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미자 발효음료의 알코올 분해능과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및 α-Glucosidase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α-Glucosidase, and Alcohol Metabolizing Activity of Ferment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eve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5, 2010년, pp.655 - 661  

조은경 (신라대학교 바이오식품소재학과) ,  조혜은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영주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통발효식품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경상남도 거창 농가로부터 구입한 오미자를 발효시켜 오미자 발효액을 제조하였으며,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오미자 발효액의 혈전분해능에 대해 분석한 결과, 혈전용 해제로 알려져 있는 plasmin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고혈압 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항고혈압제인 captopril은 93.4%의 ACE 억제효과가 나타났고, 5배 희석한 오미자 발효액(20%)에서는 94.8%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오미자 발효액은 인체에 부작용이 적은 천연 항고혈압소재로서 이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혈당 강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alpha$-amylase와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오미자 발효액의 pancreatin $\alpha$-amylase에 대한 저해 효과를 검토한 결과 오미자 발효액 25%의 농도에서 7.4%의 저해효과가 나타났고 오미자 발효원액인 100%에서는 100%의 높은 $\alpha$-amylase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오미자 발효액의 $\alpha$-amylase 저해활성은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오미자 발효액의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를 조사한 결과 30%의 농도에서 15.8%, 60%의 농도에서 49%의 저해활성을 나타냈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실험에서는 positive control인 Vit. C 0.1%의 경우 pH 1.2와 3.0에서는 61~76%, pH 6.0에서는 49%의 소거능을 보인 반면 오미자 발효원액(100%)의 경우 pH 1.2와 3.0에서는 72~96%, pH 6.0에서는 68%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오미자 발효액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오미자 발효액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오미자 발효액은 acetaldehyde 분해능은 없는 반면, 알코올 분해능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오미자 발효액의 우수한 기능성식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그 가치가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utraceutical role of ferment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everage (FOB) was determined through the analysis of fibrinolytic and alcohol metabolizing activities,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Firstly, FO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숙취의 주 원인물질인 acet-aldehyde는 체내에서 흡수된 알코올이 분해 시 생성되는 대사산물로서 단순히 ADH만 활성화시키면 혈중 알코올 농도는 빠르게 감소시킬 수 있으나 간이나 혈액에 남아있는 acetaldehyde는 계속 축적이 되어 심한 숙취를 일으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acetaldehyde의 분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소인 ALDH의 활성에 오미자 발효액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오미자 발효액의 ADH및 ALDH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는 반응 후의 최대 흡광도와 효소의 반응 속도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ADH에 대한 결과는 Fig.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 열매를 기존의 추출방법을 통한 일반 추출이 아닌 새로운 전통발효 공정을 통하여 발효시켜 생리활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오미자 발효음료의 잘 알려져 있지 않는 혈전분해능과 항고혈압 및 숙취해소 효과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기능성 음료개발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산성 영역에서 니트로사민의 생성인자인 아질산염을 효과적으로 소거하여 니트로사민의 생성을 억제하는데 기여하는 물질들을 찾고자 연구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 발효액이 아질산염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오미자 발효액의 농도별, pH별 아질산염 소거능에 대한 결과는 Fig.
  • 하지만 어떤 장애로 인한 불균형으로 인하여 혈전이 분해되지 않고 응집되어 혈관에 축적됨으로써 혈전증을 야기한다(19).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의 혈전분해능을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오미자 발효액에서 혈전분해능이 나타났다(Fig. 1). Positive control인 plasmin 20 μg과 비교실험을 실시한 결과 오미자 발효액에서 높은 혈전분해능을 나타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 열매를 기존의 추출방법을 통한 일반 추출이 아닌 새로운 전통발효 공정을 통하여 발효시켜 생리활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오미자 발효음료의 잘 알려져 있지 않는 혈전분해능과 항고혈압 및 숙취해소 효과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기능성 음료개발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미자의 효능에는 무엇이 있는가? 오미자의 효능으로는 자양, 강장, 지사, 진해제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1,2) 중추신경의 기능 강화, 혈액순환 개선, 혈당 강하 작용, 간 기능의 복구에 대해서도 보고되어 있다(3-5). 이들은 모두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추출물에 대한 생리활성 분석으로써 지금까지 연구되어 왔으며 오미자 발효물질의 생리활성을 연구한 결과는 거의 없다.
발효란? 발효는 미생물의 활동으로 유기화합물이 분해되면서 알코올, 유기산, 탄산가스 등 분해산물을 생성하는 작용으로 양조 및 식품의 저장·활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오랜 역사를 가진 공정이다. 발효식품은 장류를 비롯하여 식초, 젓갈류, 발효유제품 등 종류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지역적 특성에 따라서도 다양한 양상을 띠고 있어 그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가정에서 오미자주를 어떻게 음용했는가? 이들은 모두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추출물에 대한 생리활성 분석으로써 지금까지 연구되어 왔으며 오미자 발효물질의 생리활성을 연구한 결과는 거의 없다. 이는 오미자의 경우 과실자체에 발효성 당이 거의 없고 효모영양이 적기 때문인데, 가정에서는 단순히 소주 등과 같은 술에 오미자 열매를 담근 상태에서 오미자를 침출시켜 많이 음용해 왔다. 이것을 오미자주라 하여 약용주로 활용되어 왔는데, 제조가 용이하고 색 기호면에서 선호되는 반면 오미자의 기능성을 충분히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Hsieh MT, Tsai ML, Peng WH, Wu CR. 1999. Effects of Schizandrae fructus on cycloheximide-induced amnesia in rats. Phytother Res 13: 256-257. 

