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가목 줄기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the stem of Sorbus commixta Heal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32 no.3, 2017년, pp.29 - 36  

유지현 (중부대학교 한방제약과학과) ,  도은수 (중부대학교 한방제약과학과) ,  장준복 (중부대학교 한방제약과학과) ,  길기정 (중부대학교 한방제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Sorbus commixta Heal. stem (SC) as a natural material,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were examined. Methods : The samples of SC were pulverized, and fractions were extracted repeatedly three times from hot water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가목의 항산화에 대한 연구는 기초적인 실험으로만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항산화 활성 검증 및 추출방법에 따라 항산화의 생리활성변화에 따른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가목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 따른 항산화 활성 효과를 측정하여 천연소재로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마가목 줄기 열수 및 70%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마가목 가지에는 prunasin, lupenone, lupeol,catechin-7-Ο-β-D-apiofuranoside, catechin-7-Ο- β-D-xylopyranoside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26,27), catechin7-Ο-β-D- apiofuranoside과 catecchin-7-Ο-β-Dxylopyranoside은 강한 항산화 효과를 가진 성분이라고 보고27)된 바 있으나, 마가목은 땔감으로 사용되거나 버려지고 있는 실정16)이다. 이에 마가목의 추출용매, 추출방법 및 다양한 항산화 활성 검증을 확인하여, 항산화 천연소재의 이용가치를 높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화 및 암 발병의 주된 요인 중 하나로 알려진 자유라디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에는 무엇이 있는가? 기능성식품의 범위는 유해물질의 중화, 해독 배설, 혈압, 혈당 및 콜레스테롤 저하, 비만예방, 다이어트 효과를 가지는 식품에서 더 나아가 생체방어, 면역, 질병의 예방 및 치료, 노화억제 , 회복 등의 생체조절 역할까지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2). 노화 및 암 발병의 주된 요인 중 하나로 알려진 자유라디칼은 superoxide anion radical, hydroxy radical, 과산화수소와 같은 활성산소종의 산화적 대사산물로, 생체막의지질을 과산화시켜 생체막을 변질시킴으로써 효소 불활성, 세포노화, 당뇨병, 동맥경화, 뇌졸중 및 암 등의 질병을 유발한다3). 지금까지 항산화제로 이용되고 있는 성분으로는 BHT와 BHA 같은 합성 항산화제가 알려져 있으나 독성으로 인하여 사용이 중지되고 있는 실정이다4).
최근 기능성식품의 범위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우리나라의 소득수준의 향상과 식생활의 다양화 및 고급화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기능성식품에 대한 욕구가 크게 증대되고 있다1). 기능성식품의 범위는 유해물질의 중화, 해독 배설, 혈압, 혈당 및 콜레스테롤 저하, 비만예방, 다이어트 효과를 가지는 식품에서 더 나아가 생체방어, 면역, 질병의 예방 및 치료, 노화억제 , 회복 등의 생체조절 역할까지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2). 노화 및 암 발병의 주된 요인 중 하나로 알려진 자유라디칼은 superoxide anion radical, hydroxy radical, 과산화수소와 같은 활성산소종의 산화적 대사산물로, 생체막의지질을 과산화시켜 생체막을 변질시킴으로써 효소 불활성, 세포노화, 당뇨병, 동맥경화, 뇌졸중 및 암 등의 질병을 유발한다3).
마가목은 어디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가? 의 줄기)은 장미과의 낙엽활엽 소교목으로 중국에서는 花楸木의 과실, 줄기 및 줄기의 껍질의 기원으로 花楸라고도 불린다5). 주로 우리나라 강원도, 전남 및 울릉도에 대형 자생군략지가 발달되어 있으며 중국의 동북, 화북, 감수지역 또는 일본 등지의 해발 500~1200 m의 심산 산복에 천연 분포한다5,6). 한방에서는 咳嗽를멎게 하고 痰을 제거하며 脾를 튼튼히 하고, 소변이 잘 나오게하는 효능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lmeida IF, Valentao P, Andrade PB, Seabra RM, Pereira TM, Amaral MH, Costa PC, Bahia MF. Oak leaf extract as topical antioxidant: Free radical scavenging and iron chelating activities and in vivo skin irritation potential. Biofactors. 2008 ; 33 : 267-79. 

