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체질량 지수, 허리둘레 및 운동 습관에 따른 식사다양성 평가
Evaluation of Dietary Variety by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Exercise Habit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3 no.4, 2010년, pp.570 - 581  

이보경 (유한대학 식품영양과) ,  이종현 (동남보건대학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dietary variety by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and exercise habits in 138 female university students residing in Bucheon and its adjacent area. Body mass index(BMI), waist circumference (WC) and exercise habits were assessed via a self reporting qu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천 지역 여대생들의 비만도와 허리 둘레, 운동 습관에 따른 식사다양성의 차이를 파악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올바른 식생활 확립을 위한 효과적인 영양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이루어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한 식사는 무엇인가? 건강한 식사는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으로써, 다양한 식품 섭취는 한 가지 영양소의 과잉이나 결핍 기회를 줄일 수 있으므로 한국인을 위한 식사지침에서도 다양한 식품 섭취를 강조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식사의 다양성을 통하여 영양적인 질이 개선되고(KrebsSmith 등 1987; Kim & Moon 1990), 다양한 식품군 선택 및 동일 식품군내에서의 다양한 종류의 식품 섭취는 비타민, 무기질 및 기타 미량 영양소를 제공하여 식사의 질을 개선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rebs-Smith 등 1987).
식사의 다양성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은? 건강한 식사는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으로써, 다양한 식품 섭취는 한 가지 영양소의 과잉이나 결핍 기회를 줄일 수 있으므로 한국인을 위한 식사지침에서도 다양한 식품 섭취를 강조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식사의 다양성을 통하여 영양적인 질이 개선되고(KrebsSmith 등 1987; Kim & Moon 1990), 다양한 식품군 선택 및 동일 식품군내에서의 다양한 종류의 식품 섭취는 비타민, 무기질 및 기타 미량 영양소를 제공하여 식사의 질을 개선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rebs-Smith 등 1987). 이와 같이 식사의 다양성이란 식사의 질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변수로, 식사의 다양성 증가는 영양소 섭취 수준과 일관된 상관성을 보이며, 섭취 식품의 종류나 식품군의 수로 쉽게 측정될 수 있으므로 편리한 식사의 질적 평가도구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Oh SY 2000).
아동을 대상으로 한 식사의 다양성에 대한 연구는 어떤 것이 있는가? 외국에서는 섭취 식품 가짓수를 나타내는 dietary variety score 또는 food variety score로 식사의 다양성을 정의하며(Guthrie & Scheer 1981; Farchi 등 1989; Kant 등 1991; Patterson 등 1994; Cameron & Van Staveren 1998), 섭취식품군의 수(dietary diversity score)를 이용하여 식사의 질을 평가하는 도구들도 개발되고 있어서(Kant 등 1991) 식사의 다양성과 건강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미취학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Hatloy 등 1998)에서 섭취 식품 가짓수가 식사의 영양적 적절성을 평가하는데 상당히 좋은 지수가 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고, 취학 전 아동의 식사다양성이 영양소 섭취 상태뿐만 아니라 성장 속도, 즉 체중 및 신장과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이 관찰된다고 보고하고 있다(Tarini 등 1999). 국내 일부 연구 결과, Kim & Moon (1990)의 연구에서는 칼슘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 섭취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섭취한 식품의 수가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다른 연구(Lee 등 1996; Song & Paik 1998; Song 등 1998)에서도 섭취 식품의 종류가 증가할수록 영양소 섭취가 증가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Cameron NE, Van Staveren WA. 1998. Manual on Methodology for Food Consumption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2. Chang YK, Byun KW, Lee BK, Lee JH, Lee HM, Cho YY. 2008. Medical Nutrition Therapy. Hyoilbooks Press 

  3. Cheong SH, Kwon WJ, Chang KJ. 2002.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etary attitudes, dietary behaviors and diet qualities of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eran J Comm Nutr 7:293-303 

  4. Drewnowski A, Henderson SA, Shore AB, Fischler C, Preziosi P, Hercberg S. 1996. Diet quality and diet diversity in France: Implication for the French paradox. J Am Diet Assoc 96:663-639 

  5. Farchi G, Mariotti S, Menotti A, Seccareccia F, Torsello S, Fidanza F. 1989. Diet and 20-y mortality in two rural population groups of middle-aged men in Italy. Am J Clin Nutr 50:1095-1103 

  6. Guthrie HA, Scheer JC. 1981. Validity of a dietary score for assessing nutritive adequacy. J Am Diet Assoc 78:240-245 

  7. Hatloy A, Torheim LE, Oshaug A. 1998. Food variety-a good indicator of nutritional adequency of the diet? A case study from an urban area in Mali, West Africa. Eur J Clin Nutr 52:891-898 

  8. Jun YS, Choi MK, Bae YJ, Sung CJ. 2006. Effect of meals variety on obesity index, blood pressure, and lipid profiles of Korean adults. Koren J Food Culture 21:216-224 

  9. Kant AK, Block G, Schatzkin A, Zeigler RG, Nestle M. 1991. Dietary diversity in the US population. NHANES II. J Am Diet Assoc 91:1526-1531 

