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탐구 토론에서 예비과학교사들의 논증 분석
Analysis of Argumentation in the Inquiry Discourse amo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0 no.6, 2010년, pp.739 - 751  

이봉우 (단국대학교) ,  임명선 (단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과학탐구에 대한 비판적 토론을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약 3개월 동안 24명의 예비교사들은 7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개방적 탐구를 수행하였고, 이후 10회의 비판적 토론을 실시하였다. 모든 토론과정은 녹화하여 전사하여 분석되었다. 툴민의 논증분석틀과 인지적 논증분석틀을 이용하여 예비교사들의 탐구토론에 나타난 논증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단위별 논증요소 분석에서 주장, 정당한 이유, 자료, 반박, 지원의 순서로 많이 제시되었다. 둘째, 대화 단위별 논증 구조에서 CW, CD, CDW, CWR, CR의 순서로 많이 제시되었다. 셋째, 비판적 탐구토론에서는 다른 토론활동보다 반론의 비율이 많이 제시되었다. 넷째, 두 번째 논증활동이 첫 번째 논증활동보다 질적 수준이 향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earch reported in this study focused on an analysis of argumentation in the inquiry discourse amo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For about 3 months, 7 groups of 24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in an open-ended inquiry and performed 10 inquiry discourses. All discourses were coll...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화 단위’별로 툴민의 담화분석틀의 구성 요소인 주장(C), 자료(D), 정당한 이유(W), 지원(B), 반박(R)의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제시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 ● [CDR형] 결론이 3일은 너무 짧아서 다른 결론이 있을 것이다 회복기간이 더 길어야 한다고 결론을 지으셨는데,(D) 그 결론에 대한 추가실험을 왜 안 하셨는지요?(R) 그 회복기간이 7일정도가 가장 적당 했더라 아니면 7일 이상은 되어야 최소한 하겠더라 라는 것을 직접실험하지 않으시고(R) 기존에 잔디를 어떻게 보호되고 있는지에 대해서 자료를 제시하셨잖아요.(C)
  •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동 탐구활동과 비판적 탐구토론에서 나타나는 논증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많은 연구자들도 비판적 탐구활동을 통해서 학생과 학생, 그리고 교사와 학생 사이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데 초점을 맞추었듯이 본 연구에서도 토론에 참여한 예비교사들 간의 논증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 [CWB형] 그건 저희가 공기에 의해서도 소리가 흡수되는 거 아시죠?(W) 거기서 소리가 흡수될 때는 소리의 진동수에 따라서 되는 건가요? 소리의 진동수가 높을수록 흡수가 많이 되잖아요.(B) 그러면 높은 음 보다는 낮은음이 차라리 흡수가 더 되잖아요.(C)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른 교과와 과학을 구분하는 가장 특징적인 것은 무엇인가? 과학학습에서 탐구는 다른 교과와 과학을 구분하는 가장 특징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과학적 탐구란 관찰하고, 측정하고, 문제의 해결책을 찾고, 자료를 해석하고, 일반화하고, 이론적 모형을 세워 검증하고, 수정하는 등의 활동이며(Welch, 1981), 과학자들이 자연 세계를 연구하고 자신들의 활동을 통해 얻어진 증거를 토대로 설명을 제안하는 다양한 방법을 뜻하고, 자연 세계에 대한 과학자들의 연구 방법을 이해하고 과학적인 아이디어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학생들의 활동을 의미한다(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2000).
예비교사들이 과학탐구에 대한 비판적 토론을 분석 하기 위해 툴민의 논증분석틀과 인지적 논증분석틀을 이용하여 예비교사들의 탐구토론에 나타난 논증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는?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단위별 논증요소 분석에서 주장, 정당한 이유, 자료, 반박, 지원의 순서로 많이 제시되었다. 둘째, 대화 단위별 논증 구조에서 CW, CD, CDW, CWR, CR의 순서로 많이 제시되었다. 셋째, 비판적 탐구토론에서는 다른 토론활동보다 반론의 비율이 많이 제시되었다. 넷째, 두 번째 논증활동이 첫 번째 논증활동보다 질적 수준이 향상되었다.
포퍼가 주장 한 것은 무엇인가? 또한 과학학습에서 토론의 중요성도 널리 강조되어 왔다. 포퍼는 반증주의를 주장하면서 과학지식이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형성된다는 전통적 견해에 반대하여 과학적 가설이나 이론은 반드시 반증되며, 타당한 과학적 방법이란 반증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쿤의 이론(Kuhn, 1996)에서도 과학은 기존의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과학을 분화, 발달시키고, 그 패러다임이 한계에 다다르면 토론을 통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수용하는 단계를 거쳐 발달한다고 하면서 과학은 민주적 절차에 따른 토론과 합의 과정을 통해 수행된다고 주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교육인적자원부(200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2. 김희경 (2003). 중학생의 동료간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물리 탐구: 조건, 특징, 역할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 양일호, 이효정, 이효녕, 조현준 (2009). 과학적 논증과정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2), 203-220. 

