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가족개념과 가족건강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ncept and Family Strength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14 no.1, 2010년, pp.37 - 55  

박수선 (우송대학교 의료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family strength and therewith, suggest some strategies to improve family strength and welfare.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ampled 208 college students and surveyed them for their perceptions of the concept of family and family st...

주제어

참고문헌 (58)

  1. 고정자(2004). 가족개념인식과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생활과학연구논문집 12, 5-18. 

  2. 권대희(2003).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대희, 오윤자(2004).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115-127. 

  4. 김경원(2005). 가족복지 실천을 위한 가족개념의 인식과 가족관계에 관한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5. 김규원(1995). 가족개념의 인식과 가치관. 가족학논집 7, 213-255. 

  6. 김명자(2004). 부모와 대학생 자녀의 가족생활에 관한 가치의식과 가족건강성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3), 55-80. 

  7. 김설희(1983). 청소년을 통해 본 앞으로의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수연, 김득성(1997a). 가족의 응집 및 적응 평가척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5(1), 59-74. 

  9. 김수연, 김득성(1997b). 가족의 응집 및 적응 척도에 관한 연구 II. 대한가정학회지 35(6), 205-219. 

  10. 김순기, 유영주(2001). 노인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에 관한 연구-서울시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가족연구, 385-42 1. 

  11. 김유숙(2006). 가족치료. 서울 : 학지사. 

  12. 김주수, 김희배(1985). 가족관계학. 서울 : 학연사. 

  13. 남기철(2006). 가족개념과 가족복지서비스에 대한 세대간 인식 차이. 생활과학연구 11, 91-106. 

  14. 박길성(1997). 정보사회, 정보문화, 새로운과학문화의 도전과 그 극복.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결과보고서. 

  15. 박민자(1995). 가족의 의미. 한국여성사회연구회 편. 가족과 한국사회. 서울 : 경문사. 

  16. 박민주, 황기아(2007).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학회지 10(2), 43-51. 

  17. 박수현(2003). 대학생의 가족개념인식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서울시 남 . 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아동 . 가족학과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서하진(2009).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생활복지주거학과 석사학위논문. 

  19. 안인영(2005).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가족건강성, 학교생활적응과 우울과의 상관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양옥경(2001). 가족개념에 관한 대학생의 의식연구. 한국가족복지학 7, 175-199. 

  21. 어은주(1996). 한국도시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변인 연구-자녀교육기 가족의 주부를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어은주, 유영주(1995).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145-156. 

  23. 오윤자, 조소연(2001). 부모의 가족가치관 및 관련변수가 미혼성인자녀의 가족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12), 271-284. 

  24. 오정옥(1999). 가족건강성과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회지 4(2), 153-172. 

  25. 옥선화(1995). 가족의 위기와 전망. 한국가족학회편. 한국 가족문제: 진단과 전망. 서울: 하우. 

  26. 유계숙(2004). 건강가족의 요소에 관한 연구- 가족체계와 건강성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25-42. 

  27. 유계숙, 유영주(2002). 서울시민의 가족개념 인식 및 가치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5), 79-95. 

  28. 유영주(2004).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119-151. 

  29. 유영주, 김경신, 김순옥(1996). 가족관계학. 서울 : 교문사. 

  30. 윤세은, 유영주(2001).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서울시 남녀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건강가족연구, 273-312. 

  31. 윤종희(2006). 건강가정사업에서 가족-중심개입을 위한 개념모형 연구: 생태학적 접근. 대한가정학회지 44(3), 115-126. 

  32. 이선자, 장숙랑, 권영숙(2000). 농촌거주 장애인의 재가복지 및 간호서비스 요구도 조사. 한국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190-191. 

  33. 이선정(2009). 대학생의 가족건강성 및 관련 변인이 부모됨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1), 243-266. 

  34. 이원숙(2008). 가족복지론. 서울 : 학지사. 

  35. 이정수, 천혜정 (2005). 예비 가정과 교사의 가족개념 및 가치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4), 63-80. 

  36. 이지원(2007). 가족자원봉사활동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지형(2006). 대학생이 인지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창호(2007). 교회에서의 가족자원봉사활동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목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39. 이혜경(2008).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부적응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 

  40. 임정아, 이인수(2006). 청소년기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15(2), 37-62. 

  41. 장경섭(2009). 가족 . 생애 . 정치경제-압축적 근대성의 미시적 기초-. 서울 : 창비. 

  42. 재단법인 서울여성(2006). 서울시 가족정책 기본계획을 위한 연구 보고서. 

  43. 전서영, 박정윤, 김양희(2008). 기혼남녀의 일- 가족 갈등에 따른 가족건강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3), 55-79. 

  44. 전혜정, 민성혜, 이민영, 최혜영(2009). 결혼이주여성 가족 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한국가족자원복지학 14(2), 5-27. 

  45. 정성란(2005). 가족기능증진 프로그램이 가족기능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46. 정순복, 김수진(2001). 일 도시 중학생의 가족기능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0, 352-367. 

  47. 제 1차 건강가정기본계획(2006-2010). 함께가는 가족 2010. 관계부처 합동 2006. 11 발행. 

  48. 조은수(2007). 대학생이 지각한 원가족 건강성이 결혼관 및 가족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가정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49. 최선희(1999). 한국인의 가족 건강성 영역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50. 최희진, 유영주(1999). '가족기능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Tavitian, Lubiner, Grebstein, Veliccr의 가족기능도 척도(FFS) 에 기초하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1), 57-71. 

  51. 함인희(2001). 한국 사회의 산업화와 가족변화.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 가족과 한국사회. 서울 : 경문사. 

  52. 현은민, 임보래, 장경문(2006). 한부모가족의 건강성 관련 특성과 변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4), 23-38. 

  53. 홍은표(1984). 한국도시가족원의 가족 기능에 대한 기대도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4. 인터넷 참여연대(2006). 건강가정기본법 전면개정을 위한 보도자료 http://www. peoplepower2l.org/article/article_view.php?article_id18304. 

  55. Carter, B. & : McGoIdricκ M(1999). Overiew: The Expanded family life cycle:Individual, Family, and Social Perspectives. Massachusetts : Allyn & Bacon. 

  56. Otto, H. A.(1962). What is Strong Family? Marriage and Family Living 24, 77-80. 

  57. Stinnett, N. & DeFrain, J.(1985). Secrets of strong families. Boston: Little, Brown & Co. 

  58. Walsh, F.(1998).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NY : Guilford Press.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