  2. Nishiyama N, Chu PJ, Saito H. 1996. A herbal prescription, S-113m, consisting of biota, ginseng and Schizandra improves learning performance in senescence accelerated mouse. Biol Pharm Bull 19: 388-393. 

  3. Ip SP, Che CT, Ko KM. 1998.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 of Schizandrins in enhancing liver mitochondrial glutathione status in $CCl_4$ -poisoned mice. Chung Kuo Yao Li Hsueh Pao 19: 313-316. 

  4. Molokovskii DS, Davydov VV, Tiulenev VV. 1987. The action of adaptogenic plant preparations in experimental alloxan diabetes. Probi Endokrinol 35: 82-87. 

  5. Zhu M, Lin KF, Yeung RY, Li RC. 1999. Evaluation of the protective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on phase I drug metabolism using a $CCl_4$ intoxication model. J Ethnopharmacol 67: 61-68. 

  6. Mok CK.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tea prepared from spray-dried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grape juice mixture. Food Engineer Progress 9: 226-230. 

  7. Park MS, Rim YS, Shin SC. 2006. Comparison of the properties and extracting conditions of juice preparation from Schizandra nigar. J Korean Forestry Soc 95: 453-485. 

  8. Bae IY, Yoon EJ, Woo JM, Kim JS, Lee HG, Yang CB. 2002. Th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wine using the fruits of Opurtia ficus-indica var. saboten; characteristics of mashes and sojue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5: 11-17. 

  9. Ahn SW, Kim MH, Chung WT, Hwang B, Seong NS, Lee HY. 2000. Enhancement of alcohol fermentation yield by adding the extract of dried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351-361. 

  10. Hong SW, Kim JY, Lee BK, Chung KS. 2006. The bacterial and biological response modified enriched Chungkookja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48-553. 

  11. Astrub T, Hullertz S. 1952. The fibrin plate method for estimating fibrinolytic activity. Arch Biochem Biophy 40: 346-351. 

  12. Cavidson PH, Parish ME. 1989. Methods of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Food Technol 43: 148-150. 

  13. Tibbot BK, Skadsen RW. 1996.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ibberellin-inducible, putative ${\alpha}$ -glucosidase gene from barley. Plant Mol Biol 30: 229-241. 

  14. Cushman DW, Cheung H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15. Gray JI,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40: 981-984. 

  16. Choi JT, Joo HK, Lee SK. 1995. The effect of Schizandrae fructus extract on alcohol fermentation and enzyme activitie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gric Chem Biotechnol 38: 278-282. 

