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시마가루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Laminaria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3, 2003년, pp.406 - 412  

권은아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문정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선희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다시마의 생리 활성과 기능성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빵의 제품화 가능성을 탐색할 목적으로 다시마 가루를 2.5%,5%, 7.5%첨가한 식빵을 제조하여 식빵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장 적절한 다시마 가루의 첨가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다시마 가루를 첨가한 반죽의 제빵 적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온도 27$\pm$1$^{\circ}C$, 상대 습도 75%의 발효 조건에서 90분간 반죽의 발효팽창력을 측정한 결과, 다시마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팽창력 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2.5% 다시마 첨가 수준에서는 대조군과 비슷한 발효팽창력을 나타내었다. 다시마 가루 첨가 식빵의 부피는 다시 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2.5% 다시마 첨가시까지는 부피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시마첨가 식빵의 무게는 크게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7.5% 첨가시에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색도 측정 결과 식 빵 내부의 명도를 나타내는 L값, 적색도를 의미하는 a값은 다시마가루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다시마 가루 첨가량이 증가함께 따라 증가하였다. 즉, 다시마 가루를 첨가할수록 명도는 줄어들고, 적색이 감소하면서 황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식빵의 조직감을 보면 다시마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견고성, 부서짐성은 증가하였으나 점착성, 탄력성, 응집성은 다시마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 결과는 20대 여대생과 50대 주부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두 집단간에 다시마 가루 첨가 식빵에 대한 기호가 유의적으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여대생의 경우 다시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호도가 감소하였으나 2.5% 다시마 첨가군에 대한 평가는 전반적으로 좋게 나타났다. 반면 50대 주부들의 경우에는 2.5% 다시마 첨가한 식빵에 대한 평가점수가 대조군보다 높았다. 5% 다시마 첨가에서도 대체적으로 대조군과 비슷한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시마 가루를 2.5% 첨가한 식빵을 제품화하면 일반적인 식빵에 비해 다시마의 생리 효능을 활용하면서 소비자들의 높은 호응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ith Laminaria powder. Three different powder concentration levels of 2.5%, 5% and 7.5% were added to flour to make the bread. The puffing rate, density, color, and texture were analyzed.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시마의 생리활성과 기능성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식빵의 제품화 가능성을 탐색할 목적으로 다시마 가루를 2.5%, 5%, 7.5% 첨가한 식빵을 제조하여 식빵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장 적절한 다시마 가루의 첨가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생리효능을 갖는 다시 마의 소비를 증대하기 위해서 제빵에서 가장 기본적인 식빵에 다시마 가루를 첨가하고, 식빵의 물리적 특성과 관능적 척도에 가장 적 합한 다시 마 분말의 첨가 수준을 조사하여 제품화의 최적조건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 2002. Trend of Seaweed Cultivation and Production. Vol 13, p 118. 

  2. Hur J. 1999. Dong-ui-bo-gam. Bupin Publishing Co, Seoul. 

  3. Choi JH, Rhim CH, Kim JY, Yang JS, Choi JS, Byun DS. 1986. Basic studies in the development of diet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1. The inhibitory Effect of alginic acid as a dietary fiber on obesity. Bull Kor Fish Soc 19: 303-311. 

  4. Kim SH, Park HY, Park WK. 1988. Determina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dietary fiber in seaweed products. J Kor Soc Food Sci 17: 320-325. 

  5. Lee JH, Sung NJ. 1983. The content of minerals in algae. J Kor Soc Food Sci 12: 51-58. 

  6. Tashiro T. 1983. Analysis of nucleic acid related substances of dried purple laver. Bull Japan Soc Sci Fish 49: 1121-1125. 

  7. Kim EH, Vuksan V, Wong E. 1996. The relationship between viscosity of soluble dietary fiber and their hypoglycemic effects. Kor J Nutr 29: 615-621. 

  8. Lee KS, Lee SR. 1996. Retarding effect of dietary fibers on the glucose and bile acid movement across a dialysis membrane in vitro. Kor J Nutr 29: 738-746. 

  9. Lee HS, Choi MS, Lee YK, Park SH, Kim YJ. 199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igh-fiber supplements for the diabetic patients (I)-Effect of seaweed supplementation on the gastrointestinal function and diabetic symptom control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 J Nutr 29: 286-295. 

  10. Fisher FG, Dorfel H. 1955. The polyuronic acids of brown algae. PartI. J Physiol Chem 302: 186-203. 

  11. Haug A, Larsen B, Smidsrod O. 1967. Studies on the sequence of uronic acid residues in alginic acid. Acta Chemica Scandinabica 21: 691-704. 

  12. Hirst EL, Rees DA. 1965. The structure of algic acid. Part V. Isolation and unambiguous characterization of some hydrolysis products of the methylated polysaccharide. J Chem Soc 8: 1182-1187. 

  13. Hirst EL, Percival E, Wold JK. 1964. The structure of alginic acid. Part IV. Partial hydrolysis of the reduced polysaccharide. J Chem Soc 7: 1493-1499. 

