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뇌졸중 환자의 기립 자세조절에 이중 과제가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ual-Task on Standing Postural Control in Persons With Chronic Stroke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7 no.3, 2010년, pp.20 - 30  

전혜원 (삼육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정이정 (삼육대학교 보건복지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whether any changes by mental task types on postural control in chronic stroke persons. Sixteen chronic stroke persons (mean age=53.75 yr) and sixteen age-and gender-matched healthy controls (mean age=54.44 yr) took part in this study. Participants randomly performed three diff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중과제 조건이 뇌졸중 환자의 기립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과제 유형에 따른 기립 자세조절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안정한 바닥면과 불안정한 바닥면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과제가 포함된 이중과제를 수행토록 하였다. 연구 결과, 뇌졸중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이중과제를 수행할 때 압력중심 동요거리와 동요속도가 증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와 정상인을 대상으로 기립 자세를 유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이중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여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과제 유형에 따른 기립 자세조절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힘측정판으로 동요거리와 동요속도를 측정하였다.
  • Stelmach 등(1990)은 인지과제 간에도 집중 요구에 차이가 있으며 간단한 이중과제가 수학적 과제에 비해 집중요구가 적어 자세조절 시 집중의 간섭효과(interference effect)가 적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물잔이 올려진 쟁반을 드는 단순과제가 대상자의 움직임에 따른 결과를 물잔에 든 물의 움직임으로 확인하는 외적 집중을 촉진하고(Maxwell과 Masters, 2002; Morioka 등, 2005), 집중의 간섭효과를 줄임으로써 내적 정보에 집중하는 암산과제보다 더 효과적으로 자세조절 능력을 개선시킨 것으로 생각된다.
  • Morioka 등(2005)은 정상인을 대상으로 기립 자세를 유지하면서 물잔이 놓인 쟁반을 드는 인지과제를 동시에 수행토록 한 결과, 자세유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암산과제나 발성과제에서는 자세동요가 증가한 반면 쟁반을 드는 과제에서는 자세동요가 감소하였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물잔이 놓인 쟁반을 드는 과제가 실험 대상자로 하여금 의식적으로 쟁반을 수평면에 유지하도록 집중토록 하였으며 이것이 자세동요를 감소시켰다고 하였다. Vereijken 등(1992)은 외적 집중(external focus)의 경우 자세조절의 자동적인 처리과정을 촉진하는 반면 내적 집중은 자세를 의식적인 처리과정 하에서 조절함으로써 자동적인 자세조절 반응을 방해한다고 하였다.
  • 또한 Maki와 McIlroy(1996)의 연구에서는 이중과제에서 서로 다른 인지과제가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소리내지 않고 숫자 7씩 빼기 과제가 집중 뿐 아니라 각성(arousal)까지 자극하여 자세조절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중과제 수행 시 각성을 혼동요인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Simoneau 등(2008)도 안정한 바닥면에서는 각성의 영향은 젊은 성인에서는 크지 않았지만 노인의 경우에서는 자세조절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이중과제 수행이 뇌졸중 환자의 기립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안정한 바닥면과 불안정한 바닥면에서 비인지과제와 인지과제를 적용한 이중과제인 암산과제와 단순과제에 따른 자세조절의 변화를 확인하고 정상인과 비교하며, 이중과제에서 뇌졸중 환자의 기립 자세조절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과제 유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은 이중과제 수행이 환자군과 정상군의 압력중심 동요거리와 동요속도를 향상시킬 것이며, 이중과제에서 과제 유형에 따라 환자군과 정상군의 압력중심 동요거리와 동요속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이에 본 연구는 이중과제 수행이 뇌졸중 환자의 기립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안정한 바닥면과 불안정한 바닥면에서 비인지과제와 인지과제를 적용한 이중과제인 암산과제와 단순과제에 따른 자세조절의 변화를 확인하고 정상인과 비교하며, 이중과제에서 뇌졸중 환자의 기립 자세조절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과제 유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은 이중과제 수행이 환자군과 정상군의 압력중심 동요거리와 동요속도를 향상시킬 것이며, 이중과제에서 과제 유형에 따라 환자군과 정상군의 압력중심 동요거리와 동요속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중과제란 무엇인가? 이중과제는 기립 자세 및 보행과 같은 자세과제 동안 단어 찾기나 숫자 계산하기 등의 인지과제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집중과 자세조절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다(Andersson 등, 1998; Kerr 등, 1985; Redfern 등, 2001; Yardley 등, 1999).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중과제 연구에서는 정상인과 비교했을 때 뇌졸중 환자는 집중 총량(attention capacity)이 감소하였으며, 자세 난이도(앉기, 서기, 걷기)가 높을수록 인지과제 수행에 장애가 발생한다고 하였다(Hyndman 등, 2006; Marshall 등, 1997).
자세는 어떻게 유지되는가? 일상생활에서는 몇 가지 과제를 동시에 수행하면서 자세를 유지해야 한다(Morioka 등, 2005). 자세는 시각, 전정기관, 체성 감각계통을 통해 수집된 감각 정보가 중추신경계를 통해 통합되어지고 인체 각 부위 근육들의 지속적인 수축과 협응 조절에 의해 유지된다(Morioka 등, 2000). 공간상에서 자세와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인간의 모든 활동에 있어 가장 기초적인 요소로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자세조절이 필수적이다(Melzer 등, 2001; Wade와 Jones, 1997).
이중과제 조건이 뇌졸중 환자의 기립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과 기립 자세 조절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안정한 바닥면과 불안정한 바닥면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과제가 포함된 이중과제를 수행한 연구 결과로 알 수 있는 사실은? 본 연구는 이중과제 조건이 뇌졸중 환자의 기립 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과제 유형에 따른 기립 자세조절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안정한 바닥면과 불안정한 바닥면에서 서로 다른 종류의 과제가 포함된 이중과제를 수행토록 하였다. 연구 결과, 뇌졸중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이중과제를 수행할 때 압력중심 동요거리와 동요속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뇌졸중 환자는 비인지과제에 비해 암산과제와 단순과제 수행 시 자세동요가 감소하였고 특히, 단순과제가 뇌졸중 환자의 자세조절 개선에 더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중과제 조건이 뇌졸중 환자의 자세조절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고 이중과제 조건에서 과제 유형이 자세동요를 감소시키는 중요한 인자임을 밝혔다. 앞으로는 이중과제 유형 및 난이도를 더 세분화하여 이중과제 수행에서 나타나는 자세조절 전략을 분석하고 뇌졸중 환자의 균형 프로그램으로써 이중과제 조건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ndersson G, Yardley L, Luxon L. A. dual-task stud of interference between mental activity and control of balance. Am J Otol. 1998;19(5);632-637. 

