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마인과 아마인유의 영양성분과 물리화학적 특성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Flax(Linum usitatissimum) Seeds and Oi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3 no.4, 2010년, pp.516 - 525  

남진식 (수원여자대학 식품영양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마인의 유용성분에 대해서 알아보고 가열과정을 통한 성분변화 및 다른 종유작물과 유지의 물리화학적 성분과 비교, 평가하였다. 조지방은 37~43%, 탄수화물은 30~35%, 조단백질은 18~23%, 조회분은 3~4% 그리고 수분 함량은 0.2~6.8%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식이섬유 함량은 생아마인보다 가열 처리한 볶음 아마인에서 SDF의 함량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IDF의 함량도 감소하기 때문에 TDF의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총 식이섬유 함량은 28~31%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아마인의 주요 유용성분을 살펴본 결과, 비타민은 ${\gamma}$-tocopherol(E), 아미노산은 ag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가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들은 생아마인보다 볶음 아마인에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마인의 무기물 함량을 분석한 결과, 칼슘, 칼륨, 마그네슘, 인이 주요 구성성분이었다. 물리화학적인 특징으로 요오드가, 비누화가, 산가를 분석하였으며, 브라운 아마인유는 각각 204.1 g/100 g, 193.6 mg/g, 1.59 mg/g을 나타내었으며, 골드 아마인유는 각각 203.0 g/100 g, 189.9 mg/g, 2.35 mg/g으로 조사되었다. 아마인유의 지방산 함량에서는 전체적인 구성 비율을 볼 때 ${\alpha}$-linolenic acid(ALA, C18:3n-3)가 약 55.5~56.1% 로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브라운보다는 골드 아마인유의 ${\alpha}$-linolenic acid의 함량이 약간 높았다. 높은 ${\alpha}$-linolenic acid 함량은 아마인유가 오메가-3 지방산이 강화된 식품 개발에 좋은 자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다가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약 71%로 함유되어 있으며, ${\alpha}$-linolenic acid 등 필수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식품의 영양학적인 의의가 크며, 양질의 식용유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laxseed has recently gained attention as a functional food. In this paper, physicochemical analyses of flaxseed and its oil were performed. Crude fat content ranged from 37~43%, moisture 0.2~6.8%, carbohydrate 30~35%, crude protein 18~23%, and crude ash 3~4%. Flaxseed is also an important source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마인과 아마인유 그리고 열처리한 아마인과의 일반성분과 물리 화학적 특성 그리고 영양성분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고, 다른 종유 작물과 비교분석함으로써 자원작물로서의 위치와 가치를 확립하여 국내의 기능성 식품소재의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마인의 영양성분은? 오래 전부터 아마인은 인쇄 잉크, 수채화, 페인트, 리놀륨(linoleum) 등으로 산업적 목적으로 이용되어 왔으나(Green & Marshall 1984), 최근 영양학적, 약리학적 가치가 뛰어나 기능성 식품으로써의 역할이 중요시 되고 있다. 아마인의 영양성분은 지방, 단백질, 식이섬유, 리그난, 무기질 및 비타민 등 수많은 필수성분이 집약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Wang 등 2008). 또한 아마인은 αlinolenic acid(ALA; C18:3n-3)의 높은 함량과 오메가-3 지방산의 건강기능성에 대한 효과가 보고되어짐에 따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아마인의 원산지는? 아마인(Linum usitatissimum L.)은 중앙아시아 고산지대가 원산지인 아마과(Linaceae) 식물의 종자로 자생력이 강하며, 약 40%의 유지를 함유하고 있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종유 작물이다. 모양은 납작하고 타원형으로 브라운과 골드색이 있다(Wiesnerova & Wiesner 2008).
아마인의 모양은? )은 중앙아시아 고산지대가 원산지인 아마과(Linaceae) 식물의 종자로 자생력이 강하며, 약 40%의 유지를 함유하고 있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종유 작물이다. 모양은 납작하고 타원형으로 브라운과 골드색이 있다(Wiesnerova & Wiesner 2008). 오래 전부터 아마인은 인쇄 잉크, 수채화, 페인트, 리놀륨(linoleum) 등으로 산업적 목적으로 이용되어 왔으나(Green & Marshall 1984), 최근 영양학적, 약리학적 가치가 뛰어나 기능성 식품으로써의 역할이 중요시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Chanmugam P, Boudreau M, Boutte T, Park RS, Hebert J, Berrio L, Hwang DH. 1992. Incorporation of different types of n-3 fatty acids into tissue lipids of poultry. Poult Sci 71:516-521 

  3. Chen J, Wang L, Thompson LU. 2006. Flaxseed and its components reduce metastasis after surgical excision of solid human breast tumor in nude mice. Cancer Lett 234:168-175 

  4. Choi HI, Lee BK, Kim SJ. 2010. Study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non-fermented rice bran and fermented rice bran. Korean J Food & Nutr 23:1-7 

  5. Choo WS, Birch J, Dufour JP. 2007. Physicochemical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ld-pressed flaxseed oils. J Food Compost Anal 20:202-211 

  6. Chun H, Yvonne VY, David DK.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flaxseed lignan secoisolariciresinol diglucoside, its aglycone secoisolariciresinol and the mammalian lignans enterodiol and enterolactone in vitro. Food and Chem Toxicol 45: 2219-2227 

