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소아 간질 환자에서 항경련제 치료 후 간질파의 변화
Change of interictal epileptiform discharges after antiepiletic drug treatment in childhood epilepsy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53 no.4, 2010년, pp.560 - 564  

김문주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남상욱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항경련제는 대뇌의 여러 신경전달물질의 합성과 분비, 대사과정에 영향을 미쳐 간질파의 발생을 변화시키고 임상적인 경련 조절 효과를 나타낸다. 저자들은 소아 간질 환자에서 항경련제 치료 후 뇌파의 간질파 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1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뇌파 검사를 시행한 후 소아 간질로 처음 진단받고 최소 6개월 이상 항경련제 치료를 지속한 환자 중 6-12개월 간격으로 정기적인 뇌파검사를 시행한 만 1세에서 15세까지의 257명(남아 151명, 여아 106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항경련제의 투여 전과 최근의 뇌파를 기준으로 간질파 유무에 따라 네 군으로 나누어 성별, 진단 시 연령, 경련 형태, 간질 원인, 치료 기간, 사용한 항경련의 개수, 경련 조절 여부 등을 비교분석 하였다. 결 과: 대상 환아의 치료 시작 시 평균 연령은 $6.79{\pm}3.40$세였고,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2.48{\pm}1.85$년이었다. 항경련제 치료 전후 간질파에 변화가 없는 환아는 176명(68.5%), 간질파가 변한 환아는 81명(31.5%)이었다. 항경련제 치료 전후 모두 간질파를 보인 군(1군)은 110명(42.8%), 치료 전 간질파가 있었으나 치료 후 간질파가 사라진 군(2군)은 61명(23.7%), 치료 전에 간질파가 없었으나 치료 후 간질파를 보인 군(3군)은 20명(7.8%), 치료 전후 간질파가 모두 없던 군(4군)은 66명(25.7%)이었다. 약물치료 기간은 1군에서 $2.42{\pm}1.81$년, 2군에서 $3.06{\pm}1.80$년, 3군에서 $2.75{\pm}1.94$년, 4군에서 $1.95{\pm}1.81$년으로, 치료 전에 간질파가 있었으나 치료 후 간질파가 소실된 2군에서 약물 치료 기간이 의미 있게 가장 길었다($P$=0.007). 경련 형태에서 전신 발작을 보인 경우는 1군에서 18.2% (20/110례), 2군에서 31.1% (19/61례), 3군에서 20.0% (4/20례), 4군에서 43.9% (29/66례)로 최종 뇌파 검사에서 간질파가 없었던 2, 4군에서 전신 발작이 유의하게 많았다($P$=0.002). 그 외 각 군에서 성별, 간질 원인, 사용한 항경련제의 개수, 발작 조절 여부, 진단 시 뇌파에 배경파 이상 유무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 론: 간질파의 출현은 항경련제 치료 중 1/3의 환자에서 변화가 있었으며 최종 뇌파에서 간질파가 없는 군에서 전신 발작의 환자가 많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Electroencephalography (EEG) findings can play a critical role in a variety of decisions, including initiation and withdrawal of antiepileptic drugs (AEDs) therapy. Interictal epileptiform discharges (IEDs) are predictor of recurrent seizures. We investigated IEDs in EEG after AED therap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저자들은 소아 간질 환자에서 항경련제 치료 후 뇌파의 간질파 변화의 양상을 분석하고, 항경련제 치료 전과 후의 간질파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규명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 세계적으로 존재하는 간질 환자의 수는? 발작(seizure)은 비교적 흔한 신경학적 증상으로 전 인구의 10% 정도에서 발생하고, 간질(epilepsy)은 자발적으로 반복되는 발작을 주 증상으로 하는 신경학적 질환으로 전 인구의 3%이상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1, 2) . 전 세계적으로 약 5천만명 정도의 간질 환자가 있고 새롭게 간질로 진단받는 환자의 1/4이상이 소아이며 약 70%의 환자는 항경련제 복용으로 경련이 조절된다3, 4).
항경련제는 어떻게 신체에 작용하는가? 목 적 : 항경련제는 대뇌의 여러 신경전달물질의 합성과 분비, 대사과정에 영향을 미쳐 간질파의 발생을 변화시키고 임상적인 경련 조절 효과를 나타낸다. 저자들은 소아 간질 환자에서 항경련제 치료 후 뇌파의 간질파 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항경련제 치료 전 검사한 뇌파에서 배경파가 정상인 환자군과 비정상인 환자군으로 나누어 간질파 변화 여부를 분석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도 항경련제 치료 전 검사한 뇌파에서 배경파가 정상인 환자군과 비정상인 환자군으로 나누어 간질파 변화 여부에 대해 분석한 결과 두 군 사이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항경련제로 치료하는 소아 간질 환자의 1/3에서 간질파의 변화를 보였고, 최종 뇌파에서 간질파가 없는 군에서 전신 발작의 환자가 상대적으로 많았고 치료 기간이 길어질수록 뇌파에서 변화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복용하는 항경련제의 종류를 고려하지 않고 복용하는 약물의 수와 치료 기간 등만 고려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는데, 각 항경련제의 간질파에 대한 영향이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는 만큼, 약물의 종류를 고려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Shneker BF, Fountain NB. Epilepsy. Dis Mon 2003;49:426-78.?? 