  2. Balasubramaniam R. Wing AM. The dynamics of standing balance. Trends Cogn Sci. 2002;6(12):531-536. 

  3. Baratto L, Morasso PG, Re C, et al. A new look at posturographic analysis in the clinical context:Sway-density versus other parameterization techniques. Motor Control. 2002;6(3):246-270. 

  4. Bensoussan L Viton JM, Schieppati M. et al. Changes in postural control hemiplegic patients after stroke performing a dual task. Arch Phys Med Rehabil. 2007:88(8):1009-1015. 

  5. Dault MC, Yardley L, Frank JS. Does articulation contribute to modifications of postural control during dual-task paradigms? Brain Res Cogn Brain Res. 2003;16(3);434-440. 

  6. Fraizer EV. Mitra S. Methodological and interpretive issues in posture-cognition dual-tasking in upright stance. Gait Posture. 2008;27(2);271-279. 

  7. Hamman RG, Mekjavic I, Mallinson AI, et al. Training effects during repeated therapy sessions of balance training using visual feedback. Arch Phys Med Rehabil. 1992;73(8):738-744. 

  8. Harley C, Boyd JE, Cockburn J, et al. Disruption of sitting balance after stroke: Influence of spoken output.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6;77(5):674-676. 

  9. Huxham FE, Goldie PA, Patla AE. Theoretical considerations in balance assessment. Aust J Physiother. 2001;47(2):89-100. 

  10. Huxhold O, Li SC, Schmiedek F, et al. Dual-tasking postural control: Aging and the effects of cognitive demand in conjunction with focus of attention. Brain Res Bull. 2006;69(3):294-305. 

  11. Hyndman D, Ashburn A, Yardley L. et al. Interference between balance, gait and cognitive task performance among people with stroke living in the community. Disabil Rehabil. 2006;28(13-14):849-856. 

  12. Hyndman D, Ashburn A. People with stroke living in the community: Attention deficits, balance, ADL ability and falls. Disabil Rehabil. 2003;25(15):817-822. 

  13. Hyndman D, Pickering RM. Ashburn A. Reduced sway during dual task balance performance among people with stroke at 6 and 12 months after discharge from hospital.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9;23(8):847-854. 

  14. Johansson R, Magnusson M. Human postural dynamics. Crit Rev Biomed Eng. 1991;18(6):413-437. 

  15. Kerr B, Condon SM, McDonald LA. Cognitive spatial processing and the regulation of posture. J Exp Psychol Hum Percept Perform. 1985;11(5):617-622. 

  16. Lacour M, Bernard-Demanze L, Dumitrescu M. Posture control, aging, and attention resources: Models and posture-analysis methods. Clin Neurophysiol. 2008;38(6):411-421. 

  17. Maki BE, Mcllroy WE. Influence of arousal and attention on the control of postural sway. J Vestib Res. 1996;6(1):53-59. 

  18. Marshall SC, Grinnell D, Heisel B, et al. Attentional deficits in stroke patients: A visual dual task experiment. Arch Phys Med Rehabil. 1997;78(1):7-12. 

