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M기반 건설현장 관리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Construction Field Management Model based on BIM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0 no.1 = no.39, 2010년, pp.127 - 135  

전영웅 (동국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명식 (동국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복합, 대형화되는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건설정보들의 양은 방대해지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건설현장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IM의 이론적 고찰과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해서 BIM의 적용 현황 및 가능성을 파악하고 건설현장의 수행단계별, 협업주체별 중심의 분석을 통해서 효율적인 건설현장 관리모델의 구축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BIM을 적용하여 목적 건축물의 3D Modeling을 통한 2D 도면의 시각화, 도면 오류의 사전 발췌로 시간적, 금전적 손실을 최소화, 3D 모델의 물량정보로 예산 작성의 정확성을 향상, 정확한 도면의 건축정보와 물량정보로 공사 진행 방향 설정에 확실성을 부여 및 부위별 객체 정보를 포함한 BIM기반의 건설정보를 바탕으로 공정관리를 통한 원가관리, 품질관리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 과정을 통해 BIM정보를 통합하고 연계함으로써 현장과 각 협업주체들 간의 건설현장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추후에는 실제 건설현장 관리모델을 구축하고 실제 건설현장에 적용하여 검증을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amount of construction information used in the growing construction field increases, the importance of efficient construction field management has been growing.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identifythe application situation and possibility of BIM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s and dom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적 고찰을 통한 BIM의 정의를 제시하고 건설현장에서의 BIM의 효율성과 활용현황을 분석하는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국내외 건설현장에서의 BIM의 적용사례를 조사하여 종합 분석하여 건설현장에 있어서의 BIM의 진화과정을 파악한 후 관리모델의 도입가능성을 판단하고 UML의 Diagram 을 이용한 건설현장의 수행단계별, 현업주체별 요구분석을 통해 건설현장에서 필요한 효율적인 관리모델의 구축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프로젝트에서 BIM을 적용하고자 하는 목표는 설계 도서를 검증하고 그에 따른 품질의 향상에 있었다. 따라서 각 주체들 간의 많은 협업이 필요하고 수시로 변경되는 사안에 따른 대응 능력 향상에 BIM이 큰 역할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IM은 어떤 개념을 포함한 것인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3D 또는 2D 설계+ Process + Product + Interoperability의 개념을 포함한 것으로, 학자들에 따라 다양한 정의를 내리고 있는 건설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정보의 재활용, 호환성 유지, 정보 공유 및 활용성 극대화를 위해 다양한 적용이 모색되고 있다.
M.A 몰튼슨사에서는 BIM은 무엇이라고 정의하였는가? M.A 몰튼슨사에서는 BIM은 지능적인 건축 시뮬레이션(an intelligent simulation of architecture)으로 정의하고 있다2). 지능적인 건축 시뮬레이션이란 다음과 같은 의미에서 접근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하고 있다.
지능적인 건축 시뮬레이션은 어떤 의미로 접근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하고 있는가? ■ 디지털(Digital) ■ 3차원공간적(Spatial) ■ 측정가능(Measurable) ■ 포괄적(Comprehensive) ■ 접근가능(Accessible) ■ 영속성(Durable)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김언용, 지능형 디지털 아키텍처 도구와 bim 패러다임, 건축 Special issue 디지털 아키텍처, 2005 

  2. 김인한 외, 건설 산업의 BIM 적용기술 동향 및 전망, 정보통신연구진흥원, 2008.7 

  3. 박수훈, BIM 설계툴의 초기도입현황과 건물성능분석으로의 방향, 한밭大學校 論文集 제24호, 2007.12 

  4. 이한민, BIM 구축을 위한 건설정보 통합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8 

  5. http://aecbytes.com/buildingthefuture/2007/BIM_Awards_Part1.html 

  6. http://olv.moazine.com/rviewer/index.asp 

  7. John Wiley & Sons International Rights, Inc, BIM Handbook, 2008 

  8. NIBS, National BIM Standard Version 1.0-Part 1 : Principles, and Methodology by NIB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