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쌀과 일반쌀의 품질,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Physi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y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R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5, 2010년, pp.725 - 730  

박장현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식품연구소) ,  남승희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식품연구소) ,  김영옥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식품연구소) ,  권오도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쌀연구소) ,  안귀남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쌀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재배 및 유기재배로 생산된 쌀의 품질 및 이화학적 특성, 기능성 및 관능평가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쌀 품질 분석 결과, 일반 쌀이 유기재배 쌀보다 6% 완전립 비율이 높고 쇄미 등 불완전립 비율이 낮았으며, 이화학적 특징인 아밀로스, 단백질, 취반미 윤기특성, 산가 등은 일반 쌀에 비해 유기재배 쌀이 약간 양호하였으나, 알칼리 붕괴도와 아미노산 Asp, Ser, Glu, Ala, Leu, Arg는 일반 쌀과 유기재배 쌀 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그러나 Thr, Val, Ile, Met, Phe, Lys, His 아미노산은 유기재배 쌀이 일반 쌀보다 함량이 많은 경향을 볼 수 있었다. 아미노산 성분중 일반 쌀과 유기재배 쌀의 무기성분 중 칼슘 같은 다량 성분은 차이가 없었지만, 붕소, 망간, 철, 아연 4가지 미량요소는 유기재배 쌀에서 1.1~2.7 mg/100 g 함량이 더 많았다. 기능성 조사 결과, 총 페놀화합물과 phytic acid 함량은 유기재배 쌀에서 89%와 23% 각각 더 많았고 항산화 활성도 유기재배 쌀에서 일반 쌀보다 4% 더 높게 나왔다. 관능평가 결과, 쌀 찰기, 맛, 식미감 분야에서 일반 쌀이 유기재배 쌀보다 밥맛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fferences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rice were studied from the point of view of quality, physiochemical property and functionality. It was concluded that organic rice showed a 6% lower complete rice ratio than conventional rice. However, organic rice exhibited more excellent physioche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결과, 친환경 농산물이 소비자의 신뢰를 높이고, 생산자 품질 향상 노력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다양하고 명확한 기준설정이 중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친환경 및 일반재배 쌀의 품질 분석을 통해 어떤 차별성이 있는가를 고찰하고자 시험을 수행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7년 우리나라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얼마인가? 6 kg을 정점으로 2003년 83.2 kg, 2007년 76.9 kg으로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1). 이는 식생활 패턴이 밥에서 패스트푸드나 인스턴트 식품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되며, 이에 따라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성인병 발생이 증가되고 있는데 이는 서구식 식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2).
우리나라의 쌀 소비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되는가? 9 kg으로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1). 이는 식생활 패턴이 밥에서 패스트푸드나 인스턴트 식품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되며, 이에 따라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성인병 발생이 증가되고 있는데 이는 서구식 식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2). 
친환경농업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친환경농업이란 농업과 환경을 조화시켜 지속가능한 농업생산을 추구하는 농업형태로 합성농약, 화학비료 등 화학 투입재 사용을 최대한 줄이고 자원 재활용을 통해 지역자원과 환경보전을 통해 장기적으로 일정 생산성과 수익성 확보 및 안전식품 생산을 가능케 하는 농업을 말하는데, 이런 맥락에서 친환경 재배 쌀은 농약 및 화학비료의 사용을 지양하고 유기물과 자연자재를 이용해 벼를 재배함으로써 토양 중 유용미생물의 활동을 왕성하게 함으로써 각종 미량원소 및 무기질관련 성분 흡수가 양호해 일반재배 쌀에 비해 기호성이 개선되리라 생각된다(8). Park 등(9)과 Han 등(10)은 오리를 이용한 친환경재배에 의해 생산된 쌀이 아밀로스 함량이 낮고 Mg/K비가 낮은 특성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으며 (9), Han 등(10)도 유기재배 쌀의 경우 단백질 함량이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4. Statistical annual report (Korea). p 22. 

