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성 질환이란 무엇인가? - 정신과적 관점 -
What is Environmental Disease? - Psychiatric Perspectives - 원문보기

환경독성보건학회지 = Environmental health and toxicology, v.25 no.4, 2010년, pp.259 - 262  

김재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view, we give an overview of psychiatric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disease. The concept of genetic heritability and its meaning with regard to environmental risk factors will be discussed. Recent ideas of gene-environment interaction and neurodevelopmental disorder in psychiatry will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고에서는 정신과 의사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환경성 질환’의 개념에 대해서 서술하도록 하겠다.
  • 이상에서 정신과 영역에서 바라보는 환경성 질환의 개념과 주요 환경성 질환에서 최근 논의된 대표적인 환경적 위험요인들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정신과 의사의 관점에서 더 생각해 보았으면 하는 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 정신과 영역에서 환경성 질환에 대한 정의나 개념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기에, 본 논문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정신질환의 환경요인 중 초기 환경의 영향, 신경발달장애 등의 개념을 도입하여 환경성 질환에 대하여 정의해 보려고 하였다. 이에 따라 아래에서는 본 저자들의 개념 정의에 따른 정신과 영역의 환경성 질환이자 신경행동발달장애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와 자폐증을 중심으로 이들의 대표적인 환경적 위험요인들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 정신과 영역에서 환경성 질환에 대한 정의나 개념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기에, 본 논문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정신질환의 환경요인 중 초기 환경의 영향, 신경발달장애 등의 개념을 도입하여 환경성 질환에 대하여 정의해 보려고 하였다. 이에 따라 아래에서는 본 저자들의 개념 정의에 따른 정신과 영역의 환경성 질환이자 신경행동발달장애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와 자폐증을 중심으로 이들의 대표적인 환경적 위험요인들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독성물질과 연관된 신경발달 문제로는 무엇이 있는가? 정신질환의 환경요인 중에서는 중추신경계의 발달과 연관이 있는 초기 환경의 영향에 더욱 주목을 하고 있고, 이에 따라 정신질환 중에서는 자연스럽게 신경발달장애(neurodevelopmental disorder)의 환경요인들에 관심의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환경독성물질(environmental toxicant)과 연관된 신경발달 문제들로는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 지적 기능 및 인지 기능의 결함, 학업 저성취, 품행 문제 들이 있으며[4,5], 이들은 정신과 영역의 질환들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자폐증 및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y)로 대표되는 발달장애(developmental disorder), 학습장애(learning disorder), 품행장애(conduct disorder) 들과 연결이 된다.
유전율은 무엇인가? 정신질환의 발생에 있어서 유전적 요인의 기여 비율을 설명하는 데에는 유전율(genetic heritability)의 개념을 많이 인용한다. 유전율은 한 집단 내에서 나타나는 어떤 속성의 변산, 쉽게 말하면 다양성의 정도 중에서 유전적 요인으로 설명되는 변산의 비율을 뜻하며, 이렇게 유전율을 통하여 유전요인과 환경요인의 기여 비율을 대략 추산할 수 있다. 대표적인 소아정신질환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의 유전율은 0.
신경발달장애의 3가지 조건은 무엇인가? 여기서 잠시 신경발달장애의 개념을 살펴보면, 우선 다음의 3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6]. 첫 번째로 문제나 증상의 시작이 영유아기나 아동기이어야 한다. 두 번째로 기능의 장해(impairment)나 기능 발달의 지연(delay)이 중추신경계의 생물학적 성숙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야 한다. 세 번째로는 장애의 경과가 지속적인 것이 특징적이며, 많은 정신질환들에서 관찰되는 특성인 관해(remission)와 재발 (relapse)을 보이지 않아야 한다. 신경발달장애가 있는 아동의 경우 성장함에 따라 장해는 경감될 수 있지만, 주요 기능의 결함(deficit)은 지속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제시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ray GA. Leptin and leptinomania. Lancet 1996; 348(9021): 140-141. 

