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마인에 함유된 시안배당체의 분석과 저감화
Analysis and Decrease of Cyanogenic Glucosides in Flaxsee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4 no.6, 2005년, pp.875 - 879  

박은령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규격평가부) ,  홍진환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규격평가부) ,  이동하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규격평가부) ,  한상배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규격평가부) ,  이강봉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규격평가부) ,  박재석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규격평가부) ,  정형욱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규격평가부) ,  홍경현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규격평가부) ,  김명철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규격평가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마인의 linustatin과 neolinustatin은 가수분해되어 acetone, hydrogen cyanide(HCN) 그리고 sugar를 생성하는 diglucoside 시안배당체로써 가수분해물인 HCN의 독성으로 인해 식품의 안전성에 문제가 되고 있다. $80\%$ methanol 추출과 LC/MSn에 의한 정성분석과 RI-LC에 의한 아마인에서 함유된 시안배당체 함량을 조사한 결과, linustatin과 neolinustatin이 각각 평균 206.5 mg/100 g과 174.2 mg/100 g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autohydrolysis 후 증류액으로부터 IC 분석 에 의 해 HCN 137.38 mg/kg이 가수분해되어 유리됨을 알 수 있었다. 시안배당체의 저감화를 위하여 가열처리를 수행한 결과, 아마인은 $200^{\circ}C$에서 2시간 이상 가열시 $85\%$ 이상의 linustatin과 neolinustatin 그리고 HCN의 제거효과를 보였다. 특히 $200^{\circ}C$에서 30분 가열시 $98\%$의 HCN이 제거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nustatin and neolinustatin in flaxseed are called cyanogenic glucosides which produce acetone, hydrogen cyanide (HCN) and sugar when hydrolyzed. The HCN is the chemical whose toxin is being issued in food safety. Linustatin and neolinustatin were found in flaxseed by 206.5 and 174.2 mg/100 g, re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아마인에 함유된 독성물질인 시안배당체 형태의 linustatin과 neolinustatin, 가수분해산물인 시안화수소산을 유도체화 등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분석방법을 확립하고 열처리 방법을 이용한 시안배당체의 저감화 방법을 모색하여 식품원료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pencer KC, Seiglera DS, Nahrstedtb A. 1986. Linamarin, lotaustralin, linustatin and neolinustatin from Passiflora species. Phytochem 25: 645-647 

  2. Irena NS. 1998. Cyanogenic glucosides in Linum usitatissirnum. Phytochem 49: 59-63 

  3. Amarowicz R, Chong X, Shahidi F. 1993. Chromatographic techniques for preparation of linustatin and neolinustatin from flaxseed: Standards for glycoside analyses. Food Chem 48: 99-101 

  4. Smith CR, Weisleder D, Miller RW, Palmer IS, Olson OE. 1980. Linustatin and neolinustatin: Cyanogenic glycosides of linseed meal that protect animals against selenium toxicity. J Org Chem 45: 507-510 

  5. Kobaisy M, Oomah BD, Mazza G. 1996. Determination of cyanogenic glycosides in flaxseed by barbituric acid-pyridine, pyridine-pyrazolone,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J Agric Food Chem 44: 3178-3181 

  6. Wanasundara PKJPD, Shahidi F, Brosnan ME. 1999. Changes in flax (Linum usitatissmum) seed nitrogenous compounds during germination. Food Chem 65: 289-295 

  7. Selmar D, Liebereia R, Junqueirab N, Biehl B. 1991. Changes in cyanogenic glucoside content in seeds and seedlings of Hevea species. Phytochem 30: 2135-2140 

  8. Selmar D, Liebereid R, Biehld B, Nahrstedta A, Schmidtmannb V, Wrayc V. 1987. Occurrence of the cyanogen linustatin in Hevea brasiliensis. Phytochem 26: 2400-2401 

  9. Selmar D, Lieberei R, Beehl B. 1988. Mobilization and utilization of cyanogenic glycosides. The linustatin pathway. Plant Physiol 86: 711-716 

  10. Lei V, Amoa-Awua WKA, Brimer L. 1999. Degradation of cyanogenic glycosides by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from spontaneous cassava fermentation and other microorganisms. Int J Food Microbiol 53: 169-184 

  11. Brimer L, Brogger Christensen S, Molgaard P, Nartey F. 1983. Determination of cyanogenic compounds by thin-layer chromatography. 1. A densitometric method for quantification of cyanogenic glycosides, employing enzyme preparations ( $\beta$ -glucuronidase) from Helix pomatia and picrate-impregnated ion-exchange sheets. J Agric Food Chem 31: 789-793 

  12. Oomah BD, Mazza G, Kenaschuk EO. 1992. Cyanogenic compounds in flaxseed. J Agric Food Chem 40: 1346-1348 

  13. Tylleskar T, Rosling H, Banea M, Bikangi N, Cooke RD, Poulter NH. 1992. Cassava cyanogens and konzo, an upper motoneuron disease found in Africa. The Lancet 339: 208-211 

  14. Kim DH. 1995. Food chemistry. Tamgudang, Seoul. p 726-729 

  15. Feng D, Shen Y, Chavez ER. 2003. Effectiveness of different processing methods in reducing hydrogen cyanide content of flaxseed. J Sci Food Agric 83: 836-841 

  16. Wanasundara PKJPD, Amarowicz R, Kara MT, Shahidi F. 1993. Removal of cyanogenic glycosides of flaxseed meal. Food Chem 48: 263-266 

  17. Spencer KC, Seiglera DS, Nahrstedtb A. 1986. Linamarin, lotaustralin, linustatin and neolinustatin from Passiflora species. Phytochem 25: 645-647 

  18. Chadha RK, Lawrence JF, Ratnayake WMN. 1995. Ion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cyanide released from flaxseed under autohydrolysis conditions. Food Addit Contam 12: 527-5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