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실험에서는 국내에 자생하는 콩과에 속하는 6종의 싸리속 식물의 각 부위별 추출물로부터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고,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폴리페놀성 화합물은 고양싸리의 잎(LR-L)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풀싸리의 지상부(LTi-A)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이들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DPPH와 ABTS 라디칼에 대한 소거 활성을 조사해 본 결과 DPPH 라디칼에 대해서는 비타민 C보다 소거 활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ABTS 라디칼에 대해서는 비타민 C보다 더 좋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이들 활성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간의 상관관계에서는 폴리페놀만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폴리페놀의 농도에 따라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과 라디칼 소거 활성 간에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볼 수 없어, 싸리속 식물에서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보다는 폴리페놀성화합물이 항산화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에 있어 싸리속 식물이 천연 항산화제로서 좋은 소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국내에 자생하는 콩과에 속하는 6종의 싸리속 식물의 각 부위별 추출물로부터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고,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폴리페놀성 화합물은 고양싸리의 잎(LR-L)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풀싸리의 지상부(LTi-A)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이들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DPPH와 ABTS 라디칼에 대한 소거 활성을 조사해 본 결과 DPPH 라디칼에 대해서는 비타민 C보다 소거 활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ABTS 라디칼에 대해서는 비타민 C보다 더 좋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이들 활성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간의 상관관계에서는 폴리페놀만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폴리페놀의 농도에 따라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과 라디칼 소거 활성 간에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볼 수 없어, 싸리속 식물에서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보다는 폴리페놀성화합물이 항산화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에 있어 싸리속 식물이 천연 항산화제로서 좋은 소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genus Lespedeza belonging to Leguminosae is an annual or perennial herb, which has been used as a Chinese herbal medicine. Antioxidant activity on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and ABTS (2,2'-azino-bis(3-et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s and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
The genus Lespedeza belonging to Leguminosae is an annual or perennial herb, which has been used as a Chinese herbal medicine. Antioxidant activity on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and ABTS (2,2'-azino-bis(3-et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s and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were analyzed with 12 methanol extracts from six Lespedeza genus plants with different plant parts.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polyphenol was detected in the leaves of Lespedeza$\times$robusta (194.6 mg GAE/g), while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flavonoid existed in the aerial part of Lespedeza thunbergii var. intermedia (47.9 mg QE/g). Generally, the amounts of polyphenol and flavonoid compounds were higher in the leaves than in the stems. The $SC_{50}$ value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anged from 10.16 to 90.94 ppm, of which the strongest activity was determined in the leaves of L. robusta. Mos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rom the investigated methanol extracts were higher than that of L-ascorbic acid, implying the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is study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total polyphenol rather than that of total flavonoid. These data suggest that the methanol extracts from these Lespedeza spp. could be potential candidates for natural antioxidants.
The genus Lespedeza belonging to Leguminosae is an annual or perennial herb, which has been used as a Chinese herbal medicine. Antioxidant activity on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and ABTS (2,2'-azino-bis(3-et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s and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were analyzed with 12 methanol extracts from six Lespedeza genus plants with different plant parts.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polyphenol was detected in the leaves of Lespedeza$\times$robusta (194.6 mg GAE/g), while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flavonoid existed in the aerial part of Lespedeza thunbergii var. intermedia (47.9 mg QE/g). Generally, the amounts of polyphenol and flavonoid compounds were higher in the leaves than in the stems. The $SC_{50}$ value of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anged from 10.16 to 90.94 ppm, of which the strongest activity was determined in the leaves of L. robusta. Mos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rom the investigated methanol extracts were higher than that of L-ascorbic acid, implying the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is study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the amount of total polyphenol rather than that of total flavonoid. These data suggest that the methanol extracts from these Lespedeza spp. could be potential candidates for natural antioxidant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싸리속 식물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6종의 싸리속 식물로부터(조록싸리, 풀싸리, 싸리나무, 참싸리, 고양싸리, 털조록싸리) 얻은 각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 12종에 대해서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하여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조사한 후 이들 성분과 라디칼 소거능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싸리속 식물의 항산화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폴리페놀은 많은 식물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콩과류에서 이소플라본(isoflavone)과 리그난(lignan) 등의 폴리페놀성 화합물이 주목을 받으면서 콩과류에 대한 생리활성 효과가 더욱 기대되고 있다(18). 본 실험에서는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싸리속 식물을 대상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을 분석해 보았다. 일반적으로 식물의 경우 각 부위마다 포함되어 있는 성분이 다를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서 각 식물의 식용 방법이나 질병의 치료에 적용 방법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식물의 경우 각 부위마다 포함되어 있는 성분이 다를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서 각 식물의 식용 방법이나 질병의 치료에 적용 방법이 다르다. 따라서 싸리속 식물의 각 부위별로 성분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싸리속 식물의 이용에 더욱 자세한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본 실험에서는 싸리속 식물의 각 부위별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싸리속 식물에는 메탄올 추출물의 7~19% 범위로 폴리페놀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Fig.
