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확시기에 따른 대학찰옥수수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aehak Waxy Corns with Different Harvest Tim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5, 2010년, pp.719 - 724  

이상훈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황인국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현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하규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성희 (괴산군 농업연구소) ,  우선희 (충북대학교 식물자원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확시기에 따른 대학찰옥수수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확시기를 적기, 전기(-4일) 및 후기(+4일)로 달리하여 종실특성, 일반성분, 유리당, 무기성분, 지방산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낟알의 백립중, 높이와 넓이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수분을 제외한 조회분, 조지방 및 조단백 함량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및 sucrose가 검출되었으며,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무기성분 중 구리, 나트륨, 칼슘 및 칼륨은 수확시기가 빨라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철과 아연은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지방산은 불포화지방산이 약75%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oleic acid, palmitic acid 및 palmitoleic acid가 주요 지방산이었다. 수확적기 이후에 수확된 대학찰옥수수의 에탄올 추출물은 총 폴리페놀 함량이 104.45 mg/100 g으로 가장 많았으며, 항산화활성도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aehak waxy corns harvested at different times. Daehak waxy corns were harvested at 4 days before suitable time (BST), suitable time (ST) and 4 days after suitable time (AST). As harvest time was delayed, weig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대학찰옥수수에 대한 연구로는 찰옥수수 F1 교잡 종인 찰옥1, 2, 4호, 흑점찰 및 수원45호 등의 종실특성, 일반성분 함량, 호화특성, 물성 분석 및 관능평가를 통하여 찰옥 수수의 식미와 관련된 품질특성에 관한 상관관계를 밝히고 자한 연구(8)와 찰옥1, 2호와 함께 파종시기에 따른 생육특 성, 경도의 변이 등 등숙특성을 분석하여 찰옥수수 품종개량 및 재배기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한 연구(9) 등 다른 찰옥수수 품종에 비하여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 본 연구에서는 수확시기에 따라 대학찰옥수수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수확시기를 적기, 전기(-4일) 및 후기(+4일)로 달리하여 종실특성, 일반성분, 유리당, 무기성분, 지방산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확시기에 따른 대학찰옥수수의 유리당 함량은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어떻게 나타났는가?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fructose, glucose 및 sucrose 3개의 당이 검출되었으며, glucose, fructose, sucrose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전기, 적기 및 후기의 fructose와 glucose는 각각 1.48~0.32 및 1.90 ~0.81%(dry basis) 범위에서 감소하였으며(p<0.05), sucrose는 0.57~0.15% 범위에서 감소하였으나 전기와 적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Jung 등(8)은 6가지 찰옥수수 교잡종의 유리당 함량 측정 결과, fructose, glucose, sucrose 및 maltose가 검출되었으며, 연농1호의 경우 각각 2.
대표적인 찰옥수수 품종은 무엇이 있는가? 최근 농산물시장의 개방 및 수요 다변화에 따라 농산물의 가격변동이 커지고 있으며, 기존 기간작목의 수익성 저하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특성을 고려한 새로운 소득 작목 개발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찰옥수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재배면적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찰옥수수 품종으로는 찰옥1호, 찰옥2호, 두메찰, 흑점찰과 연농1호 등이 있다(1). 이 가운데 대학찰옥수수(연농 1호)는 재래종 찰옥수수에서 선발된 자식계통사이의 열성단 교잡종(F1)으로 육성된 품종으로 외관형태는 일미찰보다 다소 떨어지나 고소한 맛, 차진 맛 및 전반적인기호도 측면에서는 찰옥1호보다 우수하며, 과피가 얇고 당도가 높아 품질의 우수성이 많이 알려져 있다.
수확시기에 따른 대학찰옥수수의 수분, 조회분, 조지방 및 조단백질의 함량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수확시기에 따른 대학찰옥수수의 수분, 조회분, 조지방 및 조단백질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수분 함량은 전기, 적기 및 후기에서 각각 72.72, 64.02 및 54.50%로 감소하였으나, 조회분, 조지방 및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0.63~0.85, 0.96~2.34 및 3.82~5.03%(wet basis) 범위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o SY, Choi DC, Yu CJ. 2005. Analysis of management conditions of waxy corn in Chonbuk region. Bulletin of the Agricultural Colleg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36: 154-164. 

