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금 종류에 따른 김치의 품질특성 비교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Kimchi (Korean pickled cabbage) Prepared with Various Salt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7 no.1, 2010년, pp.30 - 35  

장민선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순덕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건희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품 조리 및 제조 가공 시 사용되는 소금은 천일염, 정제염 및 수입산염이 대부분이지만, 아직까지 소금 종류에 따른 식품 제조 시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국내산 정제염, 국내산 천일염, 수입산염 등 소금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를 $20^{\circ}C$에서 7일간 발효시키며 품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화학적인 특성으로 pH, 산도, 염도를 측정하였고, 미생물학적인 특성으로 총균수와 젖산균수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김치의 pH는 감소하였고, 소금 종류에 따른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산도와 염도는 증가하였으며, 특히 염도는 전반적으로 수입산염이 국내산염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미생물의 경우 총균수와 젖산균수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저장 5일후 균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처리구간 근소한 차이를 보일 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lt composition may affect the quality of Kimchi. We examined the quality of Kimchi prepared using different types of salt (Korean purified salt, Korean solar salt without bittern, Korean solar salt, Chinese purified salt, Chinese solar salt, and Australian solar salt). Kimchi was fermented for 7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금의 종류를 달리하여 식품을 제조한 경우 소금에 따른 식품의 품질변화를 알아보고자 국내산 정제염, 간수를 제거한 국내산 천일염, 국내산 천일염, 중국산 정제염, 중국산 천일염, 호주산 천일염 등 소금 6종을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하고, 발효 중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염은 무엇이며,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식염은 인체의 생리기능에서 꼭 필요한 주요성분이며, 음식의 맛을 내고, 저장성을 부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 그러나 소금을 다량 섭취할 경우 위암 및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장류와 각종 절임 식품이 주요한 식재료인 경우는 소금의 품질이 제품에 큰영향을 미친다(2).
소금을 다량 섭취할 경우 무엇을 유발할 수 있는가? 식염은 인체의 생리기능에서 꼭 필요한 주요성분이며, 음식의 맛을 내고, 저장성을 부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 그러나 소금을 다량 섭취할 경우 위암 및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장류와 각종 절임 식품이 주요한 식재료인 경우는 소금의 품질이 제품에 큰영향을 미친다(2).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소금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천일염과 정제염이 연간 약 60만톤 생산되고 있고, 그 외 재제염과 가공염 등이 생산되고 있다.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소금 중 천일염과 정제염은 어떻게 생산되는가?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소금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천일염과 정제염이 연간 약 60만톤 생산되고 있고, 그 외 재제염과 가공염 등이 생산되고 있다. 천일염은 염전에 해수를 유입하여 수분을 증발시킨 후, 소금을 결정 석출시킨 것이고, 정제염은 약 3.5%의 해수를 이온 교환막이 장착된 전기 투석조를 거쳐 16~18%의 염수를 만들고, 이를 증발 농축시켜 대량생산되고 있다(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Jo, E.J. and Shin, D.H. (1998)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sun-dried, refined, and processed salt produced in chonbuk area. Korean J. Food Hyg. Safety, 13, 360-364 

  2. Shin, D.H., Jo, E.J. and Hong, J.S. (1999) Chemical composition of imported table salts and kimchi preparation test. Korean J. Food Hyg. Safety, 14, 277-281 

  3. Gill, W.S. (1999) Application and present conditions of salt processing in korea. J. East Asian Dietary Life, 9, 247-256 

  4. Kim, Y.S. (1999) The application method of bamboo salt and health in the pollution period. J. East Asian Dietary Life, 9, 257-260 

  5. Hahn, Y.S. (2003) Effect of salt type and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43-747 

  6. Hahn, Y.S., Oh, J.Y. and Kim, Y.J. (2002) Characteristics of low salt kimchi prepared with salt replacement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47-651 

  7. Jang, S.Y. and Jeong, Y.J. (2005) Effect of chitosan-liquid calaium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15-720 

  8. Hawer, W.D., Ha, J.H., Seo, H.N., Nam, Y.J. and Shin, D.W. (1988) Changes in the taste and flavour compound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511-517 

  9. Pyo. Y,H,, Kim, J.S. and Hahn, Y.S. (2000) Volatile compounds of mustard leaf(Brassica juncea) kimchi and their change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56-61 

  10. Kim, N.H., Kim, S.D. and Kim, K.S. (2000) Effect of salting conditions on the fermentation and quality of dandelion(Tataxacum platycarpum D.)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142-1148 

  11. Kim, S.Y. and Kim, K.O. (1989) Effect of sodium chloride concentrations and storage periods on characteristics of kakdugi.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370-374 