라디칼 소거능은 페놀산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등의 폴리페놀성 물질에 의한 항산화 활성의 지표이며, 환원력이 큰 물질일수록 전자공여능이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다(25). 본 연구에서는 싸리속 식물의 각 부위별 추출물을 대상으로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0.
제안 방법
즉, 건조된 추출물 시료를 물에 녹여 1 mg/mL 농도로 만든 후에 이를 100μL 취하고, 여기에 Folin-Ciocalteu 시약 100 μL, 증류수 300μL를 가하였다.
상온에 5분간 방치한 다음 20% Na2CO3 500μL를 가하고 다시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spectrometer(Lambda 15 UV-Vis spectrophotometer, Perkin-Elmer, Norwalk, CT, USA)를 이용하여 730 nm에서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은 0.2, 0.5, 1, 5 ppm 농도로 만든 후 96 well plate에 100 μL씩 분주하고, ABTS 용액 100 μL씩 가하였다.
12종의 싸리속 메탄올 추출물을 10, 50, 100, 200 ppm의 네 가지 농도로 만들어 96 well plate에 100μL씩 분주하였다.
O 500 μL를 가하였다. 상온에 5분간 방치한 후,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430 nm에서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quercetin(SigmaAldrich)을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mg QE(quercetin equivalent)/g 추출물로 표현하였다.
상온에 5분간 방치한 후,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430 nm에서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quercetin(SigmaAldrich)을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였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mg QE(quercetin equivalent)/g 추출물로 표현하였다.
2~5 ppm까지의 각 추출물의 농도에서 각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에 따라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들의 활성도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최대 활성의 50%를 나타낼 수 있는 농도인 SC50값을 측정하였다(Table 2). 본 실험에서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비타민 C의 경우 2.
ABTS 라디칼 소거능과 마찬가지로 DPPH 라디칼에 대해서도 싸리속 식물의 각 추출물에 대해서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Table 2). 본 실험에서 조사한 시료 중 가장 활성이 좋은 시료는 고양싸리의 잎(LR-L)이었고(SC50=10.
본 실험에서는 국내에 자생하는 콩과에 속하는 6종의 싸리속 식물의 각 부위별 추출물로부터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고,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폴리페놀성 화합물은 고양싸리의 잎(LR-L)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풀싸리의 지상부(LTi-A)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에 사용한 싸리속 식물의 메탄올 추출물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식물추출물은행에서 구입하였다. 일반적으로 채취된 시료는 상온에서 건조 후 분쇄하여 추출과정을 하기 전까지 냉장보관 되었다.
9% 메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되었고, 추출용액은 Speed-Vac concentrator(Savant DNA 120, Thermo Scientific, Waltham, MA, USA)를 사용하여 농축되었다. 시료는 한국식물추출물은행에서 구입할 수 있는 목록에서 선택하였고, 시료 목록은 조록싸리와 풀싸리의 지상부, 싸리나무의 꽃, 잎, 줄기 및 뿌리, 참싸리, 고양싸리, 털조록싸리의 잎과 줄기로, 총 6종의 싸리속 식물로부터 각각 다른 부위의 총 12종류의 추출물을 분양받았다. 각 시료의 식물 부위와 채취 시기는 Table 1에 표시되었다.
상온에 5분간 방치한 다음 20% Na2CO3 500μL를 가하고 다시 상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spectrometer(Lambda 15 UV-Vis spectrophotometer, Perkin-Elmer, Norwalk, CT, USA)를 이용하여 730 nm에서 반응액의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gallic acid(Sigma-Aldrich)를 사용하였고, gallic acid의 검량선을 이용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을 mg GAE(gallic acid equivalent)/g 추출물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400 μM DPPH 용액 100 μL를 넣어 주고 상온, 어두운 곳에 30분 방치시킨 후, 51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 비타민 C(L-ascorbic acid, Sigma-Aldrich)를 사용하였다. 각 시료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아래의 식에 의해 전자공여능으로 계산하였고, 50% 전자공여능 값을 나타내는 SC50 값으로 표현하였다.
