색소인 anthocyanin은 cyanidin-3-glucoside, malvidin-3-glucoside와 같은 배당체를 주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Tsuda et al 1994), 항산화 활성뿐만 아니라 항균 활성, 항변이원성, 혈전 용해 활성, 노화 방지 효과 등 다양한 생리 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Park et al 2008, Ichikawa 2001, Nam et al 1998)바 있다.
흑미는 일반 백미와 비교해 어떤 장점을 갖는가? 최근 기능성 식품에 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쌀에 있어서도 전곡미 형태의 현미를 비롯하여 유색미와 같은 특수미의 섭취가 증가하고 있다. 유색미의 일종인 흑미는 일반 백미와는 달리 겉껍질만 제거되어 현미상태로 도정되기 때문에 일반 백미에 비해 식이섬유 함량이 높으며, 비타민, 무기질 등의 영양소 함량이 풍부하다(Defa & Xu 1992, Ha et al 1999). 흑미에는 polyphenols, flavonoids, anthocya- nins, γ-oryzanol 등 생리 활성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은 생체에서 항산화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Fardet et al 2008) 알려져 있다.
일반 쌀가루에 활성 글루텐, gum 및 유화제를 첨가한 쌀빵 제조 시에 흑미가루의 부분적인 대체(10∼30%)가 쌀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에서, 흑미가루 첨가 쌀 식빵의 내부색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쌀 식빵의 부피는 일반 쌀가루로만 제조한 100% 쌀가루 식빵에 비해 흑미가루의 첨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흑미가루를 첨가한 쌀 식빵의 내부색은 흑미의 어두운 색상에 의해 L값이 현저히 감소하여 어두워졌으며, 적색도는 증가하고, 황색도는 약간 감소하였다. 흑미가루 첨가 쌀 식빵의 저장 중 텍스쳐에서 대조구 쌀 식빵과 비교하여 흑미가루 10∼20% 첨가 쌀 식빵은 3일간 저장 기간 중에 식빵의 경도에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흑미가루 30% 첨가 쌀 식빵에서는 경도가 현저히 높게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ACC (2000)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10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4. Defa G, Xu M (1992) A study on special nutrient of purple glutinous rice. Scientia Agric Sinica 25: 36-41. 

  5. Fardet A, Rock E, Remesy C (2008) Is the in vitro antioxidant potential of whole-grain cereals and cereal products well reflected in vivo? J Cereal Sci 48: 258-276. 

  6. Ha TY, Park SH, Lee CH, Lee SH (1999) Chemical composition of pigmented rice varie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336-341. 

  7. Hiemori M, Koh E, Mitchell E (2009) Influence of cooking on anthocyanins in black rice (Oryza sativa L. japonica var. SBR). J Agric Food Chem 57: 1908-1914. 

  8. Ichkawa H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anthocyanin extract from purple black rice. J Medical Food 4: 211-218. 

  9. Jung DS, Eun JB (2003)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dded with black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38-43. 

  10. Jung DS, Lee FZ, Eun JB (2002) Quality properties of bread made of wheat flour and black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32-237. 

  11. Kang MY, Choi YH, Choi HC (1997) Effects of gums, fats and glutens adding on processing and quality of milled rice bread.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700-704. 

  12. Kang MY, Nam YJ (1999) Studies on bread-making quality of colored rice(Suwon 415) flours. Korean J Food Sci Technol 15: 37-41. 

  13. Kim KE, Lee YT (2009) Combined effects of vital gluten, gum, emulsifiers, and enzyme on the properties of rice bread. Food Engineering Progress 13: 320-325. 

  14. Kim WM, Lee YS (2007) A study on antioxidant activity of bread with waxy black rice flour added. Koean J Culinary Research 13: 178-185. 

  15. Kim JD, Lee JC, Hsieh FH, Eun JB (2001a) Rice cake production using black rice and medium-grain brown rice. Food Sci Biothchnol 10: 315-322. 

  16. Kim MJ, Kim MH, Kim SD (2001b) Effect of black rice powder on fermentation of dough. Korean J Baking 1: 15-19. 

  17. Kulp K, Hepburn FN, Lehmann TA (1974) Preparation of bread without gluten. Baker's Digest 48: 34-37. 

  18. Lai CS, Hoseney RC, Davis AB (1989) Effects of wheat bran in breadmaking. Cereal Chem 66: 217-219. 

  19. Lazaridou A, Duta D, Papageorgiou M, Belc N, Biliaderis CG (2007) Effects of hydrocolloids on dough rheology and bread quality parameters in gluten-free formulations. J Food Eng 79: 1033-1047. 

  20. Lee JS, Oh MS (2006) Qu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black rice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193-203. 

  21. Lee WJ, Jung JK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eparation of noodles from brown rice flour and colored rice flour. Korean J Culinary Research 8: 267-278. 

  22. Lee YS, Kim WM, Kim TH (2007) A study in the rhe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bread added waxy black rice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337-345. 

  23. McCarthy DF, Gallagher E, Gormley TR, Schober TJ, Arendt EK (2005) Application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in the development of gluten-free bread. Cereal Chem 82: 609-615. 

  24. Nam SH, Kang MY (1998) Comparison of inhibitory effect of rice bran-extracts of the colored rice cultivars on carcinogenesis. Agric Chem Biotechnol 41: 78-83. 

  25. Nishita KD, Roberts RL, Bean MM (1976) Development of yeast-leavened rice-bread formula. Cereal Chem 53: 626-635. 

  26. Oh YA, Kim MH, Kim SD (2001) Fermentation of dough and quality of bread with Korean pigmented r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 498-505. 

  27. Park YS, Chang HG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black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06-411. 

  28. Park YS, Kim SJ, Chang HI (2008) Isolation of anthocyanin from black rice (Heugjinjubyeo) and screening of its antioxidant activitie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6: 55-60. 

  29. Pomeranz Y, Shogren MD, Finney KF, Bechtel DB (1977) Fiber in breadmaking-effects on functional properties. Cereal Chem 54: 25-41. 

  30. Seo SJ, Choi Y, Lee SM, Kong S, Lee J (2008)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9-135. 

  31. Song SJ, Lee YS, Rhee CO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cooked black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015-1021. 

  32. Tsuda T, Watanabe M, Ohshima K, Norinobu S, Kawakishi S, Choi SW, Osawa T (1994)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anthocyanin pigments cyanidin $3-O-{\beta}-D-glucoside$ and cyanidin. J Agric Food Chem 42: 2407-2411. 

  33. Yoon JM, Cho MH, Hahn TR, Paik YS, Yoon HH (1997) Physicochemical stability of anthocyanins from a Korean pigmented rice variety as natural food color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211-2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