  14. Penman A, Sanderson GR. 1972. A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uronic acid sequence in alginates. Carbohydrate Res 25: 273-282. 

  15. Kim YY, Lee KW, Kim GB, Cho YJ. 2000.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by thermal decomposition. J Kor Fish Soc 33: 393-398. 

  16. Haug A, Smidsrod O. 1962. Determination of intrinsic viscosity of alginate. Acta Chem Scan 15: 1794-1795. 

  17. Haug A, Smidsrod O. 1963. The solubility of alginate at low pH. Acta Chem Scan 17: 1653-1662. 

  18. Hidaka H, Eida T, Takizawa T, Tokuzawa T, Tashiro Y. 1986. Effect of fructooligosaccharide on intestinal flora and human health. Bifidobacteria Microflora 5: 37-50. 

  19. Kuda T, Fujii Saheki T, Hasegawa A, Okuzumi. 1992. Effects of brown algae on faecal flora of rats. Nippon Nogeikagaku kaishi 58: 307-314. 

  20. Choi JH, Chio JS, Byun DS, Yang DS. 1986. Basic studies in the development of diet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II. Comparison of the inhibitory effect of algae and crude drug components on obesity. Bull Kor Fish Soc 19: 485-492. 

  21. Rhu BH, Kim DS, Cho KJ, Sim DB. 1989. Antitumor activity of seaweeds toward Sarcoma-180. Kor J Food Sci Technol 21: 595-600. 

  22. Abdel-Fattah AF, Hussein MD, Fuad ST. 1978. Carbohydrates of the brown seaweed Dictyta dichothoma. Phytochemistry 17: 741-743. 

  23. Haroun-Bouhedja F, Ellouali M, Sinquin C, Boisson-Vidal C. 2000. Relationship between sulfate group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fucans. Thrombosis Res 100: 453-359. 

  24. Colliec S, Fischer AM, Tapon-Bretaudiere H, Boisson C, Durand P, Jozefonvicz J. 1991. Anticoagulant of a fucoidan fraction. Thrombosis Res 64: 143-147. 

  25. Mori H, Kwame H, Nishide HK, Nisizawa M. 1982. Sugar constituents of some sulfated polysaccharides from the sporophylls of wakkame (Undari pinnatifide)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Proc. 10th Intern. Seaweed Symp, p 109. 

  26. Nishino T, Yokoyama G, Dobashi K, Fujihara M, Nagumo T. 1989. Isola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ructose-containing sulfated polysaccharides from the brown seaweed Ecklonia jurome and their blood-anticoagulant activities. Carbohydrate Res 186: 119-129. 

  27. Nishino T, Aizu Y, Nagumo T. 1991. The relation between the molecular weight and the anticoagulant of fucan sulfates from the brown seaweed Ecklonia kurome. Agric Biol Chem 55: 791-797. 

  28. Usui T, Asari K, Mizuno T. 1980. Isolation of highly fucoidan from Eisenia bicyclis and its anticoagulant and antitumor activities. Agric Biol Chem 44: 1965-1970. 

  29. Nishino T, Aizu Y, Nagumo T. 1991.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lecular weight and the anticoagulant activity of two types of fucan sulfates from the brown seaweed Ecklonia kurom. Agric Biol Chem 55: 791-797. 

  30.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2000. Study on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s Using Seaweeds.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 

  31. Cho MK, Lee WJ. 1996. Preparation of high-fiber bread with barley flour. Kor J Food Sci Technol 28: 702-706. 

  32. Choi OJ, Kim YD, Kang SK, Jung HS, Ko MS, Lee HC. 1999. Propert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Angelica keiskei Koidz flour. J Kor Soc Food Sci Nutr 28: 118-125. 

  33. Im JG, Kim YH. 1999. Effect of green tea addition on the quality of white bread. Kor J Soc Food Sci 15: 395-400. 

  34. Kang WW, Kim GY, Kim JK, Oh SL.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added persimmon leaves powder. Kor J Soc Food Sci 16: 336-341. 

  35. Bae JH, Woo HS, Choi HJ, Choi C. 2001. Qualities of bread added with Korean persimmon (Diospyros kaki L. folium) leaf powder. J Kor Soc Food Sci Nutr 30: 882-887. 

  36. Jung HS, Noh KH, Go MK, Song YS. 1999. Effect of leek (Allium tuberosum) powder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eads. J Kor Soc Food Sci Nutr 28: 113-117. 

  37. Kim EJ, Kim SM. 1998.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racts of pine needle according to preparation method. Kor J Food Sci Technol 30: 542-547. 

  38. Pyler EJ. 1988. Baking Science & Technology. Sosland Publishing Company, Kansas City. Vol II. 

  39. Gibson RS. 1990. Principles of Nutritional Assessment. Oxford University press Inc., New York. p 263-280. 

  40. Maleki M, Noseney RC, Mattern PJ. 1980. Effects of loaf volume, moisture content and protein quality on the softness and staling rate of bread. Cereal Chem 57: 138-140. 

  41. Ahn JM, Suh MJ. 1993. Effect of addition of different amount of sea tangle on physi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akes.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