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간 근육 안정화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Trunk Muscle Stabilization Training on Balance for Chronic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3 no.3, 2012년, pp.1212 - 1219  

이지연 (안동과학대학 물리치료과) ,  박정서 (영동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대희 (영동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한슬기 (대전요양병원) ,  노효련 (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체간 안정화운동과 체간 저항운동이 균형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만성 뇌졸중 환자 30명(남: 15, 여: 15)를 무작위로 배분하여 주3회 12주 동안 실시하였다. 균형증진 운동은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수정 보완한 것으로 6가지의 운동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들의 균형능력의 측정은 기능적 기립 균형 검사, 기능적 전방 팔 뻗기 검사, 실행능력 지향형 운동성 평가, 버그균형척도를 이용하였다. 기능적 기립 균형검사와 실행능력 지향형 운동성 평가에서는 체간 저항 운동군과 체간 안정화운동군 두 군에서 향상되었다. 기능적 전방 팔 뻗기 검사에서는 체간 안정화 운동군에서 조금 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체간 저항 운동도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 향상을 시키지만 체간 안정화운동이 균형 능력 향상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alancing and clinical abilities trunk muscle stabilization exercise and trunk muscle resistive exercise of stroke patients having surface changes in balance of bo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stroke patients(15 males and 15 females) that three times a wee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척도를 이용하여 체간 안정화운동을 실시하여 정적·동적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체간 안정화운동과 안정한 저항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균형능력과 운동성을 평가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체간 안정화운동이 균형능력과 일상생활동작의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이를 통해 만성 뇌졸중 환자를 위한 효과적인 균형훈련의 방법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이에 본 연구는 체간 안정화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간 안정화 운동이란? 체간 안정화 운동은 다양한 체간의 근육들과 골반 쪽의 트레이닝으로 복부의 복근과 척추의 소근육인 다열근이 조화롭게 동시에 활성화되도록 하는 운동이며, 기능적 자세와 움직임 동안 척추와 골반의 안정성을 증가시켜 체간의 안정성 및 자세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7]. Feigin 등[8]은 체간 안정화는 장기적인 기능 개선과 관련이 있고, 보행 능력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라고 하였다.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게 나타나는 것은? 따라서 생존자들의 장애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문분야의 치료적 접근과 가정 및 사회에서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많은 의학적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1].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들의 신경학적 결함으로 인애 감각과 운동, 인지 능력 및 감정 장애 등의 문제가 결합되어 나타나고, 균형 결손과 근위축 등이 나타난다[2]. 또한, 몸의 안정성 유지 및 자세가 변화하는 동안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체간근력의 저하로 인해 자세 동요가 증가하고 체중 부하(weight bearing)시 필요한 지구력도 감소하여 정적 자세 유지가 어렵다[3].
편마비 환자들의 균형 향상과 신체활동 능력의 유지 및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운동 프로그램과 체간 근력의 강화하기 위한 치료가 적극적으로 필요한 이유는? 또한, 몸의 안정성 유지 및 자세가 변화하는 동안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체간근력의 저하로 인해 자세 동요가 증가하고 체중 부하(weight bearing)시 필요한 지구력도 감소하여 정적 자세 유지가 어렵다[3]. 체간 근육은 상하지의 근육과는 달리 양측 대뇌반구에서 동시에 신경 지배를 받으므로, 편마비 장애인의 환측과 건측의 체간 근육은 약화되어 일상생활 활동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5]. 따라서 편마비 환자들의 균형 향상과 신체활동 능력의 유지 및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운동 프로그램과 체간 근력의 강화하기 위한 치료가 적극적으로 필요하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Pomeroy V. M., Tallis R. C, "Need to focus research in stroke rehabilitation", Lancet, 355(92012), pp. 8312-8317, 2000. 

  2. Eng J. J., Chu K. S.,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weight-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83, 8, pp. 1138-1144. 2002. 

  3. Ikai T., Kamikubo T., Takehara I., "Dynamic postural control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Am J Phys Med Rehabil, 82, 12, pp. 4123-4129, 2002. 

  4. Carr J. H, Shepherd R. B., Nordholm L., Lynne D., "Investigation of a new motor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hysical Ther, 125, pp. 175-180, 1985. 

  5. Tyson S. F, Hanley M., Chillala J., Selley A, & Tallis R. C., "Balance disability after stroke", Phys Ther, 86, 1, pp. 30-38, 2006. 

  6. Heish C. L, Sheu C. F., Hsueh I. P., Wang C. H., "Trunk control as an early predictor of comprehensi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function in stroke patients, Stroke, 33, 11, pp. 2212-2230, 2002. 