데이터처리
모든 실험은 독립적으로 3회 이상 반복으로 실시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평균값과 오차로 나타내었고, ANOVA test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한 후 p<0.05 수준에서 Newman Keuls test를 실시하여 실험군 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05 수준에서 Newman Keuls test를 실시하여 실험군 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활성과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의 연관성은 단순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검토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보았다(Fig. 3).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의 SC50값 사이에서는 음의 상관관계를 타나내어(Fig.
이론/모형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 방법(14)에 따라 FolinCiocalteu 시약(Sigma-Aldrich, St. Louis, MO, USA)이 추출물의 폴리페놀성 화합물에 의해 환원되어 몰리브덴 청색으로 발색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즉, 건조된 추출물 시료를 물에 녹여 1 mg/mL 농도로 만든 후에 이를 100μL 취하고, 여기에 Folin-Ciocalteu 시약 100 μL, 증류수 300μL를 가하였다.
전자공여능은 Blois 방법(15)에 의한 DPPH 라디칼 소거법으로 측정하였다. 12종의 싸리속 메탄올 추출물을 10, 50, 100, 200 ppm의 네 가지 농도로 만들어 96 well plate에 100μL씩 분주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Re 등(16)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ABTS 라디칼 용액은 3.
성능/효과
대조군으로 비타민 C(L-ascorbic acid, Sigma-Aldrich)를 사용하였다. 각 시료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DPPH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였고, 50% 전자공여능 값을 나타내는 SC50 값으로 표현하였다.
따라서 싸리속 식물의 각 부위별로 성분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싸리속 식물의 이용에 더욱 자세한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본 실험에서는 싸리속 식물의 각 부위별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싸리속 식물에는 메탄올 추출물의 7~19% 범위로 폴리페놀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Fig. 1). 폴리페놀을 가장 적게 함유하고 있는 식물은 조록싸리의 지상부(LM-A)로, 77.
4 mg GAE/g의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상부 보다는 뿌리에 더 많은 폴리페놀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싸리나무(LB), 참싸리(LC), 고양싸리(LR), 털조록싸리(LMt)에서 줄기(L)와 잎(S)을 비교해보면, 참싸리를 제외하고 모두 줄기보다는 잎에서 폴리페놀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줄기보다는 잎에서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식물에는 6000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가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식물에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는 항산화, 에스트로겐 효과, 항암 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2,23). 본 연구에서 조사된 싸리속 식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3.1~47.9 mg QE/g인 것으로 나타났다(Fig. 2). 싸리나무 줄기(LB-S)가 13.
9 mg QE/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싸리나무의 각 부위별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줄기(LB-S, 13.1 mg QE/g), 꽃(LB-F, 20.0 mg QE/g), 뿌리(LB-R, 21.3 mg QE/g), 잎(LB-L, 25.0 mg QE/g) 순으로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줄기와 잎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비교에서는, 싸리나무(LB), 참싸리(LC), 고양싸리(LR), 털조록싸리(LMt) 모두 줄기보다는 잎에서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0 mg QE/g) 순으로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다. 줄기와 잎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비교에서는, 싸리나무(LB), 참싸리(LC), 고양싸리(LR), 털조록싸리(LMt) 모두 줄기보다는 잎에서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털조록싸리의 경우 잎(LMt-L)에서의 함량이 43.
본 연구에서는 싸리속 식물의 각 부위별 추출물을 대상으로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0.2~5 ppm까지의 각 추출물의 농도에서 각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에 따라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들의 활성도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최대 활성의 50%를 나타낼 수 있는 농도인 SC50값을 측정하였다(Table 2).
67 ppm의 SC50값을 보여 주었다. 가장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좋은 시료는 고양싸리의 잎(LR-L)으로, 0.77 ppm의 SC50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양성 대조군인 비타민 C보다 3배 이상의 높은 ABTS 라디칼 소거능이었다.
