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조화된 소셜 메타데이터를 활용한 이미지 자료의 시맨틱 검색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emantic Searches for Image Data Using Structured Social Metadata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4 no.1, 2010년, pp.117 - 135  

김현희 (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용호 (부경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이미지의 시맨틱 검색을 위해서 동등어, 동의어 및 관련어를 질의 확장시에 사용하여 태그를 통제한 구조화된 폭소노미 시스템의 모형을 제안하였다. 그런 다음 제안한 시스템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험을 통해서 이 시스템을 태그를 전혀 통제하지 않은 태그 기반 시스템과 검색 효율성(재현율정확률)과 만족도 측면에서 비교해 보았다. 이외에 검색 효율성이 질의 확장 방식에 따라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조사해 보았다. 실험 결과, 제안된 구조화된 폭소노미 시스템이 태그 기반 시스템 보다 재현율, 정확률 및 만족도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그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질의 확장 방식에 따라서 재현율은 차이가 없었지만 정확률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라이브러리 2.0 시대의 디지털 도서관 시스템에 적용되어 디지털 자원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designed a structured folksonomy system in which queries can be expanded through tag control; equivalent, synonym or related tags are bound together, in order to improve the retrieval efficiency (recall and precision) of image data. Then, we evaluated the proposed system by comparing it to a t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폭소노미의 대중성과 편리성을 통제 어휘의 시맨틱 구조와 결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환경에서의 태그의 통제 효과를 조사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태그의 동등어, 동의어 및 관련어를 질의 확장 시에 사용하여 태그를 통제한 후 시맨틱 검색을 한 경우와 태그를 전혀 통제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여 검색의 재현율, 정확률 및 만족도 측면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실험을 통해서 증명해 보고자 한다.
  • 그러나 아직까지는 통제어휘와 폭소노미를 모두 색인과 검색에 사용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또는 폭소노미에 통제어휘 개념을 적용하여 태그 통제를 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여 검색 효율성 측면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한 연구는 거의 없는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태그의 동등어, 동의어 및 관련어를 질의 확장시에 사용한 경우와 사용 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여 검색 효율성 측면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실험을 통해서 증명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폭소노미의 대중성과 편리성을 통제 어휘의 시맨틱 구조와 결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 환경에서의 태그의 통제 효과를 조사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태그의 동등어, 동의어 및 관련어를 질의 확장 시에 사용하여 태그를 통제한 후 시맨틱 검색을 한 경우와 태그를 전혀 통제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여 검색의 재현율, 정확률 및 만족도 측면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실험을 통해서 증명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통합 방식의 기초 연구로 개념 기반의 이미지 색인과 검색에 초점을 맞춰서 어떤 연구와 기술이 진행되어 오고 있는지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전통적으로 개념 기반 이미지 색인은 사서 또는 색인자에 의해서 수행되어 오고 있으나 최근 폭소노미의 등장으로 일반 이용자에 의해서도 색인 작업이 수행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태그에 언어 통제를 한 경우와 하지 않는 경우와는 검색의 재현율과 정확률 그리고 이용자 만족도 측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세 개의 연구 가설을 이끌어 내었다.
  • 본 장에서는 통제어휘 기반으로 기술되어 있는 위스콘신대학 도서관의 디지털 장서와 태그로 조직되어 있는 플리커의 자료를 비교해 보고 그 차이점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위스콘신대학 도서관의 디지털 장서는 미국의 지리학회 도서관, 아카이브, 특수 장서 및 커리큘럼 도서관 장서에서 41,000개 이상의 사진 이미지, 지도 및 책을 포함하고 있다.
  • Hayman(2007)은 통제어휘인 시소러스에 의해 관리되는 폭소노미 모형을 소개하였다. 이 연구는 태그의 입력창에 이용자가 태그를 입력하면 등록되어 있는 시소러스를 제공하여 입력하려는 태그와 일치하거나 관련된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시소러스 사용은 선택 사항이긴 하지만 폭소노미 고유의 특성을 잃어버릴 우려가 있다고 본다.
  • 이 연구는 사람들에게 이미지에 태그를 할당하게 한 다음, 이러한 태그들은 통제어휘와 비교해 보았는데, 상당 부분 이 두 언어가 일치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통제 어휘와 함께 태그가 색인어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은 것이다. 또한 탐색시에 태그 구름과 폭소노미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은 SCIE(Social Care Institute for Excellence's) 어휘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 이외에 구조화된 폭소노미 기반 시스템의 검색시 질의 확장 방법(동의어 사용, 관련어 사용, 동의어/관련어 사용 및 동의어/관련어 모두 사용 안함)이 검색 효율성(재현율과 정확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 문제를 조사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연구 가설 1: 구조화된 폭소노미 기반 시스템과 태그 기반 시스템간의 검색 재현율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연구 가설 2: 구조화된 폭소노미 기반 시스템과 태그 기반 시스템간의 검색 정확률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연구 가설 3: 구조화된 폭소노미 기반 시스템과 태그 기반 시스템간의 이용자 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콘텐츠 기반 색인은 어떻게 동작하는가? 개념 기반 색인은 사람들에 의해서 이미지 속성과 시맨틱 내용이 언어적으로 확인되고 기술된다. 반면, 콘텐츠 기반 색인은 색, 모양 또는 텍스처와 같은 이미지 특성들이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자동으로 확인되고 추출되어 생성된다(Matusiak 2006).
개념 기반 색인은 어떻게 동작하는가? 이미지 색인에 대한 접근은 크게 두 가지 즉, 개념 기반 색인과 콘텐츠 기반 색인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개념 기반 색인은 사람들에 의해서 이미지 속성과 시맨틱 내용이 언어적으로 확인되고 기술된다. 반면, 콘텐츠 기반 색인은 색, 모양 또는 텍스처와 같은 이미지 특성들이 컴퓨터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자동으로 확인되고 추출되어 생성된다(Matusiak 2006).
베를린의 응용과학대에서 제공하는 Pixolu는 어떻게 동작하는가? 베를린의 응용과학대에서 제공하는 Pixolu가 그 중 하나이다(Pixolu 2009). 이 시스템은 개념(키워드)으로 이미지를 검색한 후 검색된 이미지 중에 하나를 선택하면 그 이미지와 비슷한 이미지를 콘텐츠 기반으로 분석하여 재검색해준다. 이러한 통합 방식은 개념 및 콘텐츠 기반의 색인 이론과 기술에 의해서 더 효율적으로 발전할 것이며 또한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김민경. 2010. 폭소노미를 활용한 이미지 검색의 효율성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Min-Kyung Kim. 2010. A study on Improving the Search Efficiency of Image Data Using Folksonomies. Graduate Thesis, Myongji University.) 

