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달의 위상변화 원인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논증과 개념 분석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guments on Causes of Phases of the Moon and Concept Analysis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0 no.2, 2017년, pp.161 - 172  

김영대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논증 글을 통해 달의 위상변화 원인에 대해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개념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달 위상변화 원인에 대한 대표적인 대안개념을 포함한 5가지 설명 중 옳은 것을 선택하고 근거를 서술하도록 하는 논증 과제를 투입하였으며, 학생들의 개념 선택과 근거의 TAP 구조 및 하위 개념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은 달의 위상변화 원인뿐만 아니라 관련 개념에서도 다양한 대안개념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의 70.5%가 불완전한 논증 구조를 보였으며, 대안개념의 유형에 따라 주로 나타나는 오류 유형이 다르다는 특징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학생들이 지닌 선개념 점검의 중요성과 논증활동의 필요성, 대안개념의 유형에 따른 적절한 교육적 처방의 필요성을 나타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students' conceptions on causes of the phases of the moon. For this purpose, students were given a worksheet for argumentative writing activity where in they need to choose the right answer between five statements and provide reasonable evidences about 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rundle et al.(2002)은 예비교사들의 달 위상변화에 대한 개념을 분석하기 위해 여러 선행연구 결과 및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개념 분석틀을 제시하였고, 이 연구에서 이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논증 글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Trundle et al.
  • 개념 이해 유형은 기본적으로 선택의 근거 제시 유무와 개념 유형에 따라 구분하였다. 더 나아가 TAP 분석 및 개념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대안개념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념변화 수업을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달의 위상변화 원인에 대해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개념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달 위상변화 원인에 대한 대표적인 대안개념을 포함한 5가지 설명 중 옳은 것을 선택하고 근거를 서술하도록 하는 논증 과제를 투입하였으며, 학생들의 개념 선택과 근거에 포함된 하위 개념 및 TAP 구조를 분석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논증 글을 통해 달의 위상변화 원인에 대해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개념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달 위상변화 원인에 대한 대표적인 대안개념을 포함한 5가지 설명 중 옳은 것을 선택하고 근거를 서술하도록 하는 논증 과제를 투입하였으며, 학생들의 개념 선택과 근거의 TAP 구조 및 하위 개념을 분석하였다.
  • 따라서 대안개념 형성 원인의 추정과 함께 효과적인 개념변화를 돕기 위한 수업 설계에도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달의 위상변화 원인에 대한 생각을 논증의 구조적 측면과 개념적 측면으로 분석하여 그 특징을 상세히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들이 형성한 대안개념이 쉽게 바뀌지 않는 이유는? 학생들이 형성한 대안개념은 대부분 논리 체계가 부실하지만(Hewson& Hewson, 1988), 일반적이고 정형화된 수업을 통해서는 쉽게 바뀌지 않는 특성이 있다(Vosniadou,2004). 이것은 자신만의 논리체계를 구성했지만 근거가 되는 과학적 사실을 잘못 알고 있거나(Hammer, 1996) 과학적 추론 오류가 원인일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수업 전에 학생들이 지닌 선개념(preconception)을 점검하고 대안개념을 가지고 있을경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적인 수업을 준비해야 한다.
대안개념이란? 학생들은 일상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다양한 자연현상들을 이해하기 위해 자신이 겪은 경험들을 토대로 나름대로의 설명체계 또는 개념을 구성한다(Lawson, 1995). 하지만 학생들이 개인적 경험을 통해 형성한 개념들은 현대적 관점의 과학 개념과는 다른 개념인 경우가 많다. 이것을 오개념(misconception)이라고 하며, 대안개념(alternative conception)이란 용어로도 표현한다(Lawson, 1995).
학생들이 천문 영역을 어떻게 느끼나? 한편, 지구과학의 여러 영역 중 천문영역은 학생들이 어린 시절부터 직접 관찰을 하거나 다양한 출처를 통해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영역이다(Hannust& Kikas, 2007). 하지만 천문 영역은 시·공간적인 규모가 매우 크기 때문에 많은 학생들은 지구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관측한 자료를 토대로 과학적인 개념을 구성하는 것을 어려워한다(양일호 외, 2015).따라서 천문 영역은 다른 과학 영역에 비해 대안개념을 형성할 가능성이 많은 과학 영역이다(Kanli,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교육부(2015).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6-1. 세종: 교육부. 

  2. 박지현, 현동걸, 신애경(2016). 지구와 달의 공전궤도를 고려한 달의 위상 변화 관찰 교구의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3), 323-340. 

