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 상황과 비정상 상황에서 조종사의 수행을 예측하는 요인
Factors predicting pilots' performance in routine and non-routine situations 원문보기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v.18 no.4, 2010년, pp.92 - 99  

이경수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손영우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about expert performance approach in aviation field and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mount of experience(e.g. total flight hour) is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index of a pilot's expertise or superior performance. 43 pilots participated and comple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1996; Sohn & Doane, 200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공간 정보 처리와 관련된 용량을 측정하기 위해 공간 작업기억 용량만을 측정하였다.
  • 왜냐하면 비정상적인 상황에서는 한 번도 경험하지 않은 상황에 대처하여야 하며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중요한 원리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와 시스템의 작동 원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상 상황과 비정상 상황에서의 수행에는 서로 다른 요인들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고, 경험의 양 이외에 비정상 상황에서의 우수한 수행을 예측하는 개인적인 변인이 무엇인지 탐색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전문가 수행 관점(expert- performance approach)이 항공 분야에서도 적용될 것이라는 전제 하에 진행되었다. 최근의 기술 발달로 인해 조종과 관련된 업무는 단순히 기계를 조작하는 조작 스킬 이외에도 정보를 해석하고 통합하고, 개정하고, 상황에 가장 적합한 판단과 선택을 내려야 하는 고도의 인지적 과제로 변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ndsley의 정의에 의하면 상황인식의 세 단계는 구체적으로 각각 무엇인가? 상황인식을 정의하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Endsley(1995)의 정의에 의하면 상황인식이란 “환경으로부터 오는 정보를 지각하고 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며 지각, 이해, 예측이라는 세 단계로 나누어진다. 첫번째 단계는 환경의 여러 출처로부터 나온 정보 들을 지각하고 두 번째 단계는 지각된 정보들을 통합, 이해하여 현재의 시스템 상황을 의미있고 일관성있게 표상화하고 마지막 셋째 단계는 가까운 미래에 발생할 시스템의 상태를 예측하는 것이다(Endsley, 1995). 본 연구에서는 비행 상황인식의 개념을 정보처리틀에 입각한 Endsley의 이론을 따라 여러 계기판으로부터 제시되는 정보들을 지각하고, 그 정보들을 의미 있는 형태로 통합, 이해하여, 가까운 미래에 발생할 비행기의 상태 및 위치를 예측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의도된 연습은 무엇인가? 연구자는 대개는 간호사들이 자격증을 취득 하는 과정 동안 특별한 훈련 기간을 거치며 수행에 대한 피드백을 받게 된다는 것에 주목하였으며 이것이 의도된 연습(deliberate practice)의 과정과 유사함을 강조하였다. Ericsson 등(2007)의 정의에 의하면 의도된 연습은 수행의 특정 측면을 효과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고안된 특별한 연습 활동으로써 반복적인 연습과 즉각적인 피드백, 성찰과 문제 해결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수행의 목표를 달성할 기회를 제공한다. 위와 같은 특징을 가진 의도된 연습은 전문성을 습득하는 중요하고 필수적인 방법이며 분야를 불문하고 전문가가 되는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것이라고 간주되어 왔다.
멘탈모델은 무엇인가? 비상 상황에서의 조종사 업무 역시 변화 하였는데 항공기와 같은 복잡한 기계는 발생하는 문제도 복잡하며 더군다나 이러한 복잡한 시스템하에서 발생하는 비상상황은 종종 매뉴얼로는 해결할 수 없는 예상치 못한 상황일 경우가 있다. 따라서 “시스템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행동과 환경적인 사건들을 포함하여 전형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인과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표상”(Durso & Gronlund, 1999)으로 정의할 수 있는 멘탈모델(mental model)의 존재는 비상상황에서의 문제 해결과 적합한 대처 행동을 찾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멘탈 모델은 장기 기억에 저장된 일종의 지식 체계(Rouse & Morris, 1985)로 여겨지기 때문에 단순한 반복 학습이 아닌 의도적 학습과 같은 특별한 학습과정과 경험을 통해서 얻어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민영, 손영우, 박수애 (2005). 의사결정의 판단 기준과 정보 선택에 있어서 경험과 맥락의 영향: 조종사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및 조직, 18, 225-246. 