  7. Chung MJ, Kang AY, Park SO, Park KW, Jun HJ, Lee SJ. 2007. The effect of essential oils of dietary wormwood(Artemisia princeps), with and without added vitamin E, on oxidative stress and some genes involved in cholesterol metabolism. Food Chem Toxicol 45:1400-1409 

  8. Cohen SL, Moore AM, Ward WE. 2005. Flaxseed oil and inflammation associated bone abnormalities in interleukin-10 knockout mice. J Nutr Biochem 16:368-374 

  9. Food Code. 2003. Conduct laboratory testing according to specifications and test methods of the Food Code. pp.894-918,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Moon Yong Press, Seoul 

  10. Green AG, Marshall DR. 1984. Isolation of induced mutants of linseed(Linum usitatissimum) having reduced linolenic acid content. Euphytica 33:321-328 

  11. Ha JH, Kim DH. 1996.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meals from the defatted sesame seeds at various roasting temperature and tim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246-252 

  12. Heinrikson RL, Meredith SC. 1984. Amino acid analysis by reverse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precolumn derivatization with phenylisocyanate. Anal Chem 136:65-69 

  13. Hwang JK, Kim JT, Cho SJ, Kim CJ. 1995. Effects of various thermal treatment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heat br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394-403 

  14. Jiang Z, Ahn DU, Ladner L, Sim JS. 1992. Influence of feeding full-fat flax and sunflower seeds on internal and sensory qualities of eggs. Poult Sci 71:378-382 

  15. KFDA. 2009. Health Functional Food Cod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http://kfda.go.kr), Seoul, Korea 

  16. Kim HW, Jeong SY, Woo SJ. 1999.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same with roasting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1137-1143 

  17. Kim KM. 2010. Effects of corn oil, perilla oil, sardine oil diet on the hepatic glutathione s-transferase(GST-P) positive foci and glutathione related enzyme system in carcinogen treated rats. Korean J Food & Nutr 23:276-284 

  18. Lee IB, Choi KJ, Yu KK, Chang KW. 1992. Tocopherols and fatty acids in plant seeds from Korea. J Korea Agric Chem Soc 35:1-5 

  19. Lee JS, Lee YN, Kim ES. 2000. Study on zine and copper intaker of breast-fed infants. Korean J Nutr 33:857-863 

  20. Lee JY, Eom JH, Eun JH, Bai SC, Kim DJ. 2009. Effect of estimated availability of NDF binding major minerals in soybean sprouts depending on cultivation periods and sampling par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486-489 

  21. Lee KA, Cho YA, Hwang YH, Lee HS. 2003. Analysis of dietary fiber of 66 Korean varieties of sprout beans and bean sprouts. Nutr & Food 8:173-178 

  22. Lee Y, Shin HS. 1977. A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of Amorpha fruticosa seed. Korean J Food Sci Technol 9: 284-290 

  23. Lee YC, Hwang KH, Han DH, Kim SD. 1997. Compositions of Opuntia ficus-ind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47-853 

  24. Metcalfe LD, Schmitz AA, Pelka JR. 1966. Rapid preparation of fatty acid esters from lipids for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Anal Chem 38:514-515 

  25. National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R.D.A 2006. Food Composition Table, 7th ed. pp.368-370, Seoul: Republic of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6. Ning L, Villota R, Artz WE. 1991. Modification of corn fiber through chemical treatments in combination with twin-screw extrusion. Cereal Chem 68:632-636 

  27. Noh WS, Park JS. 1992. Lipid compositon of Korean safflower seeds. J Korean Agric Chem Soc 35:110-114 

  28. NRC. 1996. Nutrient Requirements of Beef Cattle 7th Rev. Ed.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29. Park DS, Lee KI, Park KY. 2001. Quantitative analysis of dietary fibers from Perilla frutescens seeds and antimutagenic effect of its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900-905 

  30. Punna R, Paruchuri UR. 2003. Total, insoluble and soluble dietary fiber contents of Indian fruits. J Food Comp Anal 16:677-685 

  31. Tylleskar T, Rosling H, Banea M, Bikangi N, Cooke RD, Poulter NH. 1992. Cassava cyanogens and konzo, an upper motoneuron disease found in Africa. The Lancet 339:208-211 

  32. USDA. 1998.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Release 12 

  33. Vijaimohan K, Mallika Jainu KE, Sabitha S, Subramaniyam C, Anandhan CS, Devi S. 2006. Beneficial effects of alpha linolenic acid rich flaxseed oil on growth performance and hepatic cholesterol metabolism in high fat diet fed rats. Life Sci 79:448-454 

  34. Wang Y, Li D, Wang LJ, Chiu Y, Chen XD, Mao ZH, Song CF. 2008. Optimization of extrusion of flaxseeds for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analysi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Food Eng 85:59-64 

  35. Wiesnerova D, Wiesner I. 2008. Computer image analysis of seed shape and seed color for flax cultivar description. Comput Electron Agr 61:126-135 

  36. Wijendran V, Hayes KC. 2004 Dietary n-6 and n-3 fatty acid balance and cardiovascular health. Annu Rev Nutr 24:597-615 

  37. Yoshimura M, Takahashi H, Nakanishi T. 1991. Role of sodium, potassium, calcium, magnesium on blood pressure regulation and antighypertensive dietary therapy. Jap J Nutr 49:53-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