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의 영양 성분 표시에 대한 구매 행동 및 이용 실태 - 충북 지역을 중심으로 -
The Actual State of Food Purchasing Behaviors Regarding Nutrition Facts Label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buk A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3 no.4, 2010년, pp.492 - 500  

김명희 (공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미경 (공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원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예숙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선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482 male and female second graders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Cheongju, Chungcheongbukdo. This study lays its purpose on establishing the nutrition facts labeling system by understanding eating habits and analyzing the actual state of reading nutri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식생활 형태, 식품 구매 행동, 식품 영양 표시에 대한 이용 실태 및 이해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분석함으로써 영양 표시 제도 확립과 올바른 식품 선택 및 구매를 위해 영양 표시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이들이 올바른 식품 구매 활동을 통한 건전한 식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이상의 결과,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보다 식품 표시 인지도,필요성, 확인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건강 관리를 위해서와 어떤 영양소가 많이 들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라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남학생의 식품 표시의 인지도와 필요성에 관한 관심은 낮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 표시 제도란 무엇인가? 영양 표시 제도(nutrition labeling)는 식품 표시 항목 중의 하나로 소비자에게 제품의 정확한 영양 성분을 주지함으로써 자신의 건강에 맞는 제품을 선택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제품의 영양적 가치를 비교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구매 시점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Ju 등 2006).
청소년들의 영양 표시에 대한 교육이 매우 필요한 이유는? 그러나 대부분의 소비자들 특히 청소년들은 영양 표시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으며, 선호도 위주로 식품을 구매하여 섭취하기 때문에 청소년들의 영양 표시에 대한 교육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Kim DS 2001; Lee 등 2002).
식품 표시 내용을 확인하지 않는 이유 중, 남학생의 50.2%가 응답한 내용은 무엇인가? 식품 표시 내용을 확인하지 않는 이유는 Table 3에서 보는 바와 같다. 남학생은 “아무 생각 없이 습관적으로 구매하기 때문에”라는 응답이 50.2%, 여학생은 4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ck YS. 1997. A transcultural study of eating attitudes and behaviors among adolescents.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 Choi MJ, Park SY. 2008. The eating habit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nd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food nutrition labeling in the Daegu region.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133-133 

  3. Go HR. 2001.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economics class on nutrition knowledge, eating attitude, eating habit, and accepting attitude toward TV commercial of middle school students. M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4. Ju NM, Yun JY, Kim OS, Park SH, Go YJ, Kim JY. 2006. Study on the awareness of female-consumers for nutrition labeling system.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1: 209-214 

  5. Jung HH. 2005.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food & nutrition facts.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6. Kim DS, Lee JW. 2000.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food and nutrition labelli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77-77 

  7. Kim DS, Lee JW. 2002. Use and recognition of nutrition labelings in processed food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J Korean Dietetic Association 8:301-310 

  8. Kim DS. 2001. Recognition and utilization food and nutrition label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9. Lee IS, Choi BS, Ryu DR, Park YM. 2002. A study on college student's eating behaviors related to the nutrition labe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17:299-308 

  10. Lee KH. 1996. A study on consumer behavior of food label. Colleg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11. Lee SU. 2000. The study on the state of nutritional intake and eating behavior based on middle school students' nutritional knowledg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kmyng Woomen's University 

  12. Lim HS. 1997. Utilization of the current food labeling system of processed foods and awareness on nutrition labeling of middle school female teachers. Graduate School of Chungbuk University 

  13. Min YH. 1995. A basic research for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nutrition labeling.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5:173-186 

  14. No YH. 1998. A study on the nutrition labeling. Korea Consumer Agency 

  15. Park HL. 1995. A basic research for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nutrition labeling.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9:10-15 

  16. Park SH, Lee HJ, Jung NO. 1991. The study on the state of health and dietary habits of boy's and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7: 67-80 

  17. Park SM, 2006.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food and nutrition label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 & Public Health Studies, Yeungnam University 

  18. Park YJ. 2008. Facts of understanding,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food & nutrition label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north of Gyeonggi-do.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kuk University 

  19. Son MJ. 2007. Use and understanding of nutrition label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dietary factors among adolescents from junior and high school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hee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