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시민들에 의해 공공서비스의 관점에서 설정된 주요 항목으로 도시공원녹지를 평가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5개구 80개동으로부터 인구비례로 설문조사하였다. 평가 결과, 46개 평가항목은 평균 2.46~3.54사이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공공서비스로서 주민에게 제공된 부분보다는 대전광역시의 지리적, 자연적 환경에 관한 변수가 높은 평가를 받아 도시공원녹지에 대해 전체적인 향상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낮은 평가를 받은 항목은 '주민참여(평균 2.46)', '불편불만건의(평균 2.54)', '주민배려-장애인(평균 2.55)', '공원 녹지 내 다양한 이용프로그램(평균 2.55)', '건의사항의 반영(평균 2.61)'으로 나타나 주민과 함께 계획하고 주민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는 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 주민의 주관적 특성에 따라 평가의 차이가 있었으며, 주관적 특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공원녹지를 공공서비스적 관점에서 평가함은 새로운 시각이면서 필요한 관점이다. 이것은 그동안 물리적 환경에 대한 만족도 연구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공급결정자, 주민의견반영, 정보이용 등에 대해 접근할 수 있었고, 공급결정자가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 더욱 공공서비스적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주요 인자들에 대한 적극적 반영을 통하여 도시공원과 녹지에 대한 시민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공무원들의 역할은 증대되어질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within the public service framework by identifying priority elements. This study surveyed 455 residents from 80 dongs(neighborhoods), of 5 Gu(districts) districts in Daeje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Regarding the evaluation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기에서 공급 여부가 결정되고 대전광역시의 경우 기본적으로 각 구별로 공원녹지 공급을 행한다. 따라서 지방정부의 재정력에 따라 풍족한 또는 빈곤한 녹지환경이 부여되고 개별 공원녹지의 환경계획 이전에 정책단계에서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로서 결정, 공급되므로 본 연구는 도시공원녹지를 공공서비스적 관점에서 수행하였다. 도시공원 녹지를 공공서비스로서 평가 .
  • 본 연구의 목적으로 지방자치시대이며 지방 정부 공공서비스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수요가 다양화되고 증가되는 가운데, 도시 내 대표적인 자연환경이며 주된 여가공간인 도시공원 녹지를 대상으로 공공서비스적 관점에서 평가를 하였다. 도시공원 녹지는 지방정부에 의해 제공되는 공공서비스로 공공 서비스적 관점에서 평가함은 기존의 공원 만족도 연구에 더하여 주민의 만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요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공공서비스 만족 결정요인에 대한 기존연구 결과, 사회경제적 요인은 만족도 측정에 중요 변수가 될 수 있다고 하였으며, 김인 등(1989)과 김점순(1985)의 실증적 연구 결과가 그것을 뒷받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개인특성에 따라 도시공원 녹지평가가 차이가 날 것이라 가설하고 개인 특성은 객관적 특성과 주관적 특성으로 구성되었다. 객관적 특성은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소득이며, 주관적 특성은 지역신문구독 정당이나 시민단체 가입경력, 불평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대수(2001) 공원여가정보체계 구축을 통한 도시공원 이용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혜천대학 논문집 27. pp. 505-519. 

  2. 김동건(1989) 현대재정학. 서울: 박영사. 

  3. 김인, 김학노, 김성국(1989) 사회계층에 따른 주민의 공공서비스 수요 와 서비스 배분에 였어서 관료제적 의사결정 규칙 사회적 균형의 관점에서. 한국행정학보 23(2): 737-755 

  4. 김종규, 고원용, 이원식, 김홍규 (2002) 시설기능에 따른 도시공원분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 797-806 

  5. 노춘희(1992) 도시행정총론 서울 : 형설출판사 

  6. 대전광역시 (2006) 대전공원화 2012계획, 공원 녹지과. 25-26. 

  7. 박병호(1994) 서비스의 시민만족도 조사 한국개발연구소 국민경제교 육연구소 연구보고서. 

  8. 박수영(1996) 도시행정론 서울 : 박영사. 

  9. 박안서(1993) 공공서비스 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 양산 전문대학논집. 2: 205-218. 

  10. 박천오, 박경효(1996) 한국 관료제의 이해. 서울. 법문사. 

  11. 송건섭, 이곤수, 윤종갑(2005) 기초자치단체의 성과 관리시스템 구축과 적용, 공공서비스 성과평가와 측정. 서울 : 도서출판 대명. 

  12. 이규목, 이준미(2004) 도시공원녹지관리의 자발적 공동체 내 사회적 자본 형성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2). 271- 284 

  13. 이현우 (2002) 택지개발지구내 공공서비스시설의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장우진 (2001) 공공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정연택(1999) 지방정부 공공서비스 성과평가를 위한 기준연구. 3사교 논문집 49. pp. 311 -349. 

  16. 조은경(1998) 공공서비스에 대한 주민평가에 관한 연구: 주민만족의 결정요얀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최창호(1998) 지방자치의 이해. 서울 : 삼영사. 

  18. 최희윤, 조영태, 양동양(2004) 도시공공시설의 지역간 입지불균형에 따른 공간분석. 한국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6). 207-214. 

  19. Gold(1980) Recreation Planning and Design.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