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아동의 발열과 발열관리: 문헌고찰
Fever and Fever Management in Children: A Literature Review 원문보기

아동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v.16 no.1, 2010년, pp.30 - 40  

정용선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  김진선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review were to identify whether available evidence supports the nursing interventions that are commonly used to reduce fever in children and to introduce research findings into practice. Methods: Journal databases and clinical guidelines from 1990 to 2009 were searche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열의 정의는? 발열은 면역자극에 대한 정상적 적응반응으로, 일중변동(daily variation)을 넘어서 체온이 증가한 것(NICE, 2007; Thompson, 2005) 또는 병리적인 자극의 결과로 인해 시상하부 체온 기준점이 상승한 것으로 정의한다. 발열의 정의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양하지만 여러 전문가들은 직장 또는 고막체온이 38℃, 구강체온이 37.
내인성 발열물질은 무엇을 포함하는가? 외인성 발열물질은 주로 병원균, 세균독소, 항원/항체 복합체 등으로, 인체의 세포를 자극하여 내인성 발열물질의 방출을 자극하여 체온상승을 유도한다. 내인성 발열물질에는 인터루킨(interleukin), 인터페론(interferons), 그리고 종양괴사인자-a(tumor necrosis factor-a)가 포함된다. 내인성 발열물질이 프로스타그란딘 E2 (prostaglandin E2, PGE2)의 생산을 자극하게 되고, 이 PGE2가 체온조절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체온의 기준점을 증가시킨다.
아동의 발열관리에 소아과 병동과 가정에서는 어떤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가? 또한 과거 수십년 동안 발열의 긍정적인 효과를 입증하는 많은 과학적 근거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임상이나 지역사회에서 행해지고 있는 발열관리는 아직도 과학적 근거가 잘 반영되지 않고 있다(El-Radhi, 2008). 임상에서 소아과 의사들은 열이 있는 아동에게 경증 또는 중등증의 발열 시에도 즉시 또는 필요 시 해열제를 처방하는 경향이 있으며 간호사나 부모는 열이 있지만 잘 노는 아동에게조차 해열제를 투여하는 경향이 있다(Carson, 2003). 또한 지금도 소아과 병동과 가정에서 여러 연구 결과 해열에 별 효과가 없으며 불편감을 초래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말 것을 권고하고 있는 미온수 목욕을 해열중재로 흔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과학적 근거가 확실히 입증되지 않은 아세타미노펜과 이부프로펜을 교대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Carson, 2003; El-Radhi, 2008; Jeong & Kim,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ves, J. G., Almeida, N. D., & Almeida, C. D. (2008). Tepid sponging plus dipyrone versus dipyrone alone for reducing body temperature in febrile children. Sao Paulo Medical Journal, 126, 107-111. 

  2. Broom, M. (2007). Physiology of fever. Paediatric Nursing, 19(6), 40-44. 

  3. Broome, M. E., Dokken, D. L., Broome, C. D., Woodring, B., & Stegelman, M. F. (2003). A study of parent/grandparent education for managing a febrile illness using the CALM approach. Journal of Pediatric Health Care, 17, 176-183. 

  4. Carson, S. M. (2003). Alternating acetaminophen and ibuprofen in the febrile child: Examination of the evidence regarding efficacy and safety. Pediatric Nursing, 29, 379-382. 

  5. Crocetti, M., Moghbeli, N., & Serwint, J. (2001). Fever phobia revisited: Have parental misconceptions about fever changed in 20 years? Pediatrics, 107, 1241-1246. 

  6. Crocetti, M., & Serwint, J. (2005). Fever: Separating fact from fiction. Contemporary Pediatrics, 22, 34-42. 

  7. Edwards, H., Walsh, A., Courtney, M., Monaghan, S., Wilson, J., & Young, J. (2007). Promoting evidence-based childhood fever management through a peer education programme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 1966-1979. 

  8. El-Radhi, A. S. (2008). Why is the evidence not affecting the practice of fever management?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93, 918-920. 

  9. Erlewyn-Lajeunesse, M. D., Coppens, K., Hunt, L. P., Chinnick, P. J., Davies, P., Higginson, I. M., et al. (2006).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combined paracetamol and ibuprofen for fever.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91, 414-416. 

