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초추출물을 이용한 다진 마늘의 갈변 저해 효과
Antibrowning Effect of Licorice (Glycyrrhiza glabra) Extracts on Chopped Galic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7 no.1, 2010년, pp.160 - 164  

황태영 (우송대학교 식품생물과학과) ,  손경현 (한국피자헛) ,  임정호 (한국식품연구원) ,  문광덕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다진 마늘의 제조 중 발생하는 효소적 갈변을 막기 위해 산업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은 주로 화학적인 갈변저해제를 이용하는 경우가 다수이나, 최근 소비자의 천연물에 대한 수요 증대를 감안하여 천연물 유래의 갈변저해제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유래의 갈변저해제 중 효과적으로 나타난 감초 추출물의 갈변저해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 기존 다진 마늘의 갈변저해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구연산과의 병용 효과를 동시에 조사하여 효율적인 응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다진 마늘 제조 시 구연산과 감초추출물을 다양한 조성비로 적용하고 냉장저장 중 다진 마늘의 색도를 측정하여 L값의 변화를 중심으로 갈변 저해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저장 초기에는 감초추출물 단독으로도 갈변저해 효과가 있었으나 저장 후기로 갈수록 감초추출물과 구연산을 혼합한 조성물이 매우 효과적으로 갈변을 저해함을 알 수 있었다. 천연물인 감초추출물은 구연산과 상승작용을 일으켜 갈변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감초추출물과 구연산의 혼합비를 조정하여 실험한 결과에 따르면, 감초추출물:구연산의 혼합비가 2:8 내지 5:5일 때 효과적으로 갈변을 저해하며, 특히 감초추출물:구연산의 혼합비가 2:8인 경우 가장 뛰어난 갈변 저해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 경우 구연산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와 동등한 수준으로 뛰어난 갈변 저해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구연산 단독 처리시의 문제점인 신맛 등 관능적 품질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emical methods using browning inhibitors have been used to control the browning of chopped garlic. However, consumer demand for natural products is increasing, and we therefore investigated the antibrowning effect of natural licorice root extract on chopped garlic. We used a combination of licor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진 마늘의 제조 중 발생하는 효소적 갈변을 막기 위해 산업적으로 적용되는 방법은 주로 화학적인 갈변저해제를 이용하는 경우가 다수이나, 최근 소비자의 천연물에 대한 수요 증대를 감안하여 천연물 유래의 갈변저해제를 탐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유래의 갈변저해제 중 효과적으로 나타난 감초 추출물의 갈변저해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 기존 다진 마늘의 갈변저해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구연산과의 병용 효과를 동시에 조사하여 효율적인 응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소비자들의 천연물에 대한 호감도를 고려하여 고품질의 다진 마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천연물 유래의 갈변저해제를 탐색하고 특히 효과적으로 나타난 감초추출물의 갈변저해 효과와 이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다진 마늘의 상업적 제품 제조 시 주로 사용하고 있는 citric acid와의 병용 효과를 조사하여 산업적응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유래의 갈변저해제 중 효과적으로 나타난 감초 추출물의 갈변저해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 기존 다진 마늘의 갈변저해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구연산과의 병용 효과를 동시에 조사하여 효율적인 응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소비자들의 천연물에 대한 호감도를 고려하여 고품질의 다진 마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천연물 유래의 갈변저해제를 탐색하고 특히 효과적으로 나타난 감초추출물의 갈변저해 효과와 이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다진 마늘의 상업적 제품 제조 시 주로 사용하고 있는 citric acid와의 병용 효과를 조사하여 산업적응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 Spain)로 3분간 마쇄하였다. 마쇄 전 블랜칭을 통해 표면 미생물을 감소시켜 일정 유통기한을 확보하고자 하였다(19). 완성된 다진 마늘은 뚜껑(screw cap, 발포 PS내지 포함)이 있는 플라스틱 용기(PET, 90 mm×5 mm, total volume 250 mL)에 200 g씩 담아 10℃의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저장 중 색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의 기능성은 무엇이 있는가? 마늘은 우리 민족이 예로부터 널리 이용해 온 주요 식재료 중의 하나로 항균성(1), 항암성(2), 동맥경화예방(3), 항산화작용(4) 등의 기능성이 입증되면서 이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개발에 대한 연구들도 활발하게 보고되고 있다(5-7). 특히 편의성을 강조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마늘도 단순한 박피마늘에서부터 슬라이스한 마늘, 다진 마늘 등의 다양한 제품이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다.
갈변반응이 일어나는 원인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절단되지 않았거나 손상을 입지 않은 채소류의 경우 페놀성 기질이 페놀을 기질로 하는 효소(phenolase) 와 분리되어 존재하기 때문에 갈변반응이 원칙적으로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일단 채소류의 조직이 손상을 입게 되면 그 절단면이 공기 중에 노출되고 phenol류가 효소적 산화반응을 통해 orthoquinone이 되는 갈변반응이 개시되게 된다. 또한 orthoquinone은 phenolase 또는 polyphenol oxidase, tyrosinase, and catecholase로 불리는 각종 산화 효소에 의해 갈색색소로 중합된다(8).
효소적 산화반응을 통해 갈변반응을 일으키는 효소는 무엇인가? 그러나 일단 채소류의 조직이 손상을 입게 되면 그 절단면이 공기 중에 노출되고 phenol류가 효소적 산화반응을 통해 orthoquinone이 되는 갈변반응이 개시되게 된다. 또한 orthoquinone은 phenolase 또는 polyphenol oxidase, tyrosinase, and catecholase로 불리는 각종 산화 효소에 의해 갈색색소로 중합된다(8). 마늘의 경우에도 박피, 절단, 다짐 등의 가공공정 중에 polyphenol oxidase(PPO) (EC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avallito, C.J. and Bailey, J.H. (1944) Allicin, the antibacterial principle of Allium sativum. isolation, physical properties, and antibacterial action. J. Am. Chem. Soc., 66, 1944-1952 

