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수면영향요인 분석: 건강행위와 BMI를 중심으로
Predictors of Poor Sleep Quality among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6 no.2, 2014년, pp.98 - 104  

채영란 (강원대학교 춘천캠퍼스 간호학과) ,  최동희 (강릉영동대학 간호학과) ,  유수정 (상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sleep quality and to identify predictors of poor sleep quality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surveyed were 302 individuals at G College located in Kangwon-do. The participa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including demographic charac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수면의 질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수면은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을 회복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므로 수면의 질은 신체적, 정신적 상태나 일상생활 및 삶의 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영향요인을 분석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Choi (2011)와 Park (2008)의 연구에서는 수면시간을 중심으로 결과를 분석하고 있으나 절대적인 수면시간과 더불어 수면의 질이 매우 중요하므로 비만의 변수인 BMI와 수면의 질의 관계를 규명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면의 영향요인으로 규명되었으나 일관된 연구결과들을 나타내지 않는 변수들과 BMI 및 대학생의 건강행위 특성을 포함하여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 사이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의 수면의 질과 관련이 있는 요인은 무엇인가? Park 등(2005)의 연구에서 대학생의 수면의 질과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 지각된 현재의 건강상태, 낮 동안의 활동정도, 낮잠의 유무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반면 질환유무, 취미활동, 규칙적운동, 복용약물, 커피섭취, 흡연, 음주는 차이가 없었다. 수면의 질은 학업 및 여가활동과도 관련이 있다(Veldi, Aluoja, & Vasar, 2005).
수면 부족 시에 어떠한 증상이 나타나는가? 수면은신체의기능을회복하고힘과건강을유지하는기전으로 신체적으로 그리고 정서적으로 재충전하는 효과가 있으며, 수면은 생존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수면 부족 시에는 탈진, 혼돈과 짜증, 공격성증가등의심리적역기능이발생하며심한경우생리적불안정이 유발될 수도 있으며(Foreman & Wykle, 1995; Pack, 2008), 수면장애는 삶의 질뿐만 아니라 사망률(Kripke et al., 2002), 고혈압(Gottlieb et al.
BMI는 어떠한 기준으로 구분하였는가? BMI는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체중(kg)/신장(m2)의 공식으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4년 WHO에서 아시아인을 위해 제시한기준에근거하여체질량지수 18.5 kg/m2미만이면저체중, 18.5-22.9 kg/m2는정상체중, 23 kg/m2이상이면 비만으로 구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yas, N. T., White, D. P., Al-Delaimy, W. K., Manson, J. E., Stampfer, M. J., Speizer, F. E., et al. (2003). A prospective study of self-reported sleep duration and incident diabetes in women. Diabetes Care, 26(2), 380-384. doi: 10.2337/diacare.26.2.380 

  2. Baik, I. Y., & Shin, C. (2011). Association of Daily Sleep Duration with Obesity, Macronutrient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6(3), 315-323. doi: 10.5720/kjcn.2011.16.3.315 

  3. Buysse, D. J., Reynolds III, C. F., Monk, T. H., Berman, S. R., & Kupfer, D. J. (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ic Research, 28, 193-213. 

  4. Choi, M. Y. (2011). Sleeping duration and obesity in Korean adolescents. Wenying Cui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Seoul. 

  5. Foreman, M. D, & Wykle, M. (1995). Nursing standard-of-practice protocol: Sleep disturbances in elderly patients: The NICHE Faculty. Geriatric Nursing, 16(5), 238-243. 

  6. Gottlieb, D. J., Punjabi, N. M., Newman, A. B., Resnick, H. E., Redline, S., Baldwin, C. M., et al. (2005). Association of sleep time with diabetes mellitus and impaired glucose tolerance.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5(8), 863-867. doi: 10.1001/archinte.165.8.863. 

  7. Gottlieb, D. J., Redline S., Nieto F. J., Baldwin, C. M., Newman, A. B., Resnick, H. E., et al. (2006). Association of usual sleep duration with hypertension: The Sleep Heart Health Study. Sleep, 29(8), 1009-1014. PMID16944668 [PubMed - indexed for MEDLINE] 

  8. Kim, G. D. (2000). A Study on Quality of Sleep and Sleep Disturbing Factors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7, 173-192. 