  3. 양일호, 김정연, 임성만(2015). 2007과 2009 개정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달의 위상 변화 삽화에 대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이해.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56-65. 

  4. 이효녕, 조현준(2012). 학교 과학교육에서의 과학적 논증활동을 위한 탐구학습 지도방법 탐색.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2), 175-188. 

  5. 정진우(1992). 중학교 학생들의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오개념의 형성 원인 분석.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1), 248-266. 

  6. 채동현(1996). 학생들의 달 위상변화의 원인에 대한 개념 조사. 초등과학교육, 15(1), 45-55. 

  7. 채동현(2009). 중학교 3학년 과학 교과서의 '달의 위상변화' 문제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874-885. 

  8. Abell, S., Martini, M., & George, M. (2001). That's what scientists have to do: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during a Moon investig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11), 1095-1109. 

  9. Bailey, J. M., & Slater, T. F. (2003). A review of astronomy education research. Astronomy Education Review, 2(2), 20-45. 

  10. Baxter, J. (1989). Children's understanding of familiar astronomical ev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1(5), 502-513. 

  11. Bell, R. L., & Trundle, K. C. (2008). The use of a computer simulation to promote scientific conceptions of moon pha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3), 346-372. 

  12. Brunsell, E., & Marcks, J. (2005). Identifying a baseline for teachers' astronomy content knowledge. Astronomy Education Review, 2(3), 38-46. 

  13. Chen, Y., Hand, B., & McDowell, L. (2013). The effects of writing-to-learn activities on elementary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learning about force and motion through writing to older peers. Science Education, 97(5), 745-771. 

  14. Erduran, S., & Simon, S. Osborne.(2004). TAPing into argumentation: Development in the use of Toulmin's argumentation pattern in studying science discourse. Science Education, 88(6), 915-953. 

  15. Hammer, D. (1996). More than misconceptions: Multiple perspectives on student knowledge and reasoning, and an appropriate role for education research. American Journal of Physics, 64(10), 1316-1325. 

  16. Hannust, T., & Kikas, E. (2007). Children's knowledge of astronomy and its change in the course of learning.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2(1), 89-104. 

  17. Hasan, S., Bagayoko, D., & Kelley, E. L. (1999). Misconceptions and the certainty of response index (CRI). Physics education, 34, 294-299. 

  18. Hewson, P. W., A'B, H., & Mariana, G. (1988). An appropriate conception of teaching science: A view from studies of science learning. Science Education, 72(5), 597-614. 

  19. Kanli, U. (2014). A Study on Identifying the Misconception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bout Basic Astronomy Concepts.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0(5). 

  20. Korur, F. (2015). Exploring Seventh-Grade Students' an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isconceptions in Astronomical Concepts.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1(5). 

  21.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California: Wadsworth. 

  22. McNeill, K. L. (2009). Teachers' use of curriculum to support students in writing scientific arguments to explain phenomena. Science Education, 93(2), 233-268. 

  23. Osborne, J., Erduran, S., &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10), 994-1020. 

  24. Schoon, K. J. (1995). The origin and extent of alternative conceptions in the earth and space sciences: A surve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7(2), 27-46. 

  25. Sherrod, S. E., & Wilhelm, J. (2009). A study of how classroom dialogue facilitates the development of geometric spatial concepts related to understanding the cause of moon phas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7), 873-894. 

  26. Simon, S., Erduran, S., & Osborne, J. (2006). Learning to teach argumen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science classroo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3), 235-260. 

  27. Stahly, L. L., Krockover, G. H., & Shepardson, D. P. (1999). Third grade students' ideas about the lunar pha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2), 159-177. 

  28. Toulmin, S. E. (2003). The uses of argu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Trumper, R. (2000). University students' conceptions of basic astronomy concepts. Physics Education, 35(1), 9-15. 

  30. Trumper, R. (2001). A cross-age study of senior high school students' conceptions of basic astronomy concepts.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19(1), 97-109. 

  31. Trundle, K. C., Atwood, R. K., & Christopher, J. E. (2002).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moon phases before and after instruc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7), 633-658. 

  32. Trundle, K. C., Atwood, R. K., & Christopher, J. E. (2007). A longitudinal study of conceptual chang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moon pha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2), 303-326. 

  33. Vosniadou, S., Skopeliti, I., & Ikospentaki, K. (2004). Modes of knowing and ways of reasoning in elementary astronomy. Cognitive Development, 19(2), 203-222. 

  34. Wilhelm, J. A. (2014). Young children do not hold the classic Earth's shadow misconception to explain lunar phase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14(7), 349-36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