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달의 운동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대안개념 및 인지갈등 상황 후 변화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lternative Conceptual Types and Change After Conflict Situations on the Movement of the Mo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0 no.8, 2010년, pp.1110 - 1122  

임청환 (대구교육대학교) ,  김혜진 (대구매곡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달의 운동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대안개념 유형을 조사하고, 각각의 대안개념에 대하여 인지갈등 상황을 제시한 후 그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대안개념의 유형을 조사하기 위하여 206명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 개념조사를 실시하여 대안개념을 분석한 후, 문항별 개념유형에 따라 5개 집단으로 의도적으로 나누어 30명을 표집 하였다. 학생들의 대안개념 유형과 인지갈등 상황 후의 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각각 5문항이 포함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대안개념 유형에 대한 조사 결과 학생들의 대부분이 다양한 유형의 대안개념을 갖고 있었다. 갈등상황 후 개념변화에 대해서는 특히, 초승달의 뜨고 지는 시각 및 움직임에 대한 대안개념은 표본 집단 모두 과학적 개념으로 변화되었다. 따라서 대안개념에 대한 인지갈등 상황 제시 학습이 달의 운동에 대한 학습에 효과 있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ternative conceptual types of the movement of the moon and to find out how these types change when confronted with cognitive conflict situations. To find out alternative conceptual types, 206 sixth graders were sampled, and to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달의 운동에 관한 학생들의 대안 개념 유형을 조사하고 그 대안개념들이 인지갈등 상황 후에 어떻게 변화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달의 운동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대안개념 유형을 조사하고, 각각의 대안개념에 대하여 인지갈등 상황을 제시한 후 그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대안개념의 유형을 조사하기 위하여 206명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 개념조사를 실시하여 대안개념을 분석한 후, 문항별 개념유형에 따라 5개 집단으로 의도적으로 나누어 30명을 표집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교에서 달의 운동에 대한 학습은 어떤 주제와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가? 달의 운동에 대한 학습은 7차 교육과정에서는 3학년 2학기에 7차 개정교육과정에는 5학년 1학기 처음으로 다루어진다. 초등학교에서 달의 운동에 대한 학습은 달의 모양, 하룻밤 동안의 달의 움직임, 달의 모양이 날마다 어떻게 변하는가, 여러 날 동안 같은 시각에 달을 관찰하면 모양과 위치는 어떻게 변하는가 등의 주제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초등학교 수준에서 달의 운동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상당히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과학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대안개념의 특징은? 구성주의 학습이론은 과학 개념학습에 대한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는데,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선개념이 과학적 개념과 다를 때, 학생들은 수업 후에도 교사가 의도하는 것과는 다른 대안개념을 형성하게 되거나, 기존에 가지고 있던 선개념을 그대로 고수하기도 한다(Taber & Watt, 1997; Grubelnik, Fosnaric & Marhl, 2004). 과학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대안개념은 비교적 안정적이어서 교사의 설명이나 실험결과와 다를 때조차도 잘 바뀌지 않으며, 새로운 경험의 의미를 왜곡하기도 하고, 수업 후에도 계속 남아서 과학적 개념과 혼재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과학적으로 올바르지 않은 대안개념은 학습에 영향을 미치므로 올바른 과학개념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달의 운동에 관한 대안 개념에서 전형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대안 개념의 유형은 대체로 초등학생과 중학생에서 거의 유사한 유형을 갖고 있다는 것인데 이러한 이유는? 달의 운동에 관한 대안개념에 대해서 지금까지 여러 유형과 원인 및 그에 따른 학습지도 방법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으나, 전형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대안 개념의 유형은 대체로 초등학생과 중학생에서 거의 유사한 유형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달의 운동과 관련된 대안개념을 초등학교 때부터 갖고 특별한 인지갈등 상황이 없이 중학교로 진급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권재술(1989). 과학개념 형성의 인지적 모형. 물리교육, 7, 1-9. 

  2. 김기정(1997).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개념 성취도와 공간 능력과의 상관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3. 김봉섭(1999).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지구와 달의 운동 개념 형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4. 남정철(2002). 달의 운동에 대한 관찰 및 해석의 문제점과 선지식.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변재성, 정재구, 문병찬, 정진우(2004).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생각.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19-531. 

  6. 심기창, 김희수, 정정인(2004). 인지갈등 수업모형을 적용한 중학생의 달의 운동 개념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25(5), 348-363. 

  7. 채동현, 최영완(2002). 달의 운동에 대한 역할놀이 학습이 초등예비교사의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1(2), 253-262. 

  8. 최숙희(1999). 달의 운동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9(1), 41-56. 

  9. 최여미(1998). 초등학생들의 자연 현상 관찰 경험이 지구의 달의 운동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0. 현광호(2003). 중학교 학생과 교사의 태양, 지구, 달의 천체 운동 방향에 관한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1. Dreyfus, A., Jungwirth, E., & Eliovitch, R. (1990). Applying the 'cognitive conflict' strategy for conceptual change: Some implications, difficulties, and problems. Science Education, 74, 555-569. 

  12. Druyan, S. (1997). Effect of the kinesthetic conceptual conflict on promoting scientific reaso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 1083-1099. 

  13. Grubelnik, V., Fosnaric, S., & Marhl, M. (2004). System thinking and modeling in the concept of constructivism. INFORMATOLOGIA. 37(3), 259-263. 

  14. Hashweh, M. (1986). Toward on explanation of conceptual change.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8, 229-249. 

  15. Posner, G. J., Strike, K. A., Hewson, P. W., & Gertzog,, W. A. (1982). Accommodation of scientific conception : Toward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Science Education, 66, 211-227. 

  16. Taber, K. S., & Watt, M. (1997). Constructivism and concept learning in chemistry; perspectives from a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58, 10-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