  2. Kim SL, Park SU, Cha SW, Seo JH, Jung TW. 1994. Changes of major quality characters during grain filling in waxy corn and super sweet corn. Korean J Crop Sci 39: 73-78. 

  3. Jung TW, Moon HG, Cha SW, Kim SL, Kim SK, Son BY. 2001. Comparison of grain quality characteristics in waxy corn hybrids with a white and a black colored pericarp. Korean J Breed 33: 40-44. 

  4. Lee IS, Kim SI. 2007. Pericarp thickness of Korean local waxy corn lines collected from Busan and Gyungnam. J Life Sci 17: 116-119. 

  5. Seo YH, Kim IJ, Lee AS, Min HK. 1999.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tocopherols and carotenoids in waxy corn (Zea mays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581-585. 

  6. Seo YH, Kim IJ, Min HG, Lee HI, Park SU. 1999. Fatty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waxy corn (Zea mays L.) F1'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15-1420. 

  7. Lee HB, Park BY, Ji HC, Cho JW, Kim SH, Mo EK, Lee MR. 2006. Antioxidant activity and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colored waxy corns. Korean J Crop Sci 51: 179-184. 

  8. Jung TW, Kim SL, Moon HG, Son BY, Kim SJ, Kim SK. 2005. Major characteristics related to eating quality in waxy corn hybrids. Korean J Crop Sci 50: 152-160. 

  9. Yun JT, Park SU, Lee SY, Song SH, Moon HG, Kim KH. 1999. Grain filling characteristics of waxy corn hybrids at different planting dates. Korean J Breed 31: 7-13. 

  10.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31. 

  11. Bae SK, Lee YC, Kim HW. 2001. The browning reaction and inhibition on apple concentrated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6-13. 

  12. Lee JI, Kye BM. 1970. Effect of oil quality by extracting hour on rape. Res Rept RDA (C.P) 13: 89-94. 

  13. Dewanto V, Xianzhong W,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14. Choi Y, Kim MH, Shin JJ, Park JM, Lee J.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1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3. 

  16. Son YK, Kim SL, Hwang JJ, Kim SY, Horino T. 1996. Changes in free sugar and free amino acid contents of vegetable corn. Korean J Crop Sci 41: 114-115. 

  17. Lee JK, Park HS, Kim YG, Chung JW, Na KJ, Kim MC, Lee SC, Yook WB. 2004. Effect of the seeding and harvesting dat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dry matter yield and quality of corn for silage in alpine areas. J Kor Grassl Forage Sci 24: 115-122. 

  18. Lim SH, Kim DA. 1996. Effect of different harvest dates on dry matter yield and forage quality of corn (Zea Mays L.). J Kor Grassl Forage Sci 16: 75-80. 

  19. Kim SL, Park SU, Cha SW, Seo JH, Jung TW. 1994. Changes of major quality characters during grain filling in waxy corn and super sweet corn. Korean J Crop Sci 39: 73-78. 

  20. Park SU, Cha SW, Son YH, Son YK. 1992. Changes of sugar content by different storage durations in sweet corn and super sweet corn. Korean J Crop Sci 39: 79-84. 

  21. Chung GJ. 2001. Food Composition Table. 6th ed.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R.D.A., Suwon, Korea. Vol I, p 48-49. 

  22. Jellum MD, Marion JE. 1966. Factors affecting oil content and oil composition of corn grain. Crop Sci 6: 41-42. 

  23. Hwang IG, Woo KS, Kim TM, Kim DJ, Yang MH, Jeong HS. 2006.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juice with heat treatment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42-3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