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싸리속 식물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the Genus Lespedez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5, 2010년, pp.769 - 775  

김상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강릉분원, 천연물소재연구센터) ,  정유진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생물공학) ,  판철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강릉분원, 천연물소재연구센터) ,  엄병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강릉분원, 천연물소재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에서는 국내에 자생하는 콩과에 속하는 6종의 싸리속 식물의 각 부위별 추출물로부터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고,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폴리페놀성 화합물은 고양싸리의 잎(LR-L)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풀싸리의 지상부(LTi-A)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이들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DPPH와 ABTS 라디칼에 대한 소거 활성을 조사해 본 결과 DPPH 라디칼에 대해서는 비타민 C보다 소거 활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ABTS 라디칼에 대해서는 비타민 C보다 더 좋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이들 활성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간의 상관관계에서는 폴리페놀만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폴리페놀의 농도에 따라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과 라디칼 소거 활성 간에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볼 수 없어, 싸리속 식물에서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보다는 폴리페놀성화합물이 항산화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에 있어 싸리속 식물이 천연 항산화제로서 좋은 소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enus Lespedeza belonging to Leguminosae is an annual or perennial herb, which has been used as a Chinese herbal medicine. Antioxidant activity on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and ABTS (2,2'-azino-bis(3-et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s and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싸리속 식물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6종의 싸리속 식물로부터(조록싸리, 풀싸리, 싸리나무, 참싸리, 고양싸리, 털조록싸리) 얻은 각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 12종에 대해서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하여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조사한 후 이들 성분과 라디칼 소거능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싸리속 식물의 항산화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이러한 폴리페놀은 많은 식물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콩과류에서 이소플라본(isoflavone)과 리그난(lignan) 등의 폴리페놀성 화합물이 주목을 받으면서 콩과류에 대한 생리활성 효과가 더욱 기대되고 있다(18). 본 실험에서는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싸리속 식물을 대상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해 보았다. 일반적으로 식물의 경우 각 부위마다 포함되어 있는 성분이 다를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서 각 식물의 식용 방법이나 질병의 치료에 적용 방법이 다르다.
  • 일반적으로 식물의 경우 각 부위마다 포함되어 있는 성분이 다를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서 각 식물의 식용 방법이나 질병의 치료에 적용 방법이 다르다. 따라서 싸리속 식물의 각 부위별로 성분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싸리속 식물의 이용에 더욱 자세한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본 실험에서는 싸리속 식물의 각 부위별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싸리속 식물에는 메탄올 추출물의 7~19% 범위로 폴리페놀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Fig.
  • 라디칼 소거능은 페놀산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등의 폴리페놀성 물질에 의한 항산화 활성의 지표이며, 환원력이 큰 물질일수록 전자공여능이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다(25). 본 연구에서는 싸리속 식물의 각 부위별 추출물을 대상으로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싸리속이란? 싸리속(Genus Lespedeza)은 콩과(Leguminusae)에 속하는 다년생의 낙엽 관목으로서 7~8월에 개화하며, 우리나라 전역의 양지바른 산과 들에 널리 분포하는 식물이다(1). 싸리 속은 북아메리카와 동부 아시아 온대에 약 60여 종이 있으며, 국내에는 싸리나무(Lespedeza bicolor), 풀싸리(Lespedeza thungergii var.
싸리 속은 국내에 어떤 종류들이 있는가? 싸리속(Genus Lespedeza)은 콩과(Leguminusae)에 속하는 다년생의 낙엽 관목으로서 7~8월에 개화하며, 우리나라 전역의 양지바른 산과 들에 널리 분포하는 식물이다(1). 싸리 속은 북아메리카와 동부 아시아 온대에 약 60여 종이 있으며, 국내에는 싸리나무(Lespedeza bicolor), 풀싸리(Lespedeza thungergii var. intermedia), 조록싸리(Lespedeza maximowiczii), 참싸리(Lespedeza cyrtobotrya), 고양싸리(Lespedeza×robusta), 털조록싸리(Lespedeza maximowiczii var. tomentella), 지리산싸리(Lespedeza×chiisanensis T. LEE), 해변싸리(Lespedeza×maritima), 들싸리(Lespedeza tomentosa), 검나무싸리(Lespedeza bicolor Turczaninow var. higoensis), 괭이싸리(Lespedeza pilosa), 좀싸리(Lespedeza virgata(Thunb.) DC.), 분홍싸리(Lespedeza floribunda Bunge) 등 30여 종이 자라고 있다.
싸리속의 꽃에서 추출한 에탄올은 어떤 가능성을 제시하는가? 또한 싸리나무 줄기와 잎에 대해서 총 폴리페놀의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및 항균효과에 대해서도 조사되었고, 세포독성 평가를 통해 화장품 원료로서 적용 가능성도 조사되었다(7). 최근에는 Ryu 등(8)에 의하여 싸리나무 꽃의 에탄올 추출물이 라디칼 소거활성과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통해서 피부의 멜라닌 형성을 저해하여 화장품의 원료로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 외의 연구로서 지리산싸리로부터 지질 구성 지방산과 유리아미노산 및 구성 총 아미노산 조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5), 참싸리 줄기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dalbergiodin이 멜라닌 생합성을 저해한다는 보고가 있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Yao ZY, Kan FL, Wang ET, Wei GH, Chen WX. 2002. Characterization of rhizobia that nodulate legume species of the genus Lespedeza and description of Bradyrhizobium yuanmingense sp. nov. Int J Syst Evol Micr 52: 2219-2230. 

