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4시간 소변 분석, 식사기록법 및 음식섭취빈도조사에 의한 여자 성인의 나트륨 섭취량 조사
Estimation of Sodium Intake of Adult Female by 24-Hour Urine Analysis, Dietary Record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55)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3 no.1, 2010년, pp.79 - 85  

신은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혜진 (질병관리본부 만성병조사과) ,  이중정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안문영 (대구광역시 보건과) ,  손숙미 (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연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ssesses the sodium intake of adults by 24-hour urine analysis, dietary records review and a food intake questionnaire. Subjects were 236 adult female in Daegu.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Sodium intake as indicated by the 24-hour urine analysis was $5,805.4\;{\pm}\;3836.8...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의 나트륨 섭취량 및 섭취 급원 식품 등의 자료를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조사·비교하여 나트륨 저감화 영양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4시간 동안 수집한 소변 중 총 나트륨 섭취량의 몇 % 가 배설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가? 5-7) 또는 밤사이 12시간 소변이나 수시뇨를 사용하여 creatinine 1 g당의 배설량으로 환산하여 비교하기도 한다.10) 24시간 동안 수집한 소변 중에는 총 나트륨 섭취량의 85~95%가 배설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1) 또한 소변을 수집하는 방법보다 간단한 조사 방법으로 음식섭취빈도조사지를 활용하여 섭취량을 분석하는 방법도 여러 종류가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나트륨의 섭취량을 계산하기 어려운 이유는? 나트륨 (sodium, Na)은 다른 영양소와는 달리 식품 내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양 이외 가공, 조리 및 식사 시에 첨가하는 양이 많으므로 일반적으로 행하는 식이섭취조사를 통하여 섭취량을 계산하기가 어려워 연구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1-4)
006년 대구시 여자 성인 236명을 대상으로 일일 나트륨 섭취량과 섭취급원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1) 일일 나트륨 섭취량은 24시간 소변분석 결과 5805.4± 3836.8 mg으로 식사기록법 (4415.4 ± 1935.1 mg)과 음식섭취빈도조사 (4293.5 ± 2988.9 mg) 결과보다 유의 하게 높았다 (p < 0.01). 2) 24시간 소변분석에 의한 나트륨 섭취량은 65~74세의경우 20대와 75세 이상 연령대의 섭취량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 0.01). 측정방법간 비교에서는 30~49세, 50~64세의 경우 소변분석을 통한 나트륨 섭취량이 식사기록법과 음식섭취빈도조사법에 의한 결과보다 높았고 (p < 0.001, p < 0.01), 65~74세의 경우 24시간 소변 분석에 의한 섭취량이 식사기록법에 의한 섭취량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p <0.05). 3) 식사기록법에 의한 나트륨 섭취량 조사결과 식품군 중에서 조미료 및 향신료로부터 가장 많은 나트륨 (2399.0 ±1526.5 mg)을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섭취 빈도조사를 통한 조사에서는 김치류로부터 섭취하는 나트륨이 34.2%로 가장 많았으며 (p < 0.001), 김치, 국, 찌개, 생선조림에서 섭취하는 양을 합하면 57.8%에 해당하였다. 4) 연령과 24시간 소변분석 및 음식섭취빈도조사에 의한나트륨 섭취량 간에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식사기록법에 의한 나트륨섭취량은 음식섭취빈도조사지에 의한 나트륨 섭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p < 0.01, p < 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Pietinen P. Estimating sodium intake from food consumption data. Ann Nutr Metab 1982; 26(2): 90-99 

  2. Fregly MJ. Estimates of sodium and potassium intake. Ann Intern Med 1983; 98(5 part 2): 792-799 

  3. Gillum RF, Prineas RJ, Elmer PJ. Assessing sodium and potassium intake in essential hypertension. Am Heart J 1984; 107(3): 549-555 

  4. Caggiula AW, Wing RR, Nowalk MP, Milas NC, Lees S, Lanford H. The measurement of sodium and potassium intake. Am J Clin Nutr 1985; 42(3): 391-398 

  5. Kim KS, Paik HY. A comparative study on optimum gustation of salt and sodium intake in young and middle-aged Korean women. Korean J Nutr 1992; 25(1): 32-41 