  7. McGill S. M., "Low back stability: from formal description to issues for performance and rehabilitation", Exerc Sport Sci Rev, 29, 1, pp. 26-31, 2001. 

  8. Feigin L, Sharon B., Czaczkes B., Rosin A. J., "Sitting equilibrium 2 weeks after a stroke can predict the walking ability after 12 months". Gerontology, 42, 12, pp. 348-353, 1996. 

  9. J. H. Kim, "The effects of strengthening trunk muscle using water exercise on sitting postures and muscle tone in lower extremitie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ankook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 Degree, 2012. 

  10. M. S. Kim, "The effect of upper extremity movement of a core stability strength exercise in patient with hemiplegia", Yong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 Degree, 2005. 

  11. Standaert C. J, Weinstein S. M., Rumpeltes J., "Evidence-informed manage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with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Spine, 8, 1, pp. 114-120, 2008. 

  12. Gambetta V., "Hard core training. Training and Conditioning, [serial online]May/June, 9, 4, 1999. 

  13. Weiss A., Suzuki T., Bean J., Fielding R. A., "High intensity strength training improves strength and functional performance after stroke", Am J Phys Med Rehabil, 79, 4, pp. 369-376, 2000. 

  14. Brunnstrom, S., "Movement therapy in hemiplegia: A neurophysiological approach", NewYork, Harper & Row, pp. 75-79, 1970. 

  15. Urquhart D. M, Hodges P. W., Allen T. J., Story I. H.., "Abdominal muscle recruitment during a range of voluntary exercises", Man Ther, 10, 2, pp. 144-153, 2005. 

  16. Stevens V. K, Coorevits P. L., Bouche K. G., Mahieu N. N., Vanderstraeten G. G., Danneels L. A., "The influence of specific training on trunk muscle recruitment patterns in healthy subjects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s", Man Ther, 12, 3, pp. 271-279, 2007. 

  17. O'Sullivan P. B, "Lumbar segmental 'instability': clinical presentation and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 management", Man Ther, 5, 1, pp. 2-12, 2000. 

  18. Ryerson S, Byl N. N., Brown D. A., Wong R. A., Hidler J. M., "Altered trunk position sense and its relation to balance functions in people post-stroke", Journal Neurol Phys Ther, 32, 1, pp. 14-20, 2008. 

  19. Verheyden G, Nuyens G., Nieuwboer A., Van Asch P., Ketelaer P., De Weerdt W.,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runk assessment for people with multiple sclerosis", Phys Ther, 86, 1, pp. 66-76, 2006. 

  20. Verheyden G.,Nieuwboer A, Van de Winckel A., De Weerdt W., "Clinical tools to measure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 Rehabil, 21, 5, pp. 387-394, 2007. 

  21. K. S. Kim, "The effects of balance exercise and core program complex exercise on dynamic balance of the patient with post-stroke hemiplegia", Korea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 Degree, 2006. 

  22. Duarte E, Marco E., Muniesa J. M., Belmonte R., Diaz P., Tejero M., Escalada F., "Trunk control test as a functional predictor in stroke patients", J Rehabil Med, 34, 6, pp. 267-272, 2002. 

  23. Karatas M., Cetin N., Bayramoglu M., Dilek A.,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Am J Phys Med Rehabil, 83, 2, pp. 81-87, 2004. 

  24. S. H. Aann., Y. J. Chung., S. Y. Park., "The effects of trunk control ability on balance, gait, and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y in pateints with stroke", Journal Kore Acade Univer Trained Physi Thera, 17, 2, pp. 33-42, 2010. 

  25. W. S. Shin, C. Y. Kim., D. Y. Kim., S. M. Lee., "The effects of trunk stability exercise on dynamic balance in the persons with chronic strok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0, 9, pp. 2509-2515, 2009. 

  26. Y. H. Kim, "The effects of trunk stability exercise on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with stroke",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 Degree, 2010. 

  27. J. S. Im, "The influence of foot pressure and balance core-stabilization exercise in stroke",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 Degree, 2009. 

  28. Dickstein R, Heffes Y., Laufer Y., Ben-Haim Z., "Activation of selected trunk muscles during symmetric functional activities in poststroke hemiparetic and hemiplegic patient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66, 2, pp. 218-221, 1999. 

  29. Kane K, Bell A, "A core stability group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3 clinical case reports", Pediatric Phys Ther, 21, 4, pp. 375-382, 2009. 

  30. C. Y. Kim, "The effects of trunk stability exercise on trunk strengthening, dynamic balance and walking in the persons with chronic stroke", Sahmyook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 Degree,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