  2. Lee YS, Joo EY, Kim NW. 2006. Polyphenol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Lespedeza bicolor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3: 616-622. 

  3. Lee YS, Joo EY, Kim NW. 2005. Analysis on the components in stem of the Lespedeza bicolo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246-1250. 

  4. Nemoto T, Ohashi H. 1993. Seedling morphology of Lespedeza (Leguminosae). J Plant Res 106: 121-128. 

  5. Kim CK. 1993. Compositions of fatty acid, free amino acid and total amino acid of Lespedeza ${\times}$ chiisanensis T. LEE. J Korean Soc Food Nutr 22: 586-591. 

  6. Lee YS, Joo EY, Kim NW.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Lespedeza bicolor. Korean J Food Preserv 12: 75-79. 

  7. Lee A, Kim BN, Zhoh CK, Shin GH. 2006. Studies on the antioxidan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Lespedeza bicolor extracts. J Korean Soc of Esthe Cosmec 1: 109-120. 

  8. Ryu IS, Lee SJ, Lee SW, Mun YJ, Woo WH, Kim YM, Lee JC, Lim KS. 2007. Dermal bioactive properties of the ethanol extract from flowers of Lespedeza bicolor.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 1-9. 

  9. Baek SH, Kim JH, Kim DH, Lee CY, Kim JY, Chung DK, Lee CH. 2008. Inhibitory effect of dalbergioidin isolated from the trunk of Lespedeza cyrtobotrya on melanin biosynthesis. J Microbiol Biotechnol 18: 874-879. 

  10. Maximov OB, Kulesh NI, Stepanenko LS, Dmitrenok PS. 2004. New prenylated isoflavanones and other constituents of Lespedeza bicolor. Fitoterapia 75: 96-98. 

  11. Tan L, Zhang XF, Yan BZ, Shi HM, Du LB, Zhang YZ, Wang LF, Tang YL, Liu Y. 2007. A novel flavonoid from Lespedeza virgata (Thunb.) DC.: structural elucida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Bioorg Med Chem Lett 17: 6311-6315. 

  12. Maya MH, Hiroyuki T, Takayuki K, Makoto K, Yu I, Toshio M. 2009. Melanin synthesis inhibitors from Lespedeza floribunda. J Nat Prod 72: 194-203. 

  13. Kwon DJ, Bae YS. 2009. Flavonoids from the aerial parts of Lespedeza cuneata. Biochem Syst Ecol 37: 46-48. 

  14. Zhang Q, Zhang J, Shen J, Silva A, Dennis AD, Barrow CJ. 2006. A simple 96-well microplate method for estimation of total polyphenol content in seaweeds. J Appl Phycol 18: 445-450. 

  1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8-1200. 

  16.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7. Perron NR, Brumaghim JL. 2009. A review of the antioxidant mechanism of polyphenol compounds related to iron binding. Cell Biochem Biophys 53: 75-100. 

  18. Lin PY, Lai HM. 2006. Bioactive compounds in legumes and their germinated products. J Agric Food Chem 54: 3807-3814. 

  19.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20. Kuhnan J. 1976. The flavonoids. A class of semi-essential food components: their role in human nutrition. World Rev Nutr Diet 24: 117-191. 

  21. Veitch NC, Grayer RJ. 2007. Flavonoids and their glycosides, including anthocyanins. Nat Prod Rep 21: 539-573. 

  22. Geleijnse JM, Hollman PCH. 2008. Flavonoids and cardiovascular health: which compounds, what mechanisms? Am J Clin Nutr 88: 12-13. 

  23. Pietta PG. 2000. Flavonoids as antioxidants. J Agric Food Chem 63: 1035-1042. 

  24. Jang MJ, Ha HJ, Yoon SR, Noh JE, Kwon JH. 2006. Prediction of optimal leaching conditions for green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747-753. 

  25. Cai YZ, Sun M, Xing J, Luo Q, Corke H. 2006. Structure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lationships of phenolic compounds from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plants. Life Sci 78: 2872-2888. 

  26. Huang D, Ou B, Prior RL. 2005. The chemistry behind antioxidant capacity assays. J Agric Food Chem 53: 1841-1856. 

  27. Yoo KH, Jeong JM. 2009. Antioxidative and antiallergic effect of persimmon leaf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691-1698. 

  28. Kwak CS, Kim SA, Lee MS. 2005. The correlation of antioxidative effects of 5 Korean common edible seaweed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143-1150. 

  29. Kim DO, Lee KW, Lee HJ, Lee CY. 2002.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J Agric Food Chem 50: 3713-37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