  2. Neubauer BA, GroB S, Hahn A. Epileps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Dtsch Arztebl Int 2008;105:319-28. 

  3. Hauser WA, Hesdorffer DC. Epilepsy: frequency, causes and consequences. ? ed(추가해주세요). New York: Demos publications, 1990:197-243. 

  4. Camfield PR, Camfield CS. Antiepileptic drug therapy: When is epilepsy truly intractable? Epilepsia 1996;37 Suppl 1:S60-5. 

  5. Macdonald RL, Kelly KM. Antiepileptic drug mechanisms of action. Epilepsia 1995;36 Suppl 2:S2-12. 

  6. Gotman J, Koffler DJ. Interictal spiking increases after seizures but does not after decrease in medication.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89;72:7-15. 

  7. Buchtal F, Svensmark O, Simonsen H. Relation of EEG and seizures to phenobarbital in serum. Arch Neurol 1968;19: 567-72. 

  8. Kellaway P, Frost JD, Hrachovy RA.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state, ictal and interictal EEG discharges and serum drug levels. Ann Neurol 1978;4:197-202. 

  9. Pressler RM, Robinson RO, Wilson GA, Binnie CD. Treatment of interictal epileptiform discharges can improve behavior in children with behavioral problems and epilepsy. J Pediatr 2005;146:112-7. 

  10. Goodin DS, Aminoff MJ, Laxer KD. Detection of epileptiform activity by different noninvasive EEG methods in complex partial epilepsy. Ann Neurol 1990;27:330-4. 

  11. Marsan CA, Zivin LS. Factor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typical paroxysmal abnormalities in the EEG records of epileptic patients. Epilepsia 1970;11:361-81. 

  12. Salinsky M, Kanter R, Dasheiff RM. Effectiveness of multiple EEGs in supporting the diagnosis of epilepsy: an operational curve. Epilepsia 1987;28:331-4. 

  13. Van Wieringen A, Binnie CD, De Boer PT, Van Emde Boas W, Overweg J, De Vries J. Electroencephalographic findings in antiepileptic drug trials: a review and report of 6 studies. Epilepsy Res 1987;1:3-15. 

  14. Duncan JS. Antiepileptic drugs and the electroencephalogram. Epilepsia 1987;28:259-66. 

  15. Ben-Menachem E, Treiman DM. Effects of gamma-vinyl GABA on interictal spikes and sharp waves in patients with intractable complex partial seizures. Epilepsia 1989;30:79-83. 

  16. Marciani MG, Stanzione P, Maschio M, Spanedda F, Bassetti MA, Mattia D, et al. EEG changes induced by vigabatrin monotherapy in focal epilepsy. Acta Neurol Scand 1997;95: 115-20. 

  17. Hammond EJ, Wilder BJ. Effects of gamma-vinyl-GABA on the human electroencephalogram. Neuropharmacology 1985; 24:975-84. 

  18. Jongmans JWM. Report of the antiepileptic action of tegretol. Epilepsia 1964;5:74-82. 

  19. Sachdeo R, Chokroverty S. Increasing epileptiform activities in EEG in presence of decreasing clinical seizures after carbamazepine. Epilepsia 1985;26:522-27. 

  20. Wilkus RJ, Dodrill CB, Troupin AS. Carbamazepine and the electroencephalogram of epileptics: a double-blind study in comparison to phenytoin. Epilepsia 1978;19:283-91. 

  21. Brazil CW, Pedley TA. General principles. Neurophysiological effects of antiepileptic drugs. In: Levy RH, Mattson RH, Meldrum BS, Perucca E, editors. Antiepileptic drugs. 5th ed. New York: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2:23-35. 

  22. Veauthier J, Haettig H, Meencke HJ. Impact of levetiracetam add-on therapy on different EEG occipital frequencies in epileptic patients. Seizure 2009;18:392-5. 

  23. Pro S, Vicenzini E, Pulitano P, Li Voti P, Zarabla A, Randi F, et al. Effects of levetiracetam on generalized discharges monitored with ambulatory EEG in epileptic patients. Seizure 2009;18:133-8. 

  24. Ludwig BI, Ajmone-Marsan C. EEG changes after withdrawal of medication in epileptic patients.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75;39:173-81. 

  25. Marossero F, Cabrini GP, Sironi VA. Correlations of anticonvulsant plasma levels with depth EEG recordings in epileptic patients.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77; 43:527-33. 

  26. Gotman J, Marciani MG. Electroencephalographic spiking activity, drug levels and seizure occurrence in epileptic patients. Ann Neurol 1985;17:597-603. 

  27. Binnie CD. EEG and blood levels of antiepileptic drugs.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82;36:504-12. 

  28. Binnie CD, Marston D. Cognitive correlates of interictal discharges. Epilepsia 1992;33 Suppl 6:S1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