  9. Kim, S. H., Kim, U. S., Jang, Y. H., Park, J., & Ruy, S. Y. (2012).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Quality and Body Mass Index in Korean Addesc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School Health, 25(1), 51-58. http://www.kssch.or.kr 

  10. Knutson, K. L., & Van Cauter, E. (2008). Associations between sleep loss and increased risk of obesity and diabetes. Annnals New York Academy Sciences, 1129, 287-304. doi: 10.1196/annals.1417.033 

  11. Ko, Y. S. (2010). Research on Physique, Bone Density, Obesity,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Strength to Sleep duration by Sasang Constitution.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18(4), 271-278. 

  12. Kripke, D. F., Garfinkel, L., Wingard, D. L., Klauber, M. R., & Marler, M. R. (2002). Mortality associated with sleep duration and insomnia.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9(2), 131-136. doi: 10.1001/archpsyc.59.2.131. 

  13. Lashkaripours, K., Bakhshani, N. M., & Mafi, S. (2012). Sleep quality assessment of medicine students and physician (medical) assistants.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Contemporary Research in Business, 4(8), 443-450. 

  14. Lee, J. E., & Park, H. R. (2003). Body-related attitude, self esteem and eating attitude in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2(4), 603-611. http://www.mhnursing.or.kr 

  15. Lemma, S., Gelaye, B., Berhane, Y., Worku, A., & Williams, M. A. (2012). Sleep quality and its psychological correlate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Ethiopia: A cross- sectional study. BioMed Central Psychiatry, 28(12), 237. doi: 10.1186/1471-244X-12-237 

  16. Lemola, S., Ledermann, T., & Friedman, E. M. (2013). Variability of sleep duration is related to subjective sleep qu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An actigraphy study. PLoS ONE, 8(8):e71292. doi: 10.1371/journal.pone.0071292 

  1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IV-2), 52-58. from Web site: http://www.mw.go.kr 

  18. Nojomi, M., Ghalhe Bandi, M. F., & Kaffashi, S. (2009). Sleep pattern in medical students and residents. Archives of Iranian Medicine, 12(6), 542-549. 

  19. Ock, S. M., Ju, S. Y., Choi, W. S., Park, H. M., Jung, K. I., & Song, C. J., (2008) Association of Sleep Hours with Obesity in Adult Women. Korean Journal Obesity, 17(3), 110-111. www.jksso.org 

  20. Owens, J. F., & Matthews, K. A. (1998). Sleep disturbance in healthy middle-aged women. Maturitas, 30, 41-50. 

  21. Park, I. S. (2008).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Obesity, Abdominal Obesity in Korean Adult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Seoul. 

  22. Park, S. H., Yu, B. Y., Lee, S. R., Lee, H. S., Jung, I. A., Jo, A. R., et al. (2005). A survey on sleep pattern and sleep disturbance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Ewha Nursing, 39, 94-110. 

  23. Park, S. J. (2002). A Survey on the fatness ext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on their habit and on their tendency.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24. Spiegel, K., Tasali, E., Penev, P., & Van Cauter, E. (2004). Brief communication; sleep curtailment in healthy young men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leptin levels, elevated ghrelin levels, and increased hunger and appetite. Annnals Internal Medicine, 141(11), 846-50. doi: 10.7326/0003-4819-141-11-200412070-00008 

  25. Striegel-Moore, R. H., Silberstein, L. R., & Rodin, J. (1986). Toward an understanding of risk factors for bulimi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1(3), 246-263. 

  26. Sung, M. J., & Kyung, J. C. (2007). Correlations among Life Stress, Sleep,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Korean Society Food Science Nutrtion, 36(7), 840-848. http://www.kfn.or.kr 

  27. Thomsen, D. K., Mehlsen, M. Y., Christensen, S., & Zachariae, R. (2003). Rumination-relationship with negative mood and sleep qualit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4, 1293-1301. 

  28. Yi, H. Y. (2013). Sleep Quality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Adul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76-88.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1.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