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역할정체성, 자아존중감,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에 따른 메트로섹슈얼 소비
Metro-sexual Consumption in Accordance with Identity of Gender Roles, Self-esteem and Cultural-Soci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19 no.1, 2010년, pp.91 - 102  

남수정 (전주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300 male respondents in their 20s to 50s,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ersonal variables, identity of gender roles, self-esteem and social-cultural attitude towards appearance on metro-sexual consump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선행연구의 결과에서는 외모관리 행동이 반드시 여성성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심층적인 접근이 필요해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역할 정체성과 더불어 메트로섹슈얼 소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봄으써 성역할 정체성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진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고려하여 메트로섹슈얼 소비행동이 실제로 남성의 여성화를 의미하는지, 아니면 현대사회양식에서 부합되어 나타난 또 다른 새로운 유행의 경향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메트로섹슈얼 소비의 관련 변인으로 성역할정체성의 영향력을 검증해 보고 이와 더불어 기존의 외모관리 연구에서 꾸준하게 채택되어 왔던 자아존중감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개인변수, 성역할 정체성, 자아존중감,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등이 메트로섹슈얼 소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20대에서 50대까지의 남성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고려하여 메트로섹슈얼 소비행동이 실제로 남성의 여성화를 의미하는지, 아니면 현대사회양식에서 부합되어 나타난 또 다른 새로운 유행의 경향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메트로섹슈얼 소비의 관련 변인으로 성역할정체성의 영향력을 검증해 보고 이와 더불어 기존의 외모관리 연구에서 꾸준하게 채택되어 왔던 자아존중감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메트로섹슈얼 소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가능해질 수 있으며 메트로섹슈얼 소비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 또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에서 남성과 여성에게 외모적인 차림새에 뚜렷한 차이가 있어왔던 이유는? 오랜 기간 동안 유교적 사상에 지배되어 왔던 한국의 경우 남성과 여성에게 요구되어지는 역할이 뚜렷했던 것만큼 그들의 외모적인 차림새 또한 뚜렷한 차이가 있어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수년 전부터 우리는 각종 매스컴을 통해 “꽃미남”의 용어로 지칭되는 여성과 같이 예쁜 외모를 추구하는 남성들의 모습을 쉽게 발견할 수있으며 기본적인 화장을 하거나 악세사리를 하는 등 자기 자신을 마음껏 꾸미고 있는 남성들의 모습에 어느 정도 익숙해 지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피부미용과 성형에 대한 남성들의 수요가 급증하는 등 남성의 미용에 대한 관심이 커진 이유는? 지난 몇 년간 남성복이 여성복과의 경계를 불확실하게 만들었고, 남성전용 화장품이 출시되었으며 피부미용과 성형에 대한 남성들의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이런 현상은 단순한 미를 향한 욕구뿐만 아니라 사회적 역학관계에서 남성의 외모가 경쟁력이자 개인의 능력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남자의 외모관리는 비즈니스용”, 2006). 복합적인 다원주의를 추구하는 포스터모더니즘의 영향과 현대인의 개성화와 다양화 추세에 따라, 과거의 고정관념을 깨뜨리고 남성적인 이미지 요소와 여성적 이미지 요소를 혼합하여 동시에 표출하는 양성적인 표현이 자유로워지고 있다(박옥련, 이현지, 2004).
메트로섹슈얼이란? 메트로섹슈얼이란 여자 못지않게 의상과 악세사리, 뷰티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자신을 가꾸는 남성으로 규정할수 있는데, 자신의 존재를 부각시키고 사회적인 성공을 추구하기 위해 외모를 관리하는 남성들을 지칭하는 용어라고 할 수 있다. 메트로섹슈얼 소비에 대한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메트로섹슈얼 소비는 적극적인 외모관리의 측면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러한 성향을 여성 성에 대한 개방이고 이를 수용하려 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김경인,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고애란, 심정은. (1998). 청소년 후기 여학생의 체형의식과 자아존중감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Yonsei Journal of Human Ecology, 12, 33-41. 

  2. 권지은. (2003). 직장남성의 이미지컨설팅을 위한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경인. (2006). 21세기 남성 니트웨어에 나타난 여성화 경향 -메트로섹슈얼과 크로스섹슈얼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4), 382-90. 

  4. 김광경, 이금실, 정미실. (2001). 자아존중감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9), 95-102. 

  5. 김선희. (2003).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외모관리행동에 대한 연구-20대 여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1(5), 99-108. 

  6. 김 윤. (2007). 사회문화적 압력, 미적 고정관념의 내면화 및 대상화된 신체의식이 신체만족과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태련, 이선자, 조혜자. (1989). 복식사회심리학, 경춘사. 

  8. 남경태. (2004). 소비자의 성별과 성역할 정체성에 따른 젠더표상 광고의 효과. 한국광고홍보학보, 6(4), 119-149. 

  9. 남자의 외보관리는 비즈니스용 (2006. 2, 9) 조선일보, p. 5 

  10. 박옥련, 이현지. (2004). 1990년대 이후 국내 남성복의 여성화경향. 한국의류학회지, 28(2), 364-375. 