68 ppm으로 비타민 C보다 약 37% 정도가 낮은 값을 보여 주었다. 본 실험에 사용된 추출물 중 싸리나무 꽃(LB-F)과 잎(LB-L)을 제외하고 나머지 추출물들은 모두 비타민 C보다 낮은 SC50값을 나타내어, ABTS 라디칼에 대해서는 본 실험에서 사용된 추출물 대부분이 매우 좋은 소거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뿌리와 잎의 비교에서는 싸리나무(LB), 참싸리(LC), 고양싸리(LR), 털조록싸리(LMt) 중 고양싸리를 제외하고 모두 줄기에서 낮은 SC50값을 보여, 잎보다는 줄기가 더 좋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실험에 사용된 추출물 중 싸리나무 꽃(LB-F)과 잎(LB-L)을 제외하고 나머지 추출물들은 모두 비타민 C보다 낮은 SC50값을 나타내어, ABTS 라디칼에 대해서는 본 실험에서 사용된 추출물 대부분이 매우 좋은 소거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뿌리와 잎의 비교에서는 싸리나무(LB), 참싸리(LC), 고양싸리(LR), 털조록싸리(LMt) 중 고양싸리를 제외하고 모두 줄기에서 낮은 SC50값을 보여, 잎보다는 줄기가 더 좋은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85 ppm) 순으로 라디칼 소거능이 높았다. 싸리나무(LB), 참싸리(LC), 고양싸리(LR), 털조록싸리(LMt)에서 줄기와 잎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비교해 본 결과 모두 잎의 SC50값이 낮게 측정이 되어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잎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비타민 C의 경우 SC50값이 2.
3).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의 SC50값 사이에서는 음의 상관관계를 타나내어(Fig. 3a, 3b), 총 폴리페놀 함량과 라디칼 소거 활성 사이에서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2개의 메탄올 추출물 중 10개의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 사이에서 r2=0.
3a, 3b), 총 폴리페놀 함량과 라디칼 소거 활성 사이에서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2개의 메탄올 추출물 중 10개의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 사이에서 r2=0.71 수준으로, 12개의 메탄올 추출물 중 9개의 추출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과 ABTS 라디칼 소거능 사이에서 r2=0.65 수준으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과의 관계에서는 특별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Fig.
3c, 3d). 12개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r2=0.001(DPPH), r2=0.008(ABTS) 값을 보여 상관관계가 거의 없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싸리속 식물에서 항산화를 나타내는 주요 화합물이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보다는 다른 종류의 폴리페놀 화합물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국내에 자생하는 콩과에 속하는 6종의 싸리속 식물의 각 부위별 추출물로부터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였고,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폴리페놀성 화합물은 고양싸리의 잎(LR-L)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풀싸리의 지상부(LTi-A)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이들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DPPH와 ABTS 라디칼에 대한 소거 활성을 조사해 본 결과 DPPH 라디칼에 대해서는 비타민 C보다 소거 활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ABTS 라디칼에 대해서는 비타민 C보다 더 좋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폴리페놀성 화합물은 고양싸리의 잎(LR-L)에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풀싸리의 지상부(LTi-A)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이들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DPPH와 ABTS 라디칼에 대한 소거 활성을 조사해 본 결과 DPPH 라디칼에 대해서는 비타민 C보다 소거 활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ABTS 라디칼에 대해서는 비타민 C보다 더 좋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이들 활성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간의 상관관계에서는 폴리페놀만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폴리페놀의 농도에 따라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들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DPPH와 ABTS 라디칼에 대한 소거 활성을 조사해 본 결과 DPPH 라디칼에 대해서는 비타민 C보다 소거 활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ABTS 라디칼에 대해서는 비타민 C보다 더 좋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이들 활성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간의 상관관계에서는 폴리페놀만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폴리페놀의 농도에 따라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하지만 플라보노이드 화합물과 라디칼 소거 활성 간에는 뚜렷한 상관관계를 볼 수 없어, 싸리속 식물에서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보다는 폴리페놀성 화합물이 항산화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과 마찬가지로 DPPH 라디칼에 대해서도 싸리속 식물의 각 추출물에 대해서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Table 2). 본 실험에서 조사한 시료 중 가장 활성이 좋은 시료는 고양싸리의 잎(LR-L)이었고(SC50=10.16 ppm), 활성이 가장 낮은 시료는 조록싸리의 지상부(LM-A)로 SC50값이 90.94 ppm이었다. 싸리나무 각 부위의 활성은 꽃(LB-F, 87.
후속연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싸리속 식물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6종의 싸리속 식물로부터(조록싸리, 풀싸리, 싸리나무, 참싸리, 고양싸리, 털조록싸리) 얻은 각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 12종에 대해서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하여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조사한 후 이들 성분과 라디칼 소거능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싸리속 식물의 항산화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싸리속이란?
싸리속(Genus Lespedeza)은 콩과(Leguminusae)에 속하는 다년생의 낙엽 관목으로서 7~8월에 개화하며, 우리나라 전역의 양지바른 산과 들에 널리 분포하는 식물이다(1). 싸리 속은 북아메리카와 동부 아시아 온대에 약 60여 종이 있으며, 국내에는 싸리나무(Lespedeza bicolor), 풀싸리(Lespedeza thungergii var.