  2. Kim JP, Chon IJ, Cho HK, Ham IH, Whang WK. The antioxidant and the antidiabetic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biofunctional foods prescriptions. Kor J Pharmacogn. 2004 ; 35 : 98-103. 

  3. Hammond B, Kontos A, Hess ML. Oxygen radicals in the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myocardial ischemia and reperfusion injury, and in cerebral vascular damage. Can J Physiol Pharmacol. 1985 ; 63 : 173-87. 

  4. Brane AL.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1975 ; 52 : 59-63. 

  5. Kim C.M., Shin M.G., Ahn D.G. and Lee G.S. Chinese herbal medicine dictionary. Korea : Jungdam. 1999 : 4972. 

  6. Song HK, So SK, Kim MY, Park JM, Lee SH, Park GS.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s in forest community of ulleung island. Kor. J. Env. Eco. 2007 ; 21 : 82-97. 

  7. Jiangsu New School of Medicine. Chinese Medicine Dictionary Book 1. China : Shanghai Science and Technology Press. 1985 : 274. 

  8. Li FG. Chinese Changbai Mountain medicinal plant color map. China : People's Health Publishing. 1997 : 237. 

  9. Park JH. Studies on the origin of korean folk medicine. Kor. J. Pharmacogn. 1993 ; 24 : 322-7. 

  10. Lee SJ. Korean Folk Medicine. Korea : Publishing, Center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1966 : 76. 

  11. Park JH. Korean Folk Medicine. Korea : Pusan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1999 : 85. 

  12. Kim MS. Seong HJ, Sohn HY. In-vitro Antithrombosis activity of different parts of Sorbus commixta from ulleung island. 2016 ; 26 : 289-95. 

  13. Lee MK, Lee HY, Lee JH, Oh JS, Chio GP, Kim JH, Kim JD. Anticancer effect of Sorbus commixta Hedl extracts. Korean J. Medicinal Croup Sci. 2002 ; 10 : 403-8. 

  14. Kang MA, Kim MB, Kim JH, Ko YH, Lim SB. Integral antioxidative capac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ressurized liquid extracts from 40 selected plant spec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 39 : 1249- 56. 

  15. Moon EJ, Youn YS, Choi BY, Jeing HU, Park JH, Oh MS, Soh YJ, Kim SY. Extracts of Sorbus commixta and Geranium thunbergii inhibit osteoclastogenesis and stimulate chondrogenesis.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0 ; 11 : 3358-65. 

  16. Lim GN, Park MA, Park SN.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Sorbus commixta twig extracts. J. of the Korean Oil Chemists' Soc. 2011 ; 28 : 482-90. 

  17. Folin O, Denis W. A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phenols (phenol derivatives) in urine. J. Biol. Chem. 1915 ; 22 : 305-8. 

  18. Zhishen J. Mengcheng T, Jianming W.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1999 ; 64 : 555-9. 

  19.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8 ; 181 : 1199. 

  20.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1999 ; 26 : 1231-7. 

  21. Smirnoff N, Cumbes QJ.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mpatible solutes, Phytochemistry. 1989 ; 28 : 1057-60. 

  22. Hus B, Coupar IM, Ng K. Antioxidant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 from the fruit of the Doum palm. Hyphaene thebaica . Food Chem. 2006 ; 98 : 317-28. 

  23.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es. Agric. Biol. Chem. 1987 ; 51 : 1333-8. 

  24. Kim HW. Screening of Antioxidants from sorbus commixta Hedlund and determination of its antioxidant activity. Kon-Kuk University. 1998 : 13, 26, 30. 

