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대근무형태 임상실습을 하는 간호대학생의 일주기수면유형과 수면양상
Sleep Patterns and Circadian Types of Nursing Students during Shift Schedul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1, 2010년, pp.43 - 51  

김현숙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엄미란 (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김은경 (목포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leep habits, sleep disturbance, and circadian type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leep disturbance in nursing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140 senior nursing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9 to 27, 2008 using self-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일주기수면유형과 수면양상을 파악하고, 일주기수면유형별 수면양상의 차이를 규명하고, 수면장애에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근무형태의 임상실습을 하는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일주기수면유형을 파악하고, 강의를 받고 있는 주중과 주말, 그리고 아침번과 저녁번 임상실습 시의 수면습관을 확인하고, 수면장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수면양상에 관한 질문내용은 Miles (1979)의‘수면설문지 및 각성사정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질문지는 수면습관에 해당하는 수면의 양(quantity)과 수면장애에 해당하는 수면의 질(quality)을 파악하기 위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면의 양 평가는 강의가 있는 주중 ∙ 주말과 아침번 ∙ 저녁번 실습 시의 수면습관인 취침시간, 기상시간을 기입하도록 되어 있고, 총 수면시간은 취침시간과 기상시간의 차이로 구한다.
  • 저녁번 실습 시는 일주기수면유형별 취침 및 기상시간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저녁형이 가장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 주말의 수면습관과 비슷하였다. 아침번 실습 시 수면시간이 짧은 것은 수면장애 점수가 아침번 실습 시에 가장 높았던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바이다.
  • 아침형 인간과 저녁형 인간의 사회적응 능력에 대한 매스컴과 대중의 관심에 비해서는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본 연구는 대학생이면서 교대근무형태의 임상실습을 하고 있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일주기수면유형별 수면습관 및 수면장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간호대학생은 타 학과 학생들에 비해 학업이 과중할 뿐 아니라 임상실습이 학점의 상당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많은 시간을 간호사와 같은 업무 시간대에 맞춰 병원에서 실습을 하고 있다.
  • 자료 수집은 실습지에서 아침번과 저녁번이 격주로 이루어지는 총 8주간의 임상실습을 끝내고, 강의가 다시 시작되는 첫째 주 주중에 수업이 비어 있는 시간을 이용하여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한 후 자발적 참여자를 모집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참여자에게 일주기수면 유형 자가 평가 설문지와 수면양상질문지에 대한 작성지침을 알려주고 의문사항에 대해서 답변하였다. 수면양상질문지는 1달 이내의 실습기간 중 아침번과 저녁번 실습 시의 평균적인 수면양상과 최근 주중과 주말의 수면양상에 대하여 개인의 주관적인 평가에 의거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 또한 뉴질랜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역학조사에서 30대 초반에는 저녁형이 많고, 40대 후반에는 아침형이 많았다(Paine, Gander, & Travier, 2006). 연령별로 일주기수면유형의 분포가 달라지는 것은 일주기수면유형이 개인 간의 차이도 있으나, 개인 내에서도 생애주기별로 변화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연령이 일주기수면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해보면 학령기에는 비교적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것이 수월하지만 청소년기로 갈수록 수면위상이 지연되면서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게 된다.
  • 특히 일반인들 사이에는 일수기수면유형에 따른 인생의 성공여부에 대해서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 대학생보다 과중한 학업과 밤근무를 제외한 교대근무 임상실습을 경험하고 있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일주기수면유형을 파악하고, 일주기수면유형별 강의 및 교대근무 임상실습 시의 수면습관과 수면장애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근무형태에 따른 일주기수면유형 분포에서는 야간근무자 중에 저녁형이 많았는데, 이는 무엇을 시사하며 어떤 궁금증을 야기하는가? , 2006). 이러한 결과는 교대근무에 따라 개인의 고유한 일주기수면유형이 조정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한편, 교대근무에 보다 더 적응을 잘하는 일주기수면유형이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야기한다. 향후 일주기수면유형과 관련된 교대근무로 인한 수면과 건강문제 또는 일상생활이나 수행능력 향상을 예측하고 통제할 수 있는 후속연구들이 본격화된다면 교대근무에 적합한 사람을 선발하거나 교대근무에 잘 적응할 수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교대근무 스케줄 운영에 반영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가 마련될 것이다.
일주기리듬이란 무엇인가? 그런데 교대근무는 일주기리듬(circadian rhythm)을 교란시키고 수면에 영향을 주어 건강을 해치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Monk, 1994). 일주기리듬은 외부환경의 변화에 대처하여 효율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생물학적 리듬으로 시상하부 내의 상부교차핵(suprachiasmatic nuclei) 및 송과선(pineal gland)의 호르몬분비에 의해 조절되며, 사회환경적 시간 단서들이 일주기리듬의 외적 요인으로 작용하여 우리가 24시간을 주기로 살아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tuart & Laraia, 1998). 이 같은 일주기리듬에도 개인차가 있는데 아침에 활동적인 아침형(morning type)과 저녁에 활동적인 저녁형(evening type)으로 나뉘어 진다.
교대근무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간호는 24시간 환자 곁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교대근무가 필수적이다. 그런데 교대근무는 일주기리듬(circadian rhythm)을 교란시키고 수면에 영향을 주어 건강을 해치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Monk, 1994). 일주기리듬은 외부환경의 변화에 대처하여 효율적으로 적응하기 위한 생물학적 리듬으로 시상하부 내의 상부교차핵(suprachiasmatic nuclei) 및 송과선(pineal gland)의 호르몬분비에 의해 조절되며, 사회환경적 시간 단서들이 일주기리듬의 외적 요인으로 작용하여 우리가 24시간을 주기로 살아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tuart & Laraia,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kerstedt, T. (1990). Psychophysiological effects of shift work. Scandinavi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Health, 16, 67-73. 

