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원 이용권 분석을 통한 수원시 공원서비스의 적정성 평가
Evaluation of Supply Adequacy of Park Service in Suwon-si by Urban Park Catchment Area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2, 2015년, pp.114 - 124  

김현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김예성 (서울연구원) ,  이다솜 (단국대학교 대학원 녹지조경학과) ,  김지엽 (아주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에서 도시공원은 여러 측면에서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으며, 도시계획 시설로서 도시공원의 중요성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를 대상으로 도시지역에서 공원서비스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해 공원 이용권 분석 시 분석기법과 토지이용 유형에 따른 차이를 고찰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도시공원 이용권율은 버퍼분석과 네트워크 분석 등 분석기법에 따라 이용권율이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수원시의 경우 네트워크 분석으로 산출한 이용권율은 버퍼분석으로 산출한 이용권율의 41%에 그치고 있었다. 그러나 현재 기초자치단체에서 공원녹지 기본계획 수립 시 버퍼분석을 활용하여 공원 서비스율을 산정하고 있어, 현재 공급되는 공원녹지 면적이 실제 이용자에게 서비스되는 공원녹지 면적보다 넓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 고찰되었다. 또한 전체 도시면적과 주거 상업면적 등 토지이용에 유형에 따라서 도시공원 이용권의 차이도 도출되어 향후 공원녹지기본계획 수립 지침작성에 있어 이들에 대한 보완이 요구된다. '녹색복지'의 실현을 위해서는 공원면적의 양적 확충도 중요하지만 인구규모, 인구밀도, 토지이용 유형 등 도시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ity, the urban park contributes to the quality of citizen life in many ways, and the importance of the urban park as an urban planning facility is growing each day. In this study, evaluation of park service supply adequacy in Suwon-si, the difference in analysis methods, and the type of l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 행정동을 분석단위로 설정하고 현장조사와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존의 버퍼분석 결과와 공원 이용자의 실제 이동경로를 고려한 네트워크 분석결과를 비교하여 생활권별 도시공원 서비스의 적정성을 조사하고, 불가피하게 버퍼분석을 실시해야 할 경우 유의점을 도출하여 공원녹지계획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실제 공원이용인구가 주로 생활하고 활동하는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을 대상으로 도시공원 서비스의 공간적 분포의 적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Park(2010) 등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신 · 구도심의 공존 등 도시의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내포하고 있어 도시공원 연구의 표본성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는 수원시를 대상으로 하여 도시지역에서 공원서비스의 적정성을 살펴보기 위해 분석기법과 토지이용 유형에 따른 도시공원 이용권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도시공원이용권 분석 연구를 위한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 공원녹지 공급 정책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Park(2010) 등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신 · 구도심의 공존 등 도시의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내포하고 있어 도시공원 연구의 표본성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받고 있는 수원시를 대상으로 하여 도시지역에서 공원서비스의 적정성을 살펴보기 위해 분석기법과 토지이용 유형에 따른 도시공원 이용권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도시공원이용권 분석 연구를 위한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 공원녹지 공급 정책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 행정동을 분석단위로 설정하고 현장조사와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존의 버퍼분석 결과와 공원 이용자의 실제 이동경로를 고려한 네트워크 분석결과를 비교하여 생활권별 도시공원 서비스의 적정성을 조사하고, 불가피하게 버퍼분석을 실시해야 할 경우 유의점을 도출하여 공원녹지계획의 실효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실제 공원이용인구가 주로 생활하고 활동하는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을 대상으로 도시공원 서비스의 공간적 분포의 적정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후 유치권 중복횟수를 반영하여 1인당 공원녹지 면적 지표를 산출하고 기존의 1인당 공원녹지면적지표와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1인당 공원면적지표는 행정구역내 공원면적을 행정구역내 거주인구 모두가 고루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계산된 반면, 이 연구에서는 유치권이 중첩된 지역의 거주인구만이 해당공원을 이용한다고 가정하여 공원이용 측면에서 서비스권역 내 인구만을 고려하여 1인당 공원녹지면적을 산출하였다. 그러나, 이 같은 입지-배분모형 및 버퍼링과 같은 직선거리를 적용한 이용권역 산출과 접근성 분석은 실제 통행경로와 거리, 그리고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 보행상의 장애물을 고려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 공원 서비스 인구자료의 경우 일반적으로 연상면적에 원단위를 곱하여 산정하였다3). 기준으로 도로의 중심선을 수정 · 보완하여 인도가 양 옆에 위치한다는 가정하에 도로망 자료를 구축하고, 도시공원 조성면적은 수원시 공원자료(2013년 기준)를 참고하여 조성 완료된 공원의 위치, 면적, 유형을 확인하고 이를 동별로 분류하였다.
  • 3을 이용하였으며, 수원시 통계연보(2013), 수원시 푸른녹지사업소 내부자료(2013),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2012)의 각 행정동별 인구 및 면적, 공원 위치, 공원 면적, 공원 유형, 토지용도 자료를 구축하였다. 도로망의 경우 안전행정부(2011)의 도로망도를 기준으로 2차선 이상의 도로중심선을 수정 · 보완하여 인도가 양 옆에 위치한다는 가정 하에 도로망 자료를 구축하였다. 공원 서비스 인구자료의 경우 일반적으로 연상면적에 원단위를 곱하여 산정하였다3).
  • 2m로 보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초당 보행속도 1m 기준으로 신호주기를 설정하고 있다(Shin and Shim, 1998). 본 연구에서도 보행속도를 초당 1m로 설정하고, 최대 이용거리는 도시공원법상 유치거리로 설정하였다. 공원유형별 도시공원법상 유치거리는 소공원 · 어린이공원은 걸어서 10분 안에 도착할 수 있는 250m, 규모가 3만m2 미만인 근린생활권 근린공원 500m, 규모가 3만m2 이상 인도보권 근린공원과 도시지역권 근린공원은 1,000m이며, 주제공원의 유치거리는 근린공원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원 및 녹지의 역할은 무엇인가? 공원 및 녹지는 환경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쾌적한 도시환경의 조성에 기여하고 도시민에게 자연공간과 여가 및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최근 도시민의 여가시간증가와 소득증대로 인해 옥외여가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으며, 인간과 환경의 조화를 강조하는 ‘녹색복지’가 등장함에 따라 공원녹지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Hoggett, 2001).
버퍼(buffer) 분석기법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국내에서도 공원 면적 확충 관련 연구외에도 도시 내에서 공원에 대한 접근성과 유치권을 공원 서비스의 중요한 요소로 강조하는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다. 선행연구들에서는 공원 이용권을 분석하기 위해 공원경계선으로부터 일정한 직선거리 내 영역을 유치권으로 추출하여 분석하는 버퍼(buffer) 분석기법1)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버퍼 분석의 경우 실제 도로, 지하철 등 보행 저해요인 등 이용환경을 반영하기 어렵기 때문에 Son and Ahn(2013)의 경우 대구시를 대상으로 실제 이용자의 보행행태를 반영하여 도로망에 따른 이동거리나 자연적 혹은 인공적 장애물을 고려하는 네트워크(network) 분석기법2)을 활용하였다.
공원 이용권역 분석에서 네트워크 분석 결과와 버퍼 분석 결과의 차이를 산출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버퍼 분석의 경우 분석 거리와 실제 공원 접근 시 총 이동거리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의 존재가 한계로 지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선행연구와 각 기초자치단체에서 작성하는 공원녹지 기본계획에서는 공원 이용권역 분석을 위해 버퍼분석을 활용하고 있다. 이는 네트워크 분석이 그 정확도에도 불구하고 공원위치와 면적 외에도 도로망도, 보도, 지하도, 육교와 같은 실제 이동거리에 관련된 정보를 구축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많은 제약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버퍼 분석 결과와 네트워크 분석 결과의 차이를 산출하여, 그 결과를 정책에 반영하는 것은 도시지역에서 실제 제공되는 공원 서비스 면적을더 현실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hn. D. M., H. S. Choi, I. H. Kim and H. J. Cho(1991) A study on the method of measuring accessibility to urban open spac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91.1): 17-28. 