  2. Belman, S. (1983) Onion and garlic oils inhibit tumor promotion. Carcinogenesis, 4, 1063-1067 

  3. David, K. (1991) The effect of dietary garlic on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Trends Food Sci. Tech., 2, 141-144 

  4. Corzo-Martinez, M., Corzo, N., and Villamiel, M. (2007) Biological properties of onions and garlic. Trends Food Sci. Tech., 18, 609-625 

  5. Choi, S.T., Chang, K.S., Lim, B.S., Lee, C.S. and Kim, Y.B. (1998) Effects of storage and marketing condition on biochemical property changes of garlic (Allium sativum L.). Korean J. Food Preserv., 5, 111-117 

  6. Choi, Y.H., Shim, Y.S., Kim, C.T., Lee, C., and Shin, D.B. (2007) Characteristics of thiosulfinates and volatile sulfur compounds from blanched garlic reacted with alliinas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600-607 

  7. Kim, Y.D., Seo, J.S., Kim, K.J., Kim, K.M., Hur, C.K., and Cho, I.K. (2005) Component Analysis by Different Heat Treatments of Garlic (Allium sativum L.). Korean J. Food Preserv., 12, 161-165 

  8. Oszmianski, J. and Lee, C.Y. (1990) Inhibition of polyphenol oxidase activity and browning by honey. J. Agric. Food Chem., 38, 1892-1895 

  9. Kim, D.Y., Rhee, C.O., and Kim, Y.B. (1981) Characteristics of polyphenol oxidase from Garlic (Allium sativum L.). J. Korean Agric. Chem. Soc., 24, 167-173 

  10. Bae, R.N. and Lee, S.K. (1990) Factors affecting browning and its control methods in chopped garlic. J. Kor. Soc. Hort. Sci., 31, 213-218 

  11. Kwon, T.W., Kim, B.S., Park, N.H., and Park, M.H. (1990) Inhibition of discoloration in chopped garlic. Korea Patent No.90-0008827 

  12. Park, J.Y., Kim, B.S., Park, N.H., Park, M.H., and Kim, S.S. (1995) Long period preservation of chopped garlic. Korea Patent No.1995-0012617 

  13. Baek, Y.H., Jang, T.J., Shin, J.K., Kim, K.H., and Kim, M.O. (1996) Method of production of chopped garlic in inhibited greening and browning. Korea Patent No.1996-0040190 

  14. Shin, H.K., Park, M.H., Choi, C., and Hae, M.J. (1997) Effect of Glycyrrhiza glabra extracts on immune response. Korean J. Food Nutr., 10, 533-538 

  15. Kim, S.J., Shin, J.Y., Park, Y.M., Chung, K.M. Lww, J.H., and Kweon, D.H. (2006)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241-248 

  16. Chung, W.T., Lee, S.H., Cha, M.S., Sung, N.S., Hwang, B. and Lee, H.Y. (2001) Biological activities of Glycyrrhizae uralensis FISCH. Korean J. Med. Crop Sci., 9, 45-54 

  17. Woo, K.S., Jang, K.I., Kim, K.Y. Lee, H.B., and Jeong, H.S.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heat treated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Fisch)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55-360 

  18. Hwang, T.Y. and Moon, K.D.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cut potatoes with natural antibrowning treatmen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83-187 

  19. Yu, J.U., Kim, E.J., Sohn, K.H., Lee, T.S., Lee, K.P., and Kong, U.Y. (1998) Process for preparing minced garlic. Korea Patent No.1995-0047272 

  20. Jang, H.S. and Hong, G.H. (1998) The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pH on color change in garlic pure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 211-216. 

  21. Son, J.Y., Son, H.S. and Cho, W.D. (1996) Effect of some antibrowning agent on onion juice concentrate. J. Korean Soc. Food Nutr., 25, 529-534. 

  22. Kim, S.J., Kwoen, D.H., and Lee, J.H. (2006)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za glabra).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84-58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