  2. McGuffin P, Riley B, Plomin R. Genomics and behavior. Toward behavioral genomics. Science 2001; 291(5507): 1232-1249. 

  3. Makris N, Biederman J, Monuteaux MC, Seidman LJ. Towards conceptualizing a neural systems-based anatomy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Dev Neurosci 2009; 31(1-2): 36-49. 

  4. Eskenazi B, Castorina R. Association of prenatal maternal or postnatal child environmental tobacco smoke exposure and neurodevelopment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Environ Health Perspect 1999; 107(12): 991-1000. 

  5. Mendola P, Selevan SG, Gutter S, Rice D.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a spectrum of neurodevelopmental deficits. Ment Retard Dev Disabil Res Rev 2002; 8(3): 188-197. 

  6. Bishop D, Rutter M.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conceptual issues. Rutter's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5th ed: Blackwell Publishing; 2008. p. 32-41. 

  7. Biederman J, Faraone SV.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Lancet 2005; 366(9481): 237-248. 

  8. Banerjee TD, Middleton F, Faraone SV. Environmental risk factors for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cta Paediatr 2007; 96(9): 1269-1274. 

  9. Singh I. Beyond polemics: science and ethics of ADHD. Nat Rev Neurosci 2008; 9(12): 957-964. 

  10. Kim BN, Cho SC, Kim Y, Shin MS, Yoo HJ, Kim JW, et al. Phthalates exposure a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in school-age children. Biol Psychiatry 2009; 66(10): 958-963. 

  11. Braun JM, Yolton K, Dietrich KN, Hornung R, Ye X, Calafat AM, et al. Prenatal bisphenol A exposure and early childhood behavior. Environ Health Perspect 2009; 117(12): 1945-1952. 

  12. Ha M, Kwon HJ, Lim MH, Jee YK, Hong YC, Leem JH, et al. Low blood levels of lead and mercury and symptoms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in children: a report of the children's health and environment research (CHEER). Neurotoxicology 2009; 30(1): 31-36. 

  13. Kim Y, Cho SC, Kim BN, Hong YC, Shin MS, Yoo HJ, et al. Association between blood lead levels ( ${\mu}g$ /dL) and inattention-hyperactivity and neurocognitive profiles in school-aged Korean children. Sci Total Environ 2010; 408(23): 5737-5743. 

  14. Williams JH, Ross L. Consequences of prenatal toxin exposure for mental health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Eur Child Adolesc Psychiatry 2007; 16(4): 243-253. 

  15. Pardo CA, Eberhart CG. The neurobiology of autism. Brain Pathol 2007; 17(4): 434-447. 

  16. Rutter M. Incidence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changes over time and their meaning. Acta Paediatr 2005; 94(1): 2-15. 

  17. Bertoglio K, Hendren RL. New developments in autism. Psychiatr Clin North Am 2009; 32(1): 1-14. 

  18. Wakefield AJ, Anthony A, Murch SH, Thomson M, Montgomery SM, Davies S, et al. Enterocoliti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Am J Gastroenterol 2000; 95(9): 2285-2295. 

  19. Palmer RF, Blanchard S, Stein Z, Mandell D, Miller C. Environmental mercury release, special education rates, and autism disorder: an ecological study of Texas. Health Place 2006; 12(2): 203-209. 

  20. Chauhan A, Chauhan V. Oxidative stress in autism. Pathophysiology 2006; 13(3): 171-181. 

  21. Kolevzon A, Gross R, Reichenberg A. Prenatal and perinatal risk factors for autism: a review and integration of findings. Arch Pediatr Adolesc Med 2007; 161(4): 326-333. 

  22. Dengate S, Ruben A. Controlled trial of cumulative behavioural effects of a common bread preservative. J Paediatr Child Health 2002; 38(4): 373-376. 

  23. Pollock I, Warner JO. Effect of artificial food colours on childhood behaviour. Arch Dis Child 1990; 65(1): 74-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