  11. 박혜란. (2007). 20-30대 남성의 외모관리 유형화와 관련변인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송경자, 김재숙. (2005). 신체이미지에 따른 성형요구, 자아개념, 의복행동-다중측정도구를 사용하여. 한국의류학회지, 29(3/4), 391-402. 

  13. 송인섭. (1989). 인간심리와 자아개념. 양서각: 서울. 

  14. 외모가 곧 경쟁력 화장하는 남자들 (2004. 4, 10) 헤럴드경제, p. 7 

  15. 우지영. (2005). 20-30대 남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메트로섹슈얼 성향과 외모관리행동. 경희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16. 유창조, 정혜은. (2002). 소비자의 아름다움 추구와 관련된 탐색적 연구. 소비자학연구, 13(1), 211-231. 

  17. 이상선, 오경자. (2003). 외모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설문지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913-926. 

  18. 이선재. (1991). 성인 여성의 의복행동과 자아개념과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아세아 여성연구, 23, 257-285. 

  19. 이윤정. (2005). 20-30대 남성 소비자들의 의복쇼핑성향과 성역할정체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3(9), 27-40. 

  20. 이윤정. (2007). 남성들의 외모관리행동의 동기에 관한 연구 -성역할 정체성과 의복추구혜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1(4), 551-562. 

  21. 이지현. (2004). 남자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에 관한 연구-성역할정체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현정. (1997). 의복색 선호를 중심으로 한 남자대학생의 패션 관심도 및 성역할 태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임인숙. (2005). 남성의 외모관리 허용 수위와 외모불안 지대. 한국사회학, 39(6), 87-118. 

  24. 정진경. (1990). 한국 성역할 검사(KSRI). 한국심리학회지:사회, 5(1), 82-92. 

  25. 조선명, 고애란. (2001).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신체이미지가 의복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청소년기 여학생의 연령 집단별 차이 비교-. 한국의류학회지, 25(7), 1227-1238. 

  26. 한유화, 정진경. (2007). 2요인 자아존중감 척도: 개인주의적 및 집단주의적 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117-131. 

  27. 홍금희. (2007). 외모지상주의 시대의 남자 대학생의 이상적 신체이미지와 외모관리행동. 여성연구논집(신라대학교여성문제연구소), 18, 187-214. 

  28. 홍금희. (2008). 남자대학생의 대중매체노출도가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외모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2(7), 1149-1159. 

  29. 황윤정, 유태순. (2008).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자아 존중감, 신체적 매력지각이 얼굴 및 헤어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 58(5), 85-95. 

  30. Aune, P., & Aune, K. S. (1994). The influence of culture, gender, and relational status on appearance management.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25(2), 258-272. 

  31. Baumeister, R. F. (1994). Self-esteem. Encyclopedia of human behaver, 4, 83-97. 

  32. Baumeister, R. H., & Tice, D. M. (1985). Self-esteem and responces to success and failure: Subsequent perfermance and intrinsic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53, 450-467. 

  33. Bem, S. L. (1974).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androgyny. Journal of Cu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2, 155-162. 

  34. Bem, S. L. (1977). On the utility of alternative procedures for assessing psychological androgyn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5, 196-205. 

  35. Bloch, J. H. (1973). Conceptions of sex role: some cross-cultural and longitudinal perspectives. American psychologist, 99, 512-526. 

  36. Block, P. H., & Richins, M. L. (1992). You look "Marvelous": the pursuit of beauty and the marketing concept. Psychology and Marketing, 9, 3-15. 

  37. Cook, E. P. (1985). Psychologyical Androgyny. NewYork: Pergamon Press. 

  38. Dion, K., Berschied, E., & Walter, E. (1972). What is beautiful is g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4, 285-290. 

  39. Fesitnger, L. (1954).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 Human Relations, 7, 117-140. 

  40. Fischer, E., & Arnold, S. J. (1994). Sex, gender identity, gender role attitudes, and consumer behavior. Psychology and Marketing, 11(2), 163-182. 

  41. Freedman, R. (1986). Beauty Bounded. Lexington, MA: D. C. Health. 

  42. Heinberg, I. J., Thompson, J. K., & Stomer, S. (199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17(1), 81-89. 

  43. Lennon, S., & Rudd, N. A. (1994). Linkages between attitudes towards gender roles, body satisfaction, self-esteem,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in women. Family and Consumer Science research Journal, 23(2), 94-117. 

  44. Mahoney, E. R., & Finch, M. D. (1976). The dimensionality of body cathexis. Journal of Psychology, 92, 277-279. 

  45. Michael, F. (2003). Metrosexual Guide to Style. Da Capp press, NewYork. 

  46. Secord, P. E., & Jourd, S. M. (1953). The apprisal of body-cathexis and the self. Journal of Counse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7, 343-347. 

  47. Spence, J. T., Helmreich, R., & Stapp, J. (1974). The personal attributes questionnaire: a measure of sex role steretypes and masculinity-femininity. JSAS Catalog of Selected Documents in Psychology, 4,43. 

  48. Thomson, J. K., & Heinberg, L. J. (1999). The media's influence on body image disturbance and eating disorders: we've reviled them, now can we rehabilitate them? Journal of Social Issue, 55(2),339-3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