  17. Racker E. 1973. Alcohol dehydrogenase in rat liver. Biochem J 135: 577-581. 

  18. Tottmar SO, Petterson H, Kiessling KH. 1973. The subcellular distribution and properties of aldehyde dehydrogenase in rat liver. Biochem J 135: 577-581. 

  19. Peng Y, Yang XJ, Zhang Y. 2005. Microbial fibrinolytic enzymes: an overview of source, production, properties, and thrombolytic activity in vivo. Appl Microbiol Biotechnol 69: 126-132. 

  20. Lee SK, Bae DH, Kwon TJ, Lee SB, Lee HH, Park JH, Heo S. 2001.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fibrinolytic enzyme form Bacillus sp. KDO-13 isolated from soybean paste. J Microbiol Biotechnol 11: 845-845. 

  21. Peng Y, Huang Q, Zhang RH, Zhang YZ. 2003.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fibrinolytic enzyme produced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DC-4 screened from douchi, a traditional Chinese soybean food. Comparative Biochem Physiol Part B 134: 45-52. 

  22. Lee YH, Lee SH, Jeon JM, Kim HC, Cho YU, Park KH, Choi YJ, Gal SW. 2005.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gene for fibrinolytic enzyme from Bacillus subtilis BB-1 isolated from black bean Chung-kuk. J Life Sci 15: 513-521. 

  23. Lee SS, Kim SM, Park UK, Kim HY, Shin IS. 2002. Studies on proteolytic and fibrinolytic activity of Bacillus subtilis JM-3 isolated from anchovy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83-289. 

  24. Paik HD, Lee SK, Heo S, Kim SY, Lee HH, Kwon TJ. 2004.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fibrinolytic enzym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KCK-7 from Chung Kookjang. J Microbiol Biotechnol 14: 829-835. 

  25. Maruyama S, Nakagomi K, Tomizuka N, Suzuki H. 1985.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derived from an enzymatic hydrolysate of casein. Agric Biol Chem 49: 1405-1410. 

  26. Park YE, Cho HM, Lee HJ, Hwang YS, Choi SSN, Lee SJ, Park ES, Lim JD, Choung MG. 2007. Antioxidant and inhibition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tivity of colored potato extracts. Korean J Crop Sci 52: 447-452. 

  27. Cho YJ, Ju IS, Kim BC, Lee WS, Kim MJ. 2007. Biologic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s. Korean J Appl Biol Chem 50: 198-203. 

  28. Ko BS, Park SK, Choi SB, Jun DH, Choi MK, Park SM. 2004. A study on hypoglycemic effect on crude extracts of Schizandrae Fructu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258-264. 

  29. Shinde J, Taldone T, Barletta M, Kunaparaju N, Hu B, Kumar S, Placido J, William ZS. 2008.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Syaygium cumini (Linn.) Skeels seed kernel in vitro and in Goto-Kakizaki (GK) rats. Carbohydr Res 343: 1278-1281. 

  30. Baron AD. 1998. Postprandial hyperglycemia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s. Diabetes Res Clinical Practice 40: 51-55. 

  31. Park YB, Lee TG, Kim OK, Do JR, Yeo SG, Park YH, Kim SB. 1995. Characteristics of nitrite scavenger derived from seeds of Cassia tora L.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24-128. 

  32. Kwon HJ, Park CS. 2008.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Preserv 15: 587-592. 

  33. Jeon TW, Jo C, Kim KH, Byun MW. 2002.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nd xanthine oxidas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Schizandrae fructus extract by gamma irradiation. Korean J Food Preserv 9: 369-374. 

  34. Hwang JY, Ham JW, Nam SH. 2004. Effect of Maesil (Prunus mume) juice on the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29-332. 

  35. Kim MH, Chung YT, Lee JH, Park YS, Shin MK, Kim HS, Kim DH, Lee HY. 2000. Hepatic detoxification activity and reduction of serum alcohol concentration of Hovenia dulcis $T_{HUNB}$ from Korea and Chin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225-2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