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절임 방법과 소금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절임 배추의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Properties of Brined Baechu Cabbage Manufactured by Different Salting Methods and with Different Sal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7, 2014년, pp.1036 - 1041  

최금혜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가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봉연주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지강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문숙희 (경남정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건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절임 방법 및 소금의 종류에 따른 절임 배추의 품질특성을 비교, 측정하고 적절한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제간수 천일염을 이용하여 염수법, 혼합법, 건염법으로 절임 배추를 제조한 결과 건염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절임배추가 줄기와 잎 간의 염도 차가 적고 비교적 균일하게 절여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은 소금 사용량으로도 높은 염도를 나타내어 절임 시 사용되는 소금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건염법으로 소금의 농도와 절임시간을 달리하여 절임 배추를 제조하였을 때 5%의 제간수 천일염을 사용하여 12~15시간 절임을 할 경우 적절한 염도를 나타내었으나, 절임시간이 길어질 경우 배추 조직의 탄력성 저하를 가져와 12시간 이상의 절임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염법으로 정제염, 제간수 천일염, 죽염을 이용하여 절임 배추를 제조하였을 때 죽염을 이용한 절임 배추가 가장 높은 염도를 나타내었으며, 제간수 천일염, 죽염을 이용한 절임 배추에서 유의적으로 총호기성 세균수가 낮고 유산균 수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건염법으로 절임 배추를 제조할 경우 절임에 사용되는 소금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줄기와 잎 간의 염도 차가 비교적 균일한 좋은 품질의 절임 배추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배추절임 시 제간수 천일염과 죽염을 이용하면 절임 배추의 품질적인 측면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quality changes among brined baechu cabbages manufactured by various salting methods and types of salt. Brine, brine and dry salting, and dry salting were used as salting methods. When baechu cabbages were salted by dry salting method, the salinity of brined baechu cabbage inc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염법을 이용하였을 때 소금의 종류가 절임 배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정제염, 제간수 천일염, 죽염을 이용하여 절임 배추를 제조하고 그 품질특성을 측정하였다(Table 3). 이때 염수법으로 제조한 절임 배추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배추의 잎과 줄기 부분을 일정하게 절이며 절임 소금양을 최소화하여 목적하는 염도를 가지는 절임 배추를 얻을 수 있는 경제적인 절임 방법의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전통 식품인 김치의 품질 증진을 위하여 우수한 품질의 절임 배추를 얻고자 절임 단계에서 절임법 및 소금의 종류를 달리하여 적절한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배추의 잎과 줄기 부분을 일정하게 절이며 절임 소금양을 최소화하여 목적하는 염도를 가지는 절임 배추를 얻을 수 있는 경제적인 절임 방법의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전통 식품인 김치의 품질 증진을 위하여 우수한 품질의 절임 배추를 얻고자 절임 단계에서 절임법 및 소금의 종류를 달리하여 적절한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절임 방법 및 소금의 종류에 따른 절임 배추의 품질특성을 비교, 측정하고 적절한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제간수 천일염을 이용하여 염수법, 혼합법, 건염법으로 절임 배추를 제조한 결과 건염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절임 배추가 줄기와 잎 간의 염도 차가 적고 비교적 균일하게 절여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은 소금 사용량으로도 높은 염도를 나타내어 절임 시 사용되는 소금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가설 설정

  • 3)D: brined baechu cabbage prepared using dry salting method.
  • 4)D-BS: brined baechu cabbage prepared using dry salting method with bamboo salt baked onc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란 무엇이며 효능은? 한국인의 식생활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김치는 배추, 무와 같은 채소에 젓갈류, 양념 및 향신료 등이 가미된 복합 발효식품으로써 영양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항암 효과, 항산화 효과, 면역증강 효과 등을 가진 기능성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1-3). 김치의 제조는 절임, 담금, 숙성, 보관 순으로 이루어지는데 그중 절임은 김치 제조를 시작하는 단계로써 김치의 맛과 냄새, 조직감 등의 품질특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다(4).
경제적인 절임 방법의 개발을 위해 실시한 방법은? 이를 위해 첫째, 대표적 절임 방법인 염수법, 혼합법, 건염법을 이용한 절임 배추의 품질특성을 비교하고 둘째, 절임배추의 소금양 및 절임시간을 비교하여 건염법의 적절한 조건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셋째, 건염법을 이용하고 소금의 종류를 달리하여 절임 배추를 제조한 후 그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배추절임 방법은 무엇이 있나? 배추절임 방법으로는 배추 무게 두 배 분량의 물에 소금을 녹여 담그는 방법(염수법), 배추절임에 적합한 분량의 소금양 가운데 1/3은 배추 줄기 부분에 뿌리고 2/3는 소금물을 만들어 담그는 방법(혼합법), 배추를 물에 적신 후 소금을 배추 줄기 부분에 뿌리는 방법(건염법) 등이 있다. 염수법과 혼합법으로 절였을 때는 배추의 잎과 줄기의 염도 차가 커지는 경우가 많아(8,9) 김치 숙성 시 맛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저장기간의 차이를 일으키게 된다(9,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o EJ, Lee SM, Rhee SH, Park KY. 1998.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324-332. 