  10. Kant AK, Schatzkin A, Harris TB, Zeigler RG, Block G. 1993. Dietary diversity and subsequent mortality in the first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epidemiologic follow-up study. Am J Clin Nutr 57:434-440 

  11. Kasamatsu T, Yoshimura N, Morioka S, Hashimoto T. 1996. Relationship of the number of consumed food items with nutritional status and obesity. Jpn J Nutr 54:19-26 

  12. Kim BR, Cho YE. 2001.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food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Kangneu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986-992 

  13. Kim IS, Seo EA, Yu HH. 1999. A longitudinal study on the change of nutrients and food consumption with advance in age among middle-aged and the elderly. Korean J Comm Nutr 4: 394-402 

  14. Kim JY, Moon SJ. 1990. An ecolog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 Korean J Nutr 23:309-316 

  15. Kim MO, Eun JG, Chang UJ. 2009. Recognition of body weight and body part satisfac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Food & Nutr 22:205-214 

  16. Kim SH, Kim JY, Ryu KA, Sohn CM. 2007. Evaluation of the dietary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s in obese adults. Korean J Comm Nutr 12:583-591 

  17.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revision. Korean Nutrition Society 

  18.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orean Nutrition Society 

  19. Krebs-Smith SM, Smiciklas-Wright HS, Guthrie HA, Krebs- Smith J. 1987. The effects of variety in food choices on dietary quality. J Am Diet Assoc 87:897-903 

  20. Lee BK. 2005. Effects of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attitude, dietary behavior on the nutrition status of college female students. Institute of Industry and Scientific Technology in Yuhan University 

  21. Lee BK. 2009. The effects of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body mass index on the daily nutrient intake of college female students in Bucheon and near area. Institute of Industry and Scientific Technology in Yuhan University 

  22. Lee JE, Ahn YJ, Kim KC, Park C. 2004. Study on the associations of dietary variety and nutrition intake level by the number of survey days. Korean J Nutr 37:908-916 

  23. Lee JH, Chang KJ.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versity of food intake and nutrient intak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a nutrition education class via the internet. Korean J Comm Nutr 8:689-698 

  24. Lee JS, Jeong EJ, Jeong HY. 1996. Nutrition survey in the low income area of Pusan. A study on dietary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J Korean Soc Food Nutr 25:199-204 

  25. Lee JW, Hyun W, Kwak CS, Kim C, Lee HS. 2000.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different food consumed and nutrient intakes. Korean J Comm Nutr 5:297-306 

  26. Lee SY, Ju DL, Paik HY, Shin CS, Lee HK. 1998.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abtained by 24-hour recall method in adults living in Yeonchon area(2): Assessment based on food group intake. Korean J Nutr 31:343-353 

  27. Lim HS, Lee JA, Jin HO. 2000. The evaluation of the dietary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s of Korean child-bearing women. Korean J Human Ecol 3:15-24 

  28. McCrory MA, Fuss PJ, Mccallum JE, Yao M, Vinken AG, Hays NP, Roberts SB. 1999. Dietary variety within food groups: association with energy intake and body fatness in men and women. Am J Clin Nutr 69:440-447 

  2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Dietary Guideline for Koreans, Seoul 

  3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Report on 200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 Survey, Seoul 

  31. Oh SY. 2000. Analysis of methods in dietary quality assessment. Korean Society of Comm Nutr pp.13-21 

  32. Park SE, Paik HY, Yu CH, Lee JS, Moon HK, Lee SS, Shin SY, Han GJ. 1999.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food intake of people living rural areas. Korean J Nutr 32:307-317 

  33. Patterson RE, Haines PS, Popkin BM. 1994. Dietary quality index: Capturing a multidimensional behavior. J Am Diet Assoc 94:57-64 

  34. Rho JO. 2007. A study on weight concerns and their control on behavior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Jeonju. Korean J Food & Nutr 20:325-333 

  35. Rise CP, Daehler JL. 1986. Evaluation of the nutrient guide as a dietary assessment tool. J Am Diet Assoc 86:228-233 

  36. Sea MM, Woo J, Tong PC, Chow CC, Chan JC. 2004. Associations between food variety and body fatness in Hong Kong Chinese adults. J Am Coll Nutr 23:404-413 

  37. Shim JE, Paik HY, Moon HK, Kim YO. 2001.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dietary intakes og Koreans by age groups (2): Food and food group intakes. Koren J Nutr 34: 568-579 

  38. Shim JE, Ryu JY, Paik HY. 1997. Contribution of seasonings to nutrient intake assessed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n adults in rural area of Koreans. Koren J Nutr 30: 1211-1218 

  39. Song YJ, Paik HY, Lee YS. 1998. Qualitative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rea. J Korean Home Economic Assoc 36:201-216 

  40. Song YJ, Paik HY. 1998. Seasonal variation of dietary intake and quality from 24 hour recall survey in adults living in Yeoncho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775-784 

  41. Tarini A, Bakari S, Delisle H. 1999. The overall nutritional quality of the diet is reflected in the growth of Nigerian children. Sante 9:23-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