  2. 김현희, 김민경. 2009. 플리커 이미지 자료에 대한 이용자 태깅 행태 분석과 활용 방안. 정보관리연구, 40(2): 71-94. (Hyun-Hee Kim, & Min-Kyung Kim. 2009. "Investigating the End-User Tagging Behavior and its Implications in Flickr."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0(2): 71-94.) 

  3. 이강표 외. 2008. FolksoViz: Wikipedia 본문을 이용한 상하위 관계 기반 폭소노미 시각화 기법. 정보과학회논문지: 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14(4): 401-411. (Kangpyo Lee, et al. 2008. "FolksoViz: A Subsumption-based Folksonomy Visualization Using the Wikipedia." Journal of KIISE: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14(4): 401-411.) 

  4. 이선숙. 2008. OntoSonomy: 온톨로지 기반의 폭소노미 확장법.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컴퓨터정보통신공학과. (Sun-Sook Lee. 2008. OntoSonomy: Ontology-based Extension of Folksonomy. Graduate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5. 이성숙. 2008. 대학도서관 폭소노미 태그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463-480. (Sung-Sook Lee. 2008. "A Study on Form of Folksonomy Tags in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4): 463-480.) 

  6. 이시화 외. 2008. Web2.0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이미지 검색을 위한 태그 클러스터링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11(8): 1169-1178. (Si-Hwa Lee, et al. 2008.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ag Clustering System for Efficient Image Retrieval in Web2.0 Environment."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 11(8): 1169-1178.) 

  7. 이정미. 2007. 폭소노미의 개념적 접근과 웹정보 서비스에의 적용. 한국비블리아 학회지, 18(2): 141-159. (Jeong-Mee Lee. 2007. "A Conceptual Access to the Folksonomy and Its Application on the Web Information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8(2): 141-159.) 

  8. 최윤희. 2009. 폭소노미에서 위치태그 분석을 통한 공간관계 추출 기법.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컴퓨터정보통신공학과 (Yun-Hee Choi. 2009. Extraction method of spatial relation by analyzing location tag in folksonomy. Graduate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9. 한승희. 2009. 집단지성을 활용한 시소러스 갱신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6(3): 25-43. (Seung-Hee Han. 2009. "Thesaurus Updating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Based on Wikipedia Encyclopedi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6(3): 25-43.) 