  2. Cheigh HS, Kim JI, Min BT, Jeon JT, Kong YH, Hong JJ, Kim NY. 2002. Classification and review of the literatures on kimchi (III). Research Bulletin of Kimchi Science Technology 8: 105-131. 

  3. Choi SY. 1996. Research literatures on kimchi from 1955 to 1996. Food Ind Nutr 1: 88-101. 

  4. Han ES, Seok MS. 1996. Improvement of salting process of Chinese cabbage in kimchi factory. Food Ind Nutr 1: 50-70. 

  5. Ahn SJ. 1988. The effect of salt and food preservative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Soc Food Sci 4: 39-50. 

  6. Han KY, Noh BS. 1996. Characterization of Chinese cabbage during soaking in sodium chloride solu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707-713. 

  7. Lee MK, Yang HJ, Woo HN, Rhee YK, Moon SW. 2011. Changes in the texture and salt content of Chinese cabbage using different salt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184-1188. 

  8. Lee JM, Kim HJ. 1994.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method of bring conditions and storage day in the prepa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whole cabbage kimchi. Korean J Dietary Culture 9: 87-93. 

  9. Han ES. 1993. Salting storage method of highland Chinese cabbage for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118-122. 

  10. Lee JM, Kim HJ. 1994.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method of bringing conditions and storage day in the preparation of traditional Chinese whole cabbage kimchi. Korean J Dietary Culture 9: 87-93. 

  11. Rhee HS, Lee CH, Lee GJ. 1987.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textural properties of Korean cabbage during salting. Korean J Soc Food Sci 3: 63-70. 

  12. Kim BG. 1997. Reuse of brining wastewater in kimchi industry. The report of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Seoul, Korea. 

  13. Yoon HY, Jeon EJ, Sung SJ, Kim DM. 2000. Characteristics of waste brine from the salting process of Chinese cabb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7-101. 

  14. Kim HY. 2009. Fermentation properties and inhibitory effects of anticancer functional baechu kimchi on AOM/DSS induced colitis-associated colon cancer in Balb/c mice.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5. Jung JK, Park SE, Lee SM, Choi HS, Kim SH, Park KY. 2011. Quality changes of brined baechu cabbage prepared with low temperature stored baechu cabbag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75-479. 

  16. Kim YW, Jung JK, Cho YJ, Lee SJ, Kim SH, Park KY, Kang SA. 2009. Quality changes in brined Baechu cabbage using different types of polyethylene film, and salt conten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6: 605-611. 

  17. Kim YW, Jeong JK, Lee SM, Kang SA, Lee DS, Kim SH, Park KY. 2009. Effect of permeability-controlled polyethylene film on extension of shelf-life of brined Baechu cabb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767-1772. 

  18. Hahn YS, Kwon MK, Hyun YH, Song JE, Oh JY. 2001. Effect of kinds and concentration of salts on the growth of yeast isolated from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 393-399. 

  19. Son AR. 2009. Characteristics and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ly cultivated baechu cabbage and different kinds of salt.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0. Han ES, Seok MS, Park JH, Jo MS, Lee HJ. 1998. Quality changes of brine during brine salting of highland baechu. Food Eng Prog 2: 85-89. 

  21. Chang MS, Cho SD, Kim GH. 2010.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Kimchi (Korean pickled cabbage) prepared with various salts. Korean J Food Preserv 17: 30-35. 

  22. Park JA, Heo GY, Lee JS, Oh YJ, Kim BY, Mheen TI, Kim CK, Ahn JS. 2003. Change of microbial communities in kimchi fermentation at low temperature. Kor J Microbiol 39: 45-50. 

  23. Han HU, Lim CR, Park HK. 1990. Determination of microbial community as an indicator of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26-32. 

  24. Kim DK, Kim SY, Lee JK, Noh BS. 2000. Effects of xylose and xylitol on the organic acid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889-895. 

  25. Xin Z, Jung OS, Park KY. 2012. Alkaline and antioxidant effects of bamboo sal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301-1304. 

  26. Hahn YS. 2003. Effect of salt type and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43-747. 

  27. Kim SH, Kim SJ, Kim BH, Kang SG, Jung ST. 2000. Fermentation of doenjang prepared with sea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365-1370. 

  28. Kim SJ, Kim HL, Ham KS. 2005. Characterization of Kimchi fermentation prepared with various salts. Korean J Food Preserv 12: 395-4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