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육가공품의 영양표시 현황과 소비자 인지도 및 소비경향 실태조사
Studies on the Current Status of Nutrition Labeling Recognition and Consumption Pattern of Domestically Processed Meat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7, 2010년, pp.1056 - 1063  

김지혜 (강릉원주대학교 식품과학과) ,  이근택 (강릉원주대학교 식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국내 육가공품 표시 실태에 대한 이행여부를 조사하였고, 육가공품을 가장 많이 소비하고 있는 청소년과 아동들을 위한 구매 주체인 20~50대 주부 184명을 대상으로 국내 육가공품의 영양표시제도에 대한 인지도, 필요성과 이해도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시판 육가공품의 영양표시 실태를 살펴본 결과 총 171개 조사대상 제품 중 영양성분은 48.0%에 해당되는 81개 육가공품에서 표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시지류는 88.9%로 가장 많이 표시된 반면, 베이컨은 표시된 제품이 없었다. 조사대상자들은 나이와 상관없이 제품표시와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경우가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질병이 있거나 BMI가 높은 사람일수록 제품표시와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제품표시를 확인하지 않는 이유로서 '보아도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가 46.2%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영양표시를 확인하지 이유로는 '영양성분표시를 확인해도 도움이 안 되는 경우가 많아서'가 39.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영양성분표시의 이해가 어려워서'가 32.8%로 나타났다. 영양표시제도가 필요성에 대하여는 '매우 그렇다'가 51.6%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영양표시시행에 따른 긍정적 효과에 대한 조사결과 '건강에 유익한 제품을 선택 시 용이하다.'가 62%로 나타났으며 시행에 따른 수반되는 문제점으로 '허위, 과대 표시로 인해 충동구매를 야기한다.'가 35.9%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영양표시제도에 대한 이해도에서 11문항 중 4문항이 약 50% 이상의 정답률을 나타냈으며, 영양권장량 등의 수량적 이해 질문에는 정답률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육가공품의 영양표시 이해도에 대한 결과에서는 7문항 중 3문항만이 약 50% 이상으로 나타났다. 제품표시의 확인정도는 영양표시의 확인정도와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영양표시를 확인하는 정도는 영양표시지식과 육가공품의 영양표시지식과 각각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영양표시를 확인하고 있지만 정확한 영양표시에 대한 정확한 정보 지식의 수준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소비자들에 대한 전반적 영양교육에 대한 홍보의 필요성이 중요하게 부각되며 다양한 표시 방법은 소비자들에게 혼동이 올 수 있으므로 제품종류에 상관없이 같은 영양정보표시 방법을 선정하여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영양표시의 규정이 명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된다. 특히 육가공품에 대한 영양표시 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 영양교육과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urrent nutrition labeling status, levels of recognition and patterns of consumption of domestically processed meat products.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47.4% of products (81 out of 171) were labeled with nutrition information. Where general product la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육가공품을 유형별로 수거하여 영양표시 실태와 일반소비자 중 식품구매의 주체인 주부들을 대상으로 하여 영양표시의 이용정도, 이해도, 신뢰도 및 지식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향후 국내 육가공품의 품질규격 설정과 품질향상, 전면적 영양표시의 의무화 및 소비자들의 영양학적 의식 고취를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조사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육가공품의 표시내용 중 영양표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 5개 육가공회사들에서 생산되는 제품들의 포장재와 라벨(label)을 수거하였고, 아울러 강릉시에 위치한 대형할인 매장 3곳에서 육가공품을 직접 구매하여 표기된 내용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공식품의 소비가 크게 증가하기 시작한 이유는 무엇인가? 1970년대 이후 도시화, 산업화 및 핵가족화가 진행됨에 따라 가공식품의 소비가 크게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가공식품중 특히 육가공품의 경우 어육 또는 어육혼합제품을 제외한 축육 가공품의 생산량은 1980년 기준 연간 5,778 M/T에 불과하였으나 1990년에 58,491 M/T, 1995년에는 97,484 M/T 로 15년 사이 약 17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육가공품의 생산의 증가세가 90년대 중반 이후 주춤하면서 2008년에는 전년도에 비해 약 1.6% 상승하는데 그친 이유는 무엇인가? 6% 상승하는데 그쳤다(1). 이와 관련하여 2004 년에 육가공품에 대한 소비자 의식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보면 국내 소비자들은 육가공품 구매 시 고지방 함량에 따른 비만이나 저질 원료와 방부제등 첨가제의 사용에 대하여 가장 많은 우려를 가지며 이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2).
영양표시제도란 무엇인가? 영양표시제도란 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성분의 종류와 함량, 섭취 시 열량 및 각 영양성분의 일일섭취권장량에 대한 비율 등 소비자에게 영양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제공함 으로써 소비자들이 식품의 영양적 가치를 근거로 합리적인 식품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제도이다(3). 현재 우리 나라는 1996년 식품위생법 제10조에 의한 보건복지부의 고시로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영양표시를 위한 기준이 마련 되어 시행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orea Meat Industries Association. 2007. Statistic data information. Available at: http://www.kmia.or.kr. 

  2. Chung DH. 2004. Status and countermeasure for processed meat industries. Meat J ournal 6: 55-57. 

  3. Son HS, Chang YK. 1997. Understanding nutrition labeling and standard of labeling of food. Food Science and Industry 

  4.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9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otification. p 95-67. 

  5.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 Quarantine Service. 2002. 

  6. National Veterinary Research & Quarantine Service. 2005. 

  7. Lee KH, Yeo JS. 1996. Analysis of consumer behavior on using food label.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34: 

  8. Lee KJ, Lee YH. 2004. Consumer's recognition and using state about food-nutrition labeling system among twenties. 

  9. Lee KA, Lee HJ, Park EJ. 2010. The effect of use of nutrition labelling on knowledge and perception of nutrition labelling, and awareness of nutrition labelling usefulness with among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0. Seong PN, Cho SH, Kim JH, Hah KH, Park BY, Kim DH, 

  11. Cho SH, Yu HH. 2007.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awareness of food-nutrition labeling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 519-533. 

  12. Kim OS, Oh SI, Jang YA. 2005. A study on monitoring the current nutrition practice on the package of the processed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616-628. 

  13. Oh SI, Kim OS, Jang YA. 2007. Nutritional labeling practices for processed foods according to food category. Journal 

  14.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Average household income of workers in the second quarter of the year 

  15. Lee KJ, Lee YH. 2004. A study on the dietary life of housewives and their usage practices of food-nutrition labelli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 161-174. 

  16. Chang SO. 2000. A study on the perception, use, and demand of housewife-consumers for nutrition label. Korean 

  17. Satia JA, Galanko JA, Neuhouser ML. 2005. Food nutrition label use is associated with demographic, behavioral, and psychosocial factors and dietary intake among African Americans in North Carolina. J Am Diet Assoc 10: 394-402. 

  18. Chung J, Kim MJ. 2007. Using and understanding of nutrition labels and related factors among female adults in the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2: 417-425. 

  19. Kim DS, Lee JW. 2002. Use and recognition of nutrition labelings in processed food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J Diet Assoc 8: 301-310. 

  20. Kim DS. 2001. Utilization status and recognition level for nutrition labeling of food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Ph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1. Park HR, Min YH. 1995. A basic research for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nutrition labeling (1); with a reference to the consumer awareness. Korean J Diet Culture 

  22. Im HS, Kim HS. 1996. Awareness of nutrition labeling by female consumers in north area of Kyonggido. J Korean Living Sci Assoc 5: 173-18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