싸리 속은 국내에 어떤 종류들이 있는가?
싸리속(Genus Lespedeza)은 콩과(Leguminusae)에 속하는 다년생의 낙엽 관목으로서 7~8월에 개화하며, 우리나라 전역의 양지바른 산과 들에 널리 분포하는 식물이다(1). 싸리 속은 북아메리카와 동부 아시아 온대에 약 60여 종이 있으며, 국내에는 싸리나무(Lespedeza bicolor), 풀싸리(Lespedeza thungergii var. intermedia), 조록싸리(Lespedeza maximowiczii), 참싸리(Lespedeza cyrtobotrya), 고양싸리(Lespedeza×robusta), 털조록싸리(Lespedeza maximowiczii var. tomentella), 지리산싸리(Lespedeza×chiisanensis T. LEE), 해변싸리(Lespedeza×maritima), 들싸리(Lespedeza tomentosa), 검나무싸리(Lespedeza bicolor Turczaninow var. higoensis), 괭이싸리(Lespedeza pilosa), 좀싸리(Lespedeza virgata(Thunb.) DC.), 분홍싸리(Lespedeza floribunda Bunge) 등 30여 종이 자라고 있다.
싸리속의 꽃에서 추출한 에탄올은 어떤 가능성을 제시하는가?
또한 싸리나무 줄기와 잎에 대해서 총 폴리페놀의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및 항균효과에 대해서도 조사되었고, 세포독성 평가를 통해 화장품 원료로서 적용 가능성도 조사되었다(7). 최근에는 Ryu 등(8)에 의하여 싸리나무 꽃의 에탄올 추출물이 라디칼 소거활성과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통해서 피부의 멜라닌 형성을 저해하여 화장품의 원료로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 외의 연구로서 지리산싸리로부터 지질 구성 지방산과 유리아미노산 및 구성 총 아미노산 조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5), 참싸리 줄기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dalbergiodin이 멜라닌 생합성을 저해한다는 보고가 있었다(9).
참고문헌 (29)
Yao ZY, Kan FL, Wang ET, Wei GH, Chen WX. 2002. Characterization of rhizobia that nodulate legume species of the genus Lespedeza and description of Bradyrhizobium yuanmingense sp. nov. Int J Syst Evol Micr 52: 2219-2230.
Kim CK. 1993. Compositions of fatty acid, free amino acid and total amino acid of Lespedeza ${\times}$ chiisanensis T. LEE. J Korean Soc Food Nutr 22: 586-591.
Lee YS, Joo EY, Kim NW. 2005.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Lespedeza bicolor. Korean J Food Preserv 12: 75-79.
Lee A, Kim BN, Zhoh CK, Shin GH. 2006. Studies on the antioxidan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Lespedeza bicolor extracts. J Korean Soc of Esthe Cosmec 1: 109-120.
Ryu IS, Lee SJ, Lee SW, Mun YJ, Woo WH, Kim YM, Lee JC, Lim KS. 2007. Dermal bioactive properties of the ethanol extract from flowers of Lespedeza bicolor.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 1-9.
Baek SH, Kim JH, Kim DH, Lee CY, Kim JY, Chung DK, Lee CH. 2008. Inhibitory effect of dalbergioidin isolated from the trunk of Lespedeza cyrtobotrya on melanin biosynthesis. J Microbiol Biotechnol 18: 874-879.
Maximov OB, Kulesh NI, Stepanenko LS, Dmitrenok PS. 2004. New prenylated isoflavanones and other constituents of Lespedeza bicolor. Fitoterapia 75: 96-98.
Tan L, Zhang XF, Yan BZ, Shi HM, Du LB, Zhang YZ, Wang LF, Tang YL, Liu Y. 2007. A novel flavonoid from Lespedeza virgata (Thunb.) DC.: structural elucida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Bioorg Med Chem Lett 17: 6311-6315.
Zhang Q, Zhang J, Shen J, Silva A, Dennis AD, Barrow CJ. 2006. A simple 96-well microplate method for estimation of total polyphenol content in seaweeds. J Appl Phycol 18: 445-450.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8-1200.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Cai YZ, Sun M, Xing J, Luo Q, Corke H. 2006. Structure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lationships of phenolic compounds from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plants. Life Sci 78: 2872-2888.
Kwak CS, Kim SA, Lee MS. 2005. The correlation of antioxidative effects of 5 Korean common edible seaweeds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143-1150.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