  2. 손영우, 박수애 (2003). 전문성과 작업기억 부하량이 조종사의 상황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6, 155-174. 

  3. 손영우, 이경수 (2009). 조종사 상황인식의 적응적 전문성: 전문가와 초보자의 계기비행 수행 비교. 감성과학, 12, 55-64. 

  4. Adams, J. W., & Hitch, G. J. (1997). Working memory and children's mental addition.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67, 21?38. 

  5. Arbuckle, T. Y., Cooney, R., Milne, J., & Melchoir, A. (1994). Memory for spatial layouts in relation to age and schema typicality. Psychology and Aging, 9, 467-480. 

  6. Carretta, T. R., Perry, D. C., & Ree, M. J. (1996). Prediction of situational awareness in F-15 pilots. International Journal of Aviation Psychology, 6, 21-41. 

  7. Daneman, M., & Merikle, P. M. (1996). Working memory and language comprehension: A meta-analysis. Psychonomic Bulletin & Review, 3, 422?433. 

  8. Daneman, M., & Tardif, T. (1987). Working memory and reading skill reexamined. In M. Coltheart (Ed.), Attention and performance XII: The psychology of reading (pp. 491?508). Hillsdale, NJ: Erlbaum. 

  9. Durso, F. T., & Gronlund, S. D. (1999). Situation awareness. In F. T. Durso, R. Nickerson, R. Schvaneveldt, S. Dumais, S. Lindsay, & M. T. H. Chi (Eds.), The handbook of applied cognition (pp. 283-314). New York: Wiley. 

  10. Henderson-Everhardus MC. (2004). Does Nursing Expertise Contribute to the Accuracy of Vascular Assessment in the Detection of Peripheral Arterial Disease? [dissertation]. Denton: Texas Women's College. 

  11. Endsley, M. R. (1995). Toward a theory of situation awareness in dynamic systems. Human Factors, 37, 32-64. 

  12. Endsley, M. R. (2006). Expertise and situation awareness. In K. A. Ericsson, N. Charness, P. J. Feltovich, & R. Hoffman (Eds), The Cambridge handbook of expertise and expert performance, (pp.633-651).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3. Engle, R. W., Cantor, J., & Carullo, J. (1992). Individual differences in working memory and comprehension: A test of four hypothese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18, 972-992. 

  14. Ericsson, K. A. (2006). The influence of experience and deliberate practice on the development of superior expert performance. In K. A. Ericsson, N. Charness, P. J. Feltovich, & R. Hoffman (Eds), The Cambridge handbook of expertise and expert performance, (pp.683-705).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5. Ericsson, K. A. & Kintsch, W. (1995). Long-term working memory. Psychological Review 102, 211?245. 

  16. Ericsson, K. A., Whyte, J., & Ward, P. (2007). Expert performance in nursing: Reviewing research on expertise in nursing within the framework of the expert- performance approa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30, E58-E71. 

  17. Kiewra, K. A., & Benton, S. L. (1988).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processing ability and notetaking.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13, 33?44. 

  18. Morrow D. G., Menard, W. E., Stine-Morrow, E. A. L., Teller, T. & Bryant, D. (2001). The influence of expertise and task factors on age differences in pilot communication. Psychology and aging, 16, 31-46. 

  19. Rouse, W. B., & Morris, N. M. (1985). On looking into the black box: Prospects and limits in the search for mental models (DTIC #AD-A159080). Atlanta, GA: Center for Man-Machine Systems Research,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20. Shah, P., & Miyake, A. (1996). The separability of working memory resources for spatial thinking and language processing: An individual differences approach.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25, 4-27. 

  21. Sohn, Y. W., & Doane, S. M. (2003). Roles of working memory capacity and long-term working memory skill in complex task performance. Memory & Cognition, 31, 458-466. 

  22. Sohn, Y. W., & Doane, S. M. (2004). Memory Processes of Flight Situation Awareness: Interactive Roles of Working Memory Capacity, Long-Term Working Memory, and Expertise. Human Factors, 46, 461?475. 

  23. Taylor, J. L., Kennedy, Q., Noda, A., & Yesavage, A. (2007). Pilot age and expertise predict flight simulator performance: a 3-year longitudinal study. Neurology, 68, 648-6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