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0 no.6, 2010년, pp.719 - 738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교사의 교수지향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김교사, 류교사, 박교사 등 교육 경력이 다양한 3명의 교사들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반구조화된 면담과 수업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얻은 자료로부터 연구 대상 교사들의 교수지향의 특성을 분석한 후에 교수 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탐구지향, 학생활동지향, 내용전달지향 등 세 종류의 교수지향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교수지향의 특성은 외적 요인보다는, 내적 요인이 영향을 미쳤고 그 요인으로는 학습자로서의 경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호기심, 반성적 사고등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rientations toward teaching science (OTS)' of science teachers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OTS found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three female teachers as participants named Kim, Ryu, and Park who had various teac...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교실 수업 환경에서 교사의 행동이 나타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지금까지 교사들은 각자의 교실에서 고립된 채, 그들이 교실에서 행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전문적인 피드백을 거의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곽영순, 2003). 그러므로 과학교사들의 PCK 형성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교실 수업 환경에서 교사의 행동이 나타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된 최근까지의 여러 논문들은 주로 PCK의 구성 요소들에 대해 연구하였다. | |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교사의 교수지향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조사 분석 한 결과는? | 얻은 자료로부터 연구 대상 교사들의 교수지향의 특성을 분석한 후에 교수 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탐구지향, 학생활동지향, 내용전달지향 등 세 종류의 교수지향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교수지향의 특성은 외적 요인보다는, 내적 요인이 영향을 미쳤고 그 요인으로는 학습자로서의 경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호기심, 반성적 사고등이 나타났다. | |
과학교사의 총체적인 PCK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아직까지는 PCK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과 적용하는 방법이 정립되어 있지 않고(조희형과 고형자, 2008), 교사가 지닌 PCK는 암묵적으로 행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것을 알아보는 것은 쉽지 않으며, 또한 그것을 관찰하여 문서화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Loughran 등, 2004) 그러나 과학교수지향은 과목을 가르치는 목표에 대한 신념으로서 수업전략이나 학생평가 등의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므로(Grossman, 1990), 과학교사의 총체적인 PCK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국내 과학교육에서도 과학교수지향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다. |
곽영순(2003). 질적 연구로서 과학수업비평-수업 비평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박성혜(2006). 중등과학교사들의 교수법 및 자기효능감과 태도에 따른 교과교육학지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122-131.
임청환(2003).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과학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4(4), 258-272.
Anderson, C. W. (2003). Teaching Science for Motivation and Understanding. Unpublished: Michigan State University.
Bell, R. L., & Lederman, N. G.(2003).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decision making on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issue. Science Education, 87, 352-377.
Borko, H., & Putnam, R. T. (1996). Learning to teach. Handbook of educational psychology, 2, 673-708.
Edmondson, K. M., & Novak, J. D.(1993). The interplay of scientific epistemology views, learning strategies, and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 547-559.
Fernandez-Balboa, J. M., & Stiehl, J. (1995). The generic natur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mong college professor. Teaching & Teacher Education, 11(3), 293-306.
Friedrichsen, P. M., & Dana, T. M. (2005). Substantive-level theory of highly regarded secondary biology teachers'science teaching orient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Geddis, A. N., & Roverts, D. A.(1998). As science students become science teachers: A perspective on learning orientation.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9, 271-292.
Gess-Newsome, J.(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 introduction and orientation. In J. Gess-Newsome, & N,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3-17).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Grossman, P. 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Halim, L., & Meerah, S. M. (2002). Science traine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its influence on physics teaching.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20(2), 215-225.
Kagan, D. M. (1990). Ways of evaluating teacher cognition: inference concerning the Goldilocks principl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0, 419-469.
Loughran. J., Mulhall, P., & Berry, A. (2004). In search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Developing ways of articulating and documenting professional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4), 370-391.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science education (pp. 95-132).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Mellado, V.(1998). The classroom practices of preservice teachers and their concep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Science Education, 82, 197-214.
Merriam. S. B.(1998). Qualitative research and case study application in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Mulholland, K., & Wallac, J. (2005). Growing the tree of teacher knowledge: ten years of learning to teach elementary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7), 767-790.
Nilsson, P. (2008). Teaching for understanding: The complex nature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re-service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0), 1281-1299.
Park, S., Oliver, J.S. (2008). National Board Certification(NBC) as a catalyst for teachers' learning about teaching: The effect of the NBC process on candidate teachers' PCK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7), 812-834.
Park, S., Oliver, J.S., Johnson, T.S., Graham, P., & Oppong, N.K. (2007). Colleagues' roles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Result from a research study of National Board certific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 368-389.
Ryan, A. G., & Aikenhead, G. S.(1992). Student' preconceptions about the epistemology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76, 559-580.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 4-14.
Tsai, C.-C.(2000a). Relations between student scientific epistemological beliefs and perceptions of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s. Education Research, 42, 193-205.
Tsai. C,-C. (2007). Teachers'scientific epistemological views: The coherence with instruction and students'views. Science Education, 91(2), 222-243.
Tsai, C.-C., & Liu, S,-Y.(2005). Developing a multi-dimensional instrument for assessing students'epistemological views toward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 1621-1638.
Van Driel J. H, Beijaard D, Verloop, N. (2001).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2), 137-158.
Van Driel, J. H, Verloop, N., & de Vos, W. (1998).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6), 673-695.
Wallace, C. S., Tsoi, M. Y., Calkin, J., & Darley, M. (2003). Learning from inquirybased laboratories in nonmajor biology: An interpretive study of relationship among inquiry experience, epistemologies, and conceptual growt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986-10.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