  10. Goldstein, L. H., Berlin, M., Berkovitch, M., & Kozer, E. (2008). Effectiveness of oral vs rectal acetaminophen: A meta-analysis. Archives of Pediatrics &Adolescent Medicine, 162, 1042-1046. 

  11. Hay, A. D., Redmond, N. M., Costelloe, C., Montgomery, A. A., Fletcher, M., Hollinghurst, S., et al. (2009). Paracetamol and ibuprofen for the treatment of fever in children: The PITCH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13(27), 1-163. 

  12. Jeong, Y. S., & Kim, J. S. (2009). Pediatric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childhood fev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15, 171-181. 

  13. Kanabar, D., Dale, S., & Rawat, M. (2007). A review of ibuprofen and acetaminophen use in febrile children and the occurrence of asthma-related symptoms. Clinical Therapeutics, 29, 2716-2723. 

  14. Lesko, S. M., Louik, C., Vezina, R. M., & Mitchell. A. A. (2002). Asthma morbidity after the short-term use of ibuprofen in children. Pediatrics, 109(2), E20. 

  15. Nabuli, M., Tamim, H., Sabra, R., Mahfoud, Z., Malaeb, S., Fakih, H., et al. (2005). Equal antipyretic effectiveness of oral and rectal acetaminoph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Pediatrics, 5, 35. 

  16.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2007). Feverish illness in children: Assessment and initial management in children younger than 5 years of age. London: RCOG Press. Retrieved January 10, 2009, from http://www.nice.org.uk/nicemedia/pdf/CG47Guidance.pdf 

  17. Nourjah, P., Ahmad, S. R., Karwoski, C., & Willy, M. (2006). Estimates of acetaminophen (paracetamol) associated overdoses in the US. Pharmacoepidemiology and Drug Safety, 15, 398-405. 

  18. O'Connor, S. (2002). Antipyretics in the pediatric A & E setting: A review. Pediatric Nursing, 14(3), 33-35. 

  19. Pavlovic, M., Radlovic, N., & Lekovic, Z., & Berenji, K. (2008). Comparison of different methods of temperature measurement in children. Medicineski Pregled, 61, 615-619. 

  20. Perrott, D., Piira, T., Goodenough, B., & Champion, D. (2004). Efficacy and safety of acetaminophen vs ibuprofen for treating children's pain or fever: A meta-analysis. Archives of Pediatrics &Adolescent Medicine, 158, 521-526. 

  21. Purssell, E. (2002). Treating fever in children: Paracetamol or ibuprofen? British Journal of Community Nursing, 7, 316-320. 

  22. Pusic, M. V. (2007). Clinical management of fever in children younger than three of age. Pediatric Child Health, 12, 469-472. 

  23. Royal College of Nursing. (2008). Caring for children with fever. RCN good practice guidance for nurses working with infants, children and young people. RCN publication code: 003 267. Retrieved March 13, 2009, from www.rcn.org.uk/publications 

  24. Russell, F. M., Shann, F., Curtis, N., & Mulholland, K. (2003). Evidence on the use of paracetamol in febrile children.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81, 367-372. 

  25. Schmitt, B. D. (1980). Fever phobia: Misconceptions of parents about phobia. American Journal of Diseases of Children, 134, 176-181. 

  26. Thomas, S., Vijaykumar, C., Naik, R., Moses, P. D., & Antonisamy, B. (2009).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tepid sponging and antipyretic drug versus only antipyretic drug in the management of fever among childr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dian Pediatrics, 46, 133-136. 

  27. Thompson, H. J. (2005). Fever: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1, 484-492. 

  28. Totapally, B. R. (2005). Fever, fever phobia and hyperthermia: What pediatricians need to know. International Pediatrics, 20, 95-103. 

  29. Walsh, A. M., Edwards, H. E., Courtney, M. D., Wilson, J. E., & Monaghan, S. J. (2005). Fever management: Pediatric nurses' knowledge, attitudes and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9, 453-464. 

  30. Warwick, C. (2008). Paracetamol and fever management. The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Health, 128, 320-3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Hybrid)

저자가 APC(Article Processing Charge)를 지불한 논문에 한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hybrid 저널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