  4. 이봉우, 이성묵 (2004a). 온라인 물리탐구토론에 나타난 학생들의 상호작용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638-645. 

  5. 이봉우, 이성묵 (2004b). 중학생들의 온라인 물리 탐구토론 내용 분석. 새물리, 48(3), 216-222. 

  6. 이효녕, 조현준, 손정주 (2009). 학교과학교육에서의 논증활동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666-479. 

  7. 조현준, 양일호, 이효녕, 송윤미 (2008). 초등과학 영재의 논증활동에서 사용된 증거의 수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495-505. 

  8. 최재혁, 서정희 (2007). 과학 영재의 국제경진대회 활동에서 창의성의 사회적 측면 분석 - 국제 청소년 물리 토너먼트 사례를 중심으로 -. 초등과학교육, 25(5), 582-590. 

  9. 한국물리교육연구센터 (1994). 과학 공동탐구 토론대회 보고서. 서울: 관악사. 

  10.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Project 2061. (1994).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1. Boulter, C. J., & Gilbert, J. K. (1995). Argument and science education. In P. J. M. Costello & S. Mitchell (Eds.), Competing and consensual voices: The theory and practice of argument(pp. 84-98).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12.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 287-312. 

  13. Duschl, R. A., Ellenbogen, K., & Erduran, S. (1999). Promoting argumenta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NARST), Boston, MA. 

  14. Duschl, R., & Osborne, J. (2002). Supporting and promoting argumentation discours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8, 39-72. 

  15. Erduran, S., Simon, S., & Osborne, J. (2004). TAPping into argumentation: Developments in the application of Toulmin's argument pattern for studying science discourse. Science Education, 88, 915-933. 

  16. Heigenberg, W. (1969). Der Teil und das Ganze. Gesprache im Umkreis der Atomphysik. Piper. 김용준 역(1982). 부분과 전체. 서울: 지식산업사. 

  17. Jimenez-Aleixandre, M. P., & Pereiro-Munoz, C. (2002). Knowledge producers or knowledge consumers? Argumentation and decision making about environmental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11), 1171-1190. 

  18. Kuhn, T. S. (1996). 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3rd ed.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 Leach, J. (1999).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ordination of theory and evidence in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 789-806. 

  20. Lee, B. W., Son, J. W., & Lee, S. M. (2005). Science-gifted students' scientific inquiry change in online argumentative discussion. J. Korea Assoc. Res. Sci. Edu., 25(6), 642-649. 

  21. Lemke, J. 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Norwood,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22. Martins, I., Mortimer, E., Osborne, J., Tsatsarelis, C., & Jimenez-Aleixandre, M. P. (2001). Rhetoric and science education. In H. Behrendt, H. Dahncke, R. Duit, W. Graber, & M. Komorek (Ed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past, present, and future (pp. 189-198).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23. Mason, L. (1996). An analysis of children's construction of new knowledge through their use of reasoning and arguing in classroom discussions. Qualitative Studies in Education, 9, 411-433. 

  24. Meyer, K., & Woodruff, E. (1997). Consensually driven explanation in science teaching. Science Education, 81(2), 173-192. 

  25.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6.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7. Osborne, J., Erduran, S., & Simon, S. (2004). Enhancing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 994-1020. 

  28. Richmond, G., & Striley, J. (1996). Making meaning in classroom: Social processes in small-group discourse and scientific knowledge build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8), 839-858. 

  29. Simon, S., Erduran, S., & Osborne, J. (2006). Learning to teach argumen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science classroo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 2006, 235-260. 

  30. Toulmin, S. E. (1958). The uses of argument.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van Aufschnaiter, C., Erduran, S., Osborne, J., & Simon, S. (2008). Auguing to learn and learning to augue: case studies of how sutdents'augumentation relates to their scientific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1), 101-131. 

  32. Walton, D. N. (1996). Argumentation schemes for presumptive reasoning,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3. Welch, W. W. (1981). Inquiry in school science. In N. Harms, & R. Yager, Project synthesis, What research says, Vol 3 NSTA. 

  34. Zohar, A., & Nemet, F. (2002). Fostering students' knowledge and argumentation skills through dilemmas in human gene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 35-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