  2. Brown, F. C., Buboltz, W. C., & Soper, B. (2002). Relationship of sleep hygiene awareness, sleep hygiene practices, and sleep quality in university students. Behavioral Medicine, 28, 33-38. 

  3. Chung, M. H., Chang, F. M., Yang, C. C., Kuo, T. B., & Hsu, N. (2008). Sleep quality and morningness-eveningness of shift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8, 279-284. 

  4. Coleman, R. M. (1986). Wide awake at 3:00 A.M. By choice or by chance? New York, NY: W. H. Freeman & Company. 

  5. Erdfelder, E., Faul, F., & Buchner, A. (1996). GPOWER: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Computers, 28, 1-11. 

  6. Forquer, L. M., Camden, A. E., Gabriau, K. M., & Johnson, C. M. (2008). Sleep patterns of college students at a public university.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56, 563-565. 

  7. Fossey, E. (1990). Shiftwork can seriously damage your health. Professional Nurse, 5, 476-480. 

  8. Giannotti, F., Cortesi, F., Sevastiani, T., & Ottaviano, S. (2002). Circadian preference, sleep and daytime behaviour in adolescence. Journal of Sleep Research, 11, 191-199. 

  9. Glazner, L. K. (1991). Shiftwork: Its effect on workers. The Official Journal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39, 349-356. 

  10. Hawkins, J., & Shaw, P. (1992). Self-reported sleep quality in college students: A repeated measures approach. Sleep, 15, 545-549. 

  11. Hilliker, N. A., Muehlbach, M. J., Schweitzer, P. K., & Walsh, J. K. (1992). Sleepiness/alertness on a simulated night shift schedule and morningness-eveningness tendency. Sleep, 15, 430-433. 

  12. Horne, J. A., & Ostberg, O. (1976). A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to determine morningness-eveningness in human circadian rhythms. International Journal of Chronobiology, 4, 97-110. 

  13. Hwang, A. R., Chung, H. S., Lim, Y. S., Lee, H. W., & Kim, C. J. (1991). Effect of shift interval for the clinical nurse on the circadian rhyth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1, 129-149. 

  14. Kim, H. S. (1994). Comparison of the circadian types in non-shift workers and shift workers. Holy Spirit Junior College of Nursing Thesis Collection, 6, 96-104. 

  15. Kim, H. S., & Jeong, D. U. (1993). Time-related changes in sleepwake pattern as correlates of controlled shiftwork rotating directions. The Seoul Journal of Medicine, 34, 301-309. 

  16. Kim, J. K. (1998). Circadian rhythm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3, 129-140. 

  17. Kim, J. K., & Song, H. S. (2007). The relation of circadian sleep phase preference to sleep habits,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2, 631-648. 

  18. Kryger, M. H., Roth, T., & Carskadon, M. (1994). Circadian rhythms in humans: An overview. In M. H. Kryger, T. Roth, & W. C. Dement (Eds.), Principles and practice of sleep medicine (pp. 301-308). Philadelphia, PA: W. B. Saunders. 

  19. Kwon, G. J. (2005). A study on shift work nurses' sleeping pattern according to their fatigue level and working typ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 Lee, S. S., & Kim, D. H. (2003). An evaluation of shift-worker's sleep and social life by chrono-type. The Journal of Daehan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16, 2087-2098. 

  21. Lim, N. Y. (1985). Effect of shift rotation on the circadia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2. Miles, L. (1979). Sleep questionnaire and assessment of wakefulness. Palo Alto, CA: Stanford Sleep Disorder Clinic. 

  23. Min, S., Moon, D. S., & Im, W. B. (1998). Effect of rapid rotating shift work on the urinary $Na^{+}$ , $K^{+}$ and $Cl^{-}$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869-880. 

  24. Monk, T. H. (1994). Shift work. In M. H. Kryger, T. Roth, & W. C. Dement (Eds.), Principles and practice of sleep medicine (pp. 471-475). Philadelphia, PA: W. B. Saunders. 

  25. Paine, S. J., Gander, P. H., & Travier, N. (2006), The epidemiology of morningness/eveningness: Influence of age, gender, ethnicity, and socioeconomic factors in adults (30-49 years). Journal of Biological Rhythms, 21, 68-76. 

  26. Russo, P. M., Bruni, O., Lucidi, F., Ferri, R., & Violani, C. (2007). Sleep habits and circadian preference in Italian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Sleep Research, 16, 163-169. 

  27. Stuart, G. W., & Laraia, M. T. (1998). Principles and Practice of Psychiatric Nursing (6th ed.). St. Louis, MO: Mosby. 

  28. Taillard, J., Philip, P., Coste, O., Sagaspe, P., & Bioulac, B. (2003). The circadian and homeostatic modulation of sleep pressure during wakefulness differs between morning and evening chronotypes. Journal of Sleep Research, 12, 275-282. 

  29. Zorick, F. (1994). Insomnia. In M. H. Kryger, T. Roth, & W. C. Dement (Eds.), Principles and practice of sleep medicine (pp. 483-485). Philadelphia, PA: W. B. Saunder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