  2. Ha TY. 2002. Nutrition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rice.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p 64-71. 

  3. Grapo PA, Reaven G, Olefsky J. 1977. Postprandial plasmaglucose and plasma-insulin response to different complex carbohydrate. Diabetes 26: 1178-1183. 

  4. Kim IH, Chun HS, Ha TY, Moon TH. 1995. Effect of processing on the antimutagenecity of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44-949. 

  5. Chun HS, Kim TH, Kim YJ, Kim KH. 1994. Inhibitory effect of rice extract on the chemically induced mutagene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188-194. 

  6. Brandt K, Molgaard JP. 2001. Organic agriculture: Does it enhance or reduce the nutritional value of plant foods? J Sci Food Agric 81: 924-931. 

  7. Lee SJ, Sohn SM. 2005. Review on nutritional value of organic plant products. Thends in Agric Life Sci 3: 35-42. 

  8. Na GS, Lee SK, Kim SY. 2007. Antioxidative effec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rice cultivated by organic farming and ordinary farming. J Kor Soc Appl Biol Chem 50: 36-41. 

  9. Park YH, Kang YS, Lee JH. 1995. Marketable value and quality of rice producted by rice-duck farming system. Korean J Intl Agric 10: 107-112. 

  10. Han LZ, Koh HJ, Won YJ, Choi HC, Nan ZH. 1999. Comparison of grain quality characteristics between japonica rices of Korea and Jilin province of China. Korean J Breeding 31: 48-56. 

  11. Kim KH, Joo HK. 1990. Variation of grain quality of rice varieties grown at different locations. I. Locational variation of quality-related characteristics of rice grain. Korean J Crop Sci 35: 137-145 

  12. Juliano BO. 1971. A simplified assay for milled rice amylose. Cereal Sci Today 16: 334-340. 

  13. 남궁배, 황진봉. 2006. 친환경농산물의 성분함량 및 품질상의 차별성 연구. 한국식품연구원. p 81-82. 

  14. Choe JS, Ahn HH, Nam HJ. 2002.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in Korean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885-892. 

  15. Kyoun OY, Oh SH, Kim HJ, Lee JH, Kim HC, Yoon WK, Kim HM, Kim MR. 2006 Analyses of nutrients and antinutrients of rice cultivar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949-956. 

  16. Wheeler BL, Ferrel RE. 1971. A method for phytic acid determination in wheat and wheat fractions. Cereal Chem 48: 312. 

  17. Choi Y, Kim MH, Shin JJ, Park JM, Lee J.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18. Kim KJ, Kim KH. 1987.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grain harvested from different regions. Korean J Crop Sci 32: 234-242. 

  19. Kim KH, Joo HK. 1990. Variation of grain quality of rice varieties grown at different location. Korean J Crop Sci 35: 137-145. 

  20. Kim YD, Ha KY, Lee JH, Shin HT, Cho SY. 1998. Relationship between palatability evaluation and its related to major characteristics of Korean developed Japonioca rice. Korean J Breeding 30: 62-63. 

  21. Song BH, Kim DY, Kim SK, Kim YD, Choi KS. 1988. Distribution of amino acids and fatty acids within the degermed brown rice kernel. J Korean Agric Chem 31: 7-21. 

  22. Lee YT, Kim JK, Ha SH, Cho HS, Suh SC. 2010. Analyses of nutrient composition in genetically modified ${\beta}$ -carotene biofortified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05-109. 

  23. Caris VC, Borel P. 2004. Influence of organic versus conventional agricultural practice on the antioxdant microconstituent content of tomato and derived purees. J Agric Food Chem 52: 21-26. 

  24. Levite D, Adrian M, Tamm L. 2000. Preliminary results of resveratrol in wine of organic and conventional vineyards. Proceeding 6th International Congress on Orgaic Horticulture. p 256-257. 

  25. Rickar SE, Thompsin LU. 1997. Interaction and biological effects of phytic acid. Antinutrient and Phytochemicals in Food ACS Symposium Series 662. p 294-3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