  6. Son SM, Park YS, Lim HJ, Kim SB, Jeong YS. Sodium intakes of Korean adults with 24-hour urine analysi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and comparison of sodium intakes according to the regional area and dish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5): 545-558 

  7. Son SM, Huh GY, Lee H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alidity of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and short DFQ using Na index for estimation of habitual sodium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5): 677-692 

  8. Park JA, Yoon JS. Dietary behavior and status of nutrient intakes by the obesity levels of housewives in Daegu.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5): 623-632 

  9. Sung CJ, Bae YJ. The study on nutritional status, bone mineral density and plasma mineral concentrations of smoking male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1): 91-100 

  10. Watson RL. Langford HG. Usefulness of overnight urines in population groups. Am J Clin Nutr 1970; 23(3): 290-304 

  11. Pietinen P. Estimating sodium intake from food consumption data. Ann Nutr Metab 1982; 26(2): 90-99 

  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 

  14. Dahl LK. Salt intake and hypertension. In: Genest J, Koiw E, Kuchel O, editor. Hypertension: Physiopathology and Treatment. New York: McGraw-Hill Book Co.; 1997. p.548-559 

  15. Intersalt Cooperative Research Group. Intersalt: an international study of electrolyte excretion and blood pressure. Result for 24 hour urinary sodium and potassium excretion. BMJ 1988; 297 (6644): 319-328 

  16. Itoh R, Suyama Y, Oguma Y, Yokota F. Dietary Sodium, independent determinant for urinary deoxypyridinoline in elderly women. A cross-sectional study on the effect of dietary factors on deoxypyridinoline excretion in 24-h urine specimens for 763 free-living healthy Japanese. Eur J Clin Nutr 1999; 53(11): 886-890 

  17. Chobanian AV, Hill M.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workshop on Sodium and blood pressure. A critical review of current scientific evidence. Hypertension 2000; 35(4): 858-863 

  18. Wardener de HE, MacGregor GA: Harmful effects of dietary salt in addition to hypertension. J Human Hypertens 2002; 16(4): 213-223 

  19. Chisato N, Naoyoshi T, Natsuki S, Hiroyuki S. Sodium intake and risk of death from stroke in Japanese men and women. Stroke 2004; 35(7): 1543-1547 

  20. Tsugane S. Salt, salted food intake, and risk of gastric cancer: epidemiologic evidence. Cancer Sci 2005; 96(1): 1-6 

  21. Michiko K, Shogo K, Jun X, Yutaka I. Highly salted food and mountain herbs elevate the risk for stomach cancer death in a rural area of Japan. J Gastro & Hepa 2006; 21(11): 1684-1686 

  22. Mitsumasa U, Hiroyasu I, Chigusa D, Akio Y, Hideaki T, Yoshiyuki W, Shogo K, Akio K, Takaaki K, Yutaka I, Naohito T, Akiko T. Relations between dietary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mortality from cardiovascular disease: the japan collaborative cohort study for evaluation of cancer risks. Am J Clin Nutr 2008; 88(1): 195-202 

  23. Kim YS, Paik HY. Measurement of the intake in Korean adult females. Korean J Nutr 1987; 20(5): 341-349 

  24.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007 

  25. Elaine T. Micheli, Alberto A. Rosa. Estimation of sodium intake by urinary excretion and dietary record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Porto Alegre, Brazil: a comparison of two methods. Nutr Res 2003; 23(11): 1477-1487 

  26. Kim KS, Shin DC, Lee SJ. A study on salt intake and urinary sodium excretion by groups educated regarding low salt diet. Korean J Nutr 1980; 13(4): 187-194 

  27. Park SJ, Paik HY, Lee SY. The influence of mixed NaCl-KCl salt on sodium intake and urinary excretion of sodium and potassium. Korean J Nutr 2007; 40(6): 500-508 

  28. Cho YY. Practice guidelines for reducing salt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3): 394-400 

  29. Park EY, Park YJ, Kim KY. A study of sodium consumption and related psychosocial factors among hypertensive and normal adults. Korean J Nutr 2000; 33(8): 833-839 

  30. Son SM, Heh KY. Salt intake and nutritional problems in Korean.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3): 381-390 

  31. Brown IJ, Tzoulaki I, Candeias V, Elliott P. Salt intakes around the world: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Int J Epodedmiol 2009; 38(3): 791-8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