  19. Maurer C, Peterka RJ. A new interpretation of spontaneous sway measures based on a simple model of human postural control. J Neurophysiol. 2005;93(1):189-200. 

  20. Maxwell JP, Masters R. External versus internal focus instructions: Is the learner paying attention? Int J Appl Sport Sci. 2002;14(2):70-88. 

  21. McCulloch K. Attention and dual-task conditions Physical therapy implications for individuals with acquired brain injury. J. Neurol Phys Ther. 2007;31(3):104-118. 

  22. Melzer I. Benjuya N. Kaplanski J. Age-related changes of postural control: Effect of cognitive tasks. Gerontology. 2001;47(4): 189-194. 

  23. Miltner WH. Bauder H, Sommer M, et al. Effects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on patients with chronic motor deficits after stroke: A replication. Stroke. 1999;30(3):586-592. 

  24. Morioka S. Hliymnizu M. Yagi F. The effects of an attentional demand tasks on standing posture control. J. Physiol Anthropol Appl Human Sci. 2005:24(3):215- 219. 

  25. Morioka S. Okita M, Takata Y, et al. Effects of changes of foot position on romberg's quotient of postural sway and leg muscles electromyo- graphic activities in standing. J Jpn Phys Ther Accoc. 2000;3(1):17-20. 

  26. Nurse MA, Hulliger M, Wakeling JM, et al. Changing the texture of footwear can alter gait patterns. J Electromyogr Kinesiol. 2005:15(5):496-506. 

  27. Patel M, Fransson PA, Lush D, et al. The effect of foam surface properties on postural stability assessment while standing. Gait Posture. 2008;28(4):649-656. 

  28. Plummer-D'Amato P, Altmann LJ, Saracino D, et al. Interactions between cognitive tasks and gait after stroke: A dual task study. Gait Posture. 2008;27(4):683-688. 

  29. pozzo T, Berthoz A, Popov C. Effect of weightlessness on posture and movement control during a whole body reaching task, Acta Astronaut. 1995;36(8-12);727-732. 

  30. Raymakers JA, Samson MM, Verhaar HJ. The assessment of body sway and the choice of the stability parameter(s). Gait Posture. 2005;21(1):48-58. 

  31. Redfern MS, Jennings JR, Martin C, et al. Attention influences sensory integration for postural control in older adults. Gait Posture. 2001;14(3):211-216. 

  32. Redfern MS. Talkowski ME, Jennings JR, et al. Cognitive influences in postural control of patients with unilateral vestibular loss. Gait Posture. 2004;19(2):105-114. 

  33. Roskell C, Cross V. Attention limitation and learning in physiotherapy. Physiotherapy. 1998:84(3):118-125. 

  34. Shumway-Cook A. Woollacott M, Attentional demands and postural control: The effect of sensory context. J. Gerontol A Sci Med Sci. 2000;55(1):M10-16. 

  35. Shumway-Cook A. Woollacott M, Kerns KA, et al. The effects of two types of cognitive tasks on postural stability in older adults with and without a history of fall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1997;52(4):M232-240. 

  36. Simoneau EM. Billot M, Martin A. et al. Difficult memory task during postural tasks of various difficulties in young and older people: A pilot study. Clin Neurophysiol. 2008;119(5):1158-1165. 

  37. Stelmach GE, Zelaznik HN, Lowe D. The influence of illaging and attentional demands on rocovery from postural instability. Aging (Milano). 1990;2(2):155-161. 

  38. Swan L, Otani H. Loubert PV, et al. Improving balance by performing a secondary cognitive task. Br J Psychol. 2004;95(Pt 1):31-40. 

  39. Vereijken B. Whiting HT, Beek WJ. A dynamical systems approach to skill acquisition. Q J Exp Psychol A. 1992;45(2):323-344. 

  40. Verhoeff LL. Horlings CG, Janssen LJ, et al. Effects of biofeedback on trunk sway during dual tasking in the healthy young and elderly. Gait Posture. 2009;30(1):76-81. 

  41. Wade MG. Jones G. l he role of vision and spatial orientation in the maintenance of posture. Phys Ther. 1997;77(6):619-628. 

  42. WoolIacott M, Shumway-Cook A. Attention and the control of posture and gait: A review of an emerging area of research. Gait Posture. 2002;16(1):1-14. 

  43. WoolIacott M, Shumway-Cook A. Changes in posture control across the life span-a systems approach. Phys Ther. 1990;70(12):799-807. 

  44. Wulf G, HoB M, Prinz W. Instructions for motor learning: Differential effects of internal versus external focus of attention. J. Mot Behav. 1998;30(2):169-179. 

  45. Yang YR, Chen YC. Lee CS, el al. Dua1-task-related gait changes in individuals with stroke. Posture. 2007;25(2):185-190. 

  46. Yardley L, Gardner M, Leadbetter A. el al. Effect of articulatory and mental tasks on postural control. Neuroreport. 1999;10(2):215-2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