  10. Bar-Ilan, J., et al. 2008. "Structured versus unstructured tagging: a case study." Online Information Review, 32(5): 635-647. 

  11. Bruce, R. 2008. "Descriptor and folksonomy concurrence in education related scholarly research." Webology, 5(3). [online]. . 

  12. Choi, Y., & Hsieh-Yee, I. 2008. "Subject access for images in an OPAC." Proceedings of the ASIST Annual Meeting. Columbus, Ohio. 

  13. Daly, E., & Ballantyne, N. 2009. "Ensuring the discoverability of digital images for social work education: an online "tagging" survey to test controlled vocabularies." Webology, 6(2). [online]. . 

  14. Gurel, M. 2009. Expert assisted exploration of photographs: Supporting users in exploring visual media through subjective aesthetic attributes and crowd-sourced tags. M.A. thesis, University of Dublin. 

  15. Guy, M., & Tonkin, E. 2006. "Tidying up tags?" D-Lib Magazine, 12(1). [online]. . 

  16. Hammond, T., Hannay, T., Lund, B., & Scott, J. 2005. "Social bookmarking tools (I)." D-Lib Magazine, 11(4). [online]. . 

  17. Hayman, S. 2007. "Folksonomies and tagging: New developments in social bookmarking." Proceedings of the Ark Group Conference: Developing and Improving Classification Schemes. [online]. . 

  18. Kern. R., Granitzer, M., & Pammer, V. 2008. "Extending folksonomies for image tagging." Ninth International Workshop on Image Analysis for Multimedia Interactive Services, 7-9 May 2008. 126-129. 

  19. Kolbitsch, J. 2007. "WordFlickr: A solution to the vocabulary problem in social tagging systems." Proceedings of I-MEDIA '07 and I-SEMANTICS '07, Sept 2007. Graz, Austria. 

  20. Lawson, K. G. 2009. "Mining social tagging data for enhanced subject access for readers and researcher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5(6): 574-582. 

  21. Lin, X., et al. 2006. "Exploring characteristics of social classification." Proceedings of the 17th ASIS&T SIG/CR Classification Research Workshop, Austin, Texas (US). 

  22. Matusiak, Krystyna K. 2006. "Towards user-centered indexing in digital image collections." OCLC Systems & Services: International Digital Library, 22(4): 283-298. 

  23. Morrison, J. 2008. "Tagging and searching: Search retrieval effectiveness of folksonomies on the World Wide Web."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44: 1562-1579. 

  24. Peters, I., & Stock, W. G. 2007. "Folksonomy and information retrieval." Proceedings of the ASIST Annual Meeting, October 19-24, 2007. Milwaukee, Wisconsin: America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Technology. 

  25. Pixolu. 2009. [online]. . 

  26. Quintarelli, E. 2005. "Folksonomies: Power to the people." ISKO Italy UniMIB meeting, June 24, 2005. Milan: ISKO Italia. 

  27. Rafferty, P., & Hidderley, R. 2007. "Flickr and Democratic Indexing: dialogic approaches to indexing." Aslib Proceedings: New Information Perspectives, 59(4/5): 397-410. 

  28. Rosenfeld, L. 2005. "Folksonomies? how about metadata ecologies?" [online]. . 

  29. Shiri, A. 2009. "An examination of social tagging interface features and functionalities An analytical comparison." Online Information Review, 33(5): 901-919. 

  30. Sinha, P., & Jain, R. 2008. "Classication and annotation of digital photos using optical context data." In CIVR '08: Proceedings of the 200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ent-based image and video retrieval, 309-318, New York, NY, USA: ACM. 

  31. Springer, M., et al. 2008. For the common good: the Library of Congress Flickr pilot project. Washington, DC : Library of Congress. 

  32. Steele, T. 2009. "The new cooperative cataloging." Library Hi Tech, 27(1): 68-77. 

  33. Thomas, M., et al. 2009. "To tag or not to tag?" Library Hi Tech, 27(3): 411-434. 

  34. Trant, J. 2003. "Image retrieval benchmark database service: a needs assessment and preliminary development plan." [online]. . 

  35. Vander Wal, T. 2007. "Folksonomy coinage and definition." [online]. . 

  36. Yi, K, & Chan, L. M. 2009. "Linking folksonomy to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Documentation, 65(6): 872-900. 

  37. Yoon, J. 2009. "Towards a user-oriented thesaurus for non-domain-specific image collections." 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45: 452-4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