  2. Baek. J. H.(1984) A review on the methodologies for optimum location - Centered on the rectilinear and euclidean distance method. Sogang University, Institute of Market Economy 8: 93-125. 

  3. Chae, J. H., K. J. Zoh, S. J. Kim, Y. K. Hoh and J. Y. Hwang(2014) A study on operational systems & planning contents of parks & green space plan - Focused on London, New York, Berlin, Sydney, Seo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2): 91-102. 

  4. Hoggett, P.(2001) Democracy, social relations and ecowelfare. Social Policy & Administration 35(5): 608-626. 

  5. Hur, M. S. and Y. K. Chin(1996). GIS-oriented measurement indicces of accessibility of the neighborhood park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4(3): 42-56. 

  6. Im, S. B. and Y. J. Huh(1995) A study on the model of measuring visual accessibility to urban green spac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3(3): 1-14. 

  7. Kim, Y. S., H. Kim and J. S. Ko(2014) Analysis on the use characteristics of citizen based on urban green spaces type: Focuses on Suwon-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5): 31-40. 

  8. Kwon, S. J. and Y. I. Kim(1993) Gravity model for the catchments between park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50('93.7): 1-7. 

  9. NSW(2010) "Recreation and Open Space Planning Guidelines for Local Government", New South Wales Government 

  10. Oh, K. S. and Y. W. Jung(1999) The usefulness of the GIS - Fuzzy set approach for evaluation the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4(4): 71-83. 

  11. Park, C. I.(2010) A study on expansion of urban park and green belt based on resident's attitude of park and green belt.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Welfare 14(3): 29-37. 

  12. SDUDE(2006) "Landschafts programmeinschliesslich Artenschutzprogramm 1994". Senate Department for Urban Development and the Environment. 

  13. Shin, Y. S and J. I. Shim(1998) Traffic impact assessment analysis. Transport Institute. 

  14. Son, S. W. and T. M. Ahn(2013) Sensitivity analysis on the population within and outside of the urban park service area: Focused on Daegu Metropolitan city neighborhood parks and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dat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5): 9-18. 

  15. Son. S. W.(2013) (A)Study on the Urban Park Service Areas &Population: Focused on Daegu Metropolitan City Neighborhood Parks and Residents Registration Number Data. Master Degre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6. Sung, H. C. and J. Y. Shin(2005) Strategies to improve parks' accessibility in city - Focus on Gyeonggi-do regi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3(2): 83-91. 

  17. Yoon, H. M. and H. Y. Kim(2013) Analysis on index of park and green area per person based on its service area - The case of Dongdaemungu, Seoul - 48(3): 329-3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