  25. Borisov Mi, Zhuravelev NS. Flavonoids of the flowers of Sorbus aucuparia L. Famatsevtychnyi Zhumal. 1965 ; 20 : 50-2. 

  26. Bhatt LR., Bae MS, Kim BM, Oh GS, Chai KY. A chalcone glycoside from the fruits of Sorbus commixta Hedl. Molecules. 2009 ; 14 : 5323. 

  27. Na MK, An RB, Lee SM, Min BS, Kim YH, Bae KH, Kang SS. Antioxidant compounds from the stem bark of Sorbus commixta, Natural Product Science. 2002 ; 8 : 26. 

  28. Manach C, Williamson G, Morand C, Scalbert A, Remesy C. Bioavailability and bio efficacy of polyphenols in humans. Am J Clin Nutr. 2005 ; 81 : 230-42. 

  29. Ryu SW, Jin CW, Lee HS, Lee JY, Sapkota K, Lee BG, Yu CY, Lee MK, Kim MJ, Cho DH. Changes in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ibiscus cannabinus 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006 ; 14 : 307-10. 

  30. Kim SM, Cho YS, Sung SK.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Technol. 2001; 33 : 626-32. 

  31. Koh JH, Hwang MO, Moon JS, Hwang SY, Son JY. 2005.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omegranate seed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5 ; 21 : 171-9 

  32. Kwon HJ, Park CG.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Preserv. 2008 ; 15 : 587-92. 

  33. Lee JM, Chang PS, Lee JH. Comparison of oxidative stability for the thermally-oxidezed vegetable oils using a DPPH method. Kor. J. Food Sci. Technol. 2007 ; 39 : 133-7. 

  34. Lee SH, Kang KM, Park HJ, Baek LM.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for use as functional materials in seasoning sauce for pork meat. Kor. J. Food Sci. Technol. 2009 ; 41 : 100-5. 

  35. Li H, Choi YM, Lee JS, Park JS, Yeon KS, Han CD. Drying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the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in a conveyertype far-infrared dry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7 : 36 : 250-4. 

  36. Van DBR, Haenen GRMM, Van DBH, Bast A. Applic ability of an improve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ssay for evalu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measurements of mixtures. Food Chem. 1999 ; 66 : 511-7. 

  37. Choi YM, Kim MH, Shin JJ, Park JM, Lee J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3 ; 32 : 723- 7. 

  38. Heo SI, Wang MH.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effect of extracts from Taraxacum mongolicum H. Kor J Pharmacogn. 2008 ; 39 : 255-9. 

  39. Choi SI, Lee YM, Heo TR. Screening of Hyaluronidase Inhibitor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vitro of traditional herbal. Korean J. Biotechnol. Bioeng. 2003 ; 18 : 282-8. 

  40. Sakanaka S, Tachibana Y, Okada Y. Prepara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extracts of Japanese persimmon leaf tea (kakinoha-cha). J. Food Chem. 2005 ; 89 : 569-75. 

  41. Kwon HN, Park JR, Jeon JR. Antioxidative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Acer tegmentosum M.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8 ; 37 : 1389-94. 

  42.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95 ; 27 : 978-84. 

  43. Labuza TP, Dugan Jr L. Kinetics of lipid oxidation in foods. Crit Rev Food Sci. 1971 ; 2 : 355-405. 

  44. Dlamini NR, Taylor J, Rooney LW. The effect of sorghum type and processing o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African sorghum-based foods. Food Chem. 2007 ; 105 : 1412-9. 

  45. Pasko P, Barton H, Zagrodzki P, Gorinstein S, Folta M, Zachwieja Z. Anthocyanins, total polyphenol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amaranth and quinoa seeds and sprouts during their growth. Food Chem. 2009 ; 115 : 994-8. 

  46. Peter FS. The toxicology of nitrate, nitrite and Nnitroso compounds. J Sci Food Agric. 1975 ; 26 : 1761-6. 

  47. Gray JI, Dugan JR.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 Food Sci. 1975 ; 40 : 98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