  12. Jo, Y.B., Choi, H.J., Baik, H.S. and Jun, K.K. (1997) Evaluation of optimum conditions for the elerofisusion between Lactobacillus sp. JC 7 isolated from kimchi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88.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5, 121-128 

  13. Ko, Y.D., Kim, H.J., Jun, S.S. and Sung, N.J. (1994) Development of control system for kimchi fermentation and storage using refrigerator.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199-208 

  14. Cho, Y. and Rhee, H.S. (1991)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and temperature on kimchi fermentation(II). Korean J. Soc. Food. Sci., 7, 89-95 

  15. Choi, H.S. (1995) The life of korean, kimchi. Mil-al. Seoul, p.181 

  16. Kim, Y.A., Rhee, S.H., Jeong, K.Y., Park, K.Y. and Moon, S.H. (2002)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and packing method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akdug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971-976 

  17. Park, H.J., Kim, S.I., Lee, Y.K. and Han, Y.S. (1994) Effect of green tea on kimchi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Korean J. Soc. Food Sci., 10, 315-321 

  18. Kim, M.R., Mo, E.K., Kim, J.H., Lee, K.J. and Sung, C.K. (1995) Effect of hot water extract of natural plants on the prolongation of optimal fermentation time of kakdug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65-370 

  19. Kim, S.J., Kim, H.L. and Ham, K.S. (2005) Characterization of kimchi fermentation prepared with various salts. Korean J. Food Preserv., 12, 395-401 

  20. Park, M.W. and Park, Y.K. (1998) Change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racteristics of oiji(Korean pickled cucumbers) prepared with different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419-424 

  21. Han, G.J., Son, A.R., Lee, S.M., Jung J,K, Kim S,H and Park K.Y. (2009) Improvement quality and increased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kimchi by using natural sea salt without bittern and baked(guwun) sal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96-1002 

  22. Bae, I.H., Choi, S.H. and Choi, H.Y. (2002)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supplemented with cheese. Korean J. Microbial. Biotechnol., 30, 415-419 

  23. Park, J.A., Heo, G.Y., Lee, J.S., Oh, Y,J., Kim, B.Y., Mheen, T.I., Kim, C.K. and Ahn, J.S. (2003) Change of microbial communities in kimchi fermentation at low temperature. Korean J. microbiol., 39, 45-50 

  24. Ku, K.H., Kang, K.O. and Kim, W.J. (1998) Some quality changes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476-482 

  25. Choi, S.Y., Kim, Y.B., Yoo, J.Y., Lee, I.S., Chung, K.S. and Koo, Y.J. (1990)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s concentration of kimchi manufacturing on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07-710 

  26. Kim, Y.J., Hong, S.I., Park, N.Y. and Chung, T.Y. (1994) Effect of packaging material on quality of kimchi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2-67 

  27. Chung, D.O., Park, I.D. and Kim, J.O. (2002) Quality changes of rosemary-onion kimchi by packaging material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43-1047 

  28. Kim, H.O. and Rhee, H.S. (1975) Studies on the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kimchi fermen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7, 74-81 

  29. Han, G.J. and Jang, M.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aralia continentalis kitagaqa leaf-kimchi as affected by storage t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02-1207 

  30. Rhee, H.S., Lee, C.H. and Lee G.J. (1987)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extural properties of korean cabbage during salting. Korean J. Soc. Food Sci., 3, 64-70 

  31. Hong, S.I., Park, J.S. and Park, N.H. (1995) Quality changes of commercial kimchi products by different packag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12-118 

  32. Ahn, S.J. (1988) The effect of salt and food preservative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oc. Food. Sci., 4, 39-50 

  33. Bang, B.H., Seo, J.S. and Jeong, E.J. (2008) A method for maintaining good kimchi quality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 Nutr., 21, 51-55 

  34. Mheen, T.I. and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 

  35. Lee, M.S., Oh, K.T., Kim, Y.J. and Park, R.D. (2006) Change in quality of calcium-fortifi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Chitin Chitosan. 11, 213-217 

  36. Han, H.U., Lim, H.R. and Park, H.K. (1990) Determination of microbial community as and indicator of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26-32 

  37. Kim, D.K., Kim, S.Y., Lee, J.K. and Noh, B.S. (2000) Effects of xylose and xylitol on the organic acid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889-895 

  38. Kim, Y.S. and Shin, D.H. (2008) Hygienic superiority of kimchi. Korean J. Food Hyg. Safety, 23, 91-97 

  39. Kim, S.H. (1991) Comutagenic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kimchi components.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40. Ha., H.O. (1997)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and low sodium kimchi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alts.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