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후변화 연동 지하수 함양량 산정 모델 개발 및 정책방향 고찰
Review of Policy Direction and Coupled Model Development between Groundwater Recharge Quantity and Climate Change 원문보기

환경정책연구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v.9 no.2 = no.25, 2010년, pp.157 - 184  

이명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이정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전성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홍현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실질적인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산정 모델 개발 및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변화를 산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고,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연구지역의 미래 시기별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수자원 통합관리방안에 대한 정책적 사항을 제안하였다. 연구지역은 낙동강 본류를 포함하는 경상북도 칠곡군, 구미시 일부 및 대구시 북구 일부이며, 최종 연구결과는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시기별 강우량, 함양률, 함양량을 추정하였다. 함양량 및 함양률은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의 변화와 함께 변화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기후변화와 지하수 함양량의 불명확한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미래 기후변화 예측 결과를 반영한 연구지역 내 지하수 함양률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산정하고, 기존 산정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향후 기후변화를 고려한 국내 지하수 수자원의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연계모델의 고도화 방안 및 현장조사가 추가된다면 보다 정량적으로 기후변화와 지하수 함양량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수자원으로 이용이 증가될 지하수의 전반적인 관리 및 효율적인 운영체제 구축을 위한 한 축을 차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lobal climate change is destroying the water circulation balance by changing rates of precipitation, recharge and discharge, and evapotranspiration.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7) makes "changes in rainfall pattern due to climate system changes and consequent shortage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주로 기후변화 예측치를 연동한 지하수 함양량 산정 방법론 및 모델 개발에 중점을 두었으며, 모델을 적용한 시범지역 역시 유역 전체를 대표할 수 없기 때문에 국내 지하수 수자원 관리에 관한 구체적인 방안을 수립하기는 어려우나,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국내 지하수 수자원의 양적 관리에 관한 다음과 같은 정책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기후변화와 지하수 함양량의 불명확한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미래 기후변화 예측 결과를 반영한 연구지역 내 지하수 함양률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산정하고, 기존 산정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향후 기후변화를 고려한 국내 지하수 수자원의 관리방안 수립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연계모델의 고도화 방안 및 현장조사가 추가된다면 보다 정량적으로 기후변화와 지하수 함양량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향후 전반적인 물관리 및 물안보 체제 구축을 위한 한 축을 차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 본 연구에서는 실질적인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산정 모델 개발 및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적정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선정하였으며, 적정 지하수 유동 모델링을 선정하였다. 또한 지리정보시스템과의 연계방법을 제시하여 기후변화 연동 지하수 함양량 산정 모델 개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유역 차원에서 기후변화에 의한 지하수 함양량 추정 및 산정 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는 실질적인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제공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중 지하수 함양량 산정에 필요한 적정 시나리오를 선정하였다.
  • 둘째, 목적에 부합하느냐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 기후변화 예측을 통한 지하수 함양량의 변화를 유추하는 것이다. 이 목적에 부합하는 모형은 개념적인 모형이 아닌 분포형 또는 준분포형 모형이다.
  • 개발된 기법을 연구지역에 적용하여 실제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지하수 함양량을 미래 시기별로 추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수자원 통합관리방안에 대한 정책적 사항을 제안하였다.
  • 여섯째, 향후 기후변화를 고려한 국내 지하수 수자원의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지역규모에서 기후변화 연동 지하수 함양량의 시계열 분석의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기준 배출 시나리오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미래의 기후정책에 대하여 어떠한 가정도 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SA90 시나리오에서는 에너지 공급은 석탄 집약적이고 에너지 수요는 효율성이 증대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산화탄소의 억제가 낮게 이루어진다면, 열대림이 소멸될 때까지 산림의 황폐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농업에서의 메탄가스와 아산화질소는 제어하지 않았다 (Convery et al.
  • 3℃/10yr의 비율로 증가하여, 2025년에는 현재보다 약 1℃ 증가하고, 21세기 말에는 3℃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Scenario B에서는 0.2℃/10yr, Scenario C에서는 0.1℃/yr 이상, Scenario D에서는 약 0.1℃/10yr의 비율로 가정하였다(IPCC, 1990).
  • 대부분의 장기 지하수 유동모델들은 이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목적에 부합하느냐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이 기후변화 예측을 통한 지하수 함양량의 변화를 유추하는 것이다.
  • 이 목적에 부합하는 모형은 개념적인 모형이 아닌 분포형 또는 준분포형 모형이다. 셋째, 유역특성, 시 · 공간 규모 문제 등 모형의 제한점에 대한 것이다. 즉, 모형은 다양한 유역조건과 규모에 대해서 적용 가능해야 하고, 계산 시간간격도 사용자가 적절히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 그러므로 특히 HELP3는 본 연구의 목적인 기후자료와 연동이 가능하며, 지하수 함양량 산정도 가능하다. 위 두 가지 기능을 연계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량 산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변화는 어떤 상황을 초래하였는가?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변화는 극대홍수 및 극대가뭄의 빈번한 발생으로 인한 인류 사회의 효과적 대응 및 적응을 실시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에 가장 빠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하는 분야로 ‘수자원 및 이수’를 지적하는 데는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없다.
우리나라의 연간 지하수 사용량은 어느 정도인가? 즉, 미래 우리나라의 기후사상 변화 예측 결과를 중‐장기적 수자원 이용 및 관리에 관한 국가 제반 계획에 명확히 반영해야 하며, 이에는 지하수 수자원도 포함된다. 현재 우리나라의 연간 지하수 사용량은 약 37억 톤으로서, 전체 수자원 사용량의 10% 정도에 불과하나, 국내 전체 지하수 이용 가능량의 35%를 상회하고 있으며, 지역적 이용량의 차이가 큰 특징이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 사상이 변할 경우, 계절적 또는 지역적으로 지하수 수자원의 적절한 이용이 난이할 수 있으며, 이는 2009년 초 동절기 가뭄에서 그 폐해를 충분히 겪은 예가 있다.
강우량이 가장 많은 기간에 함양량도 가장 많음을 통해 무엇을 알 수 있는가?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 함양률의 변화는 강우량과 함양량의 관계는 강우량이 가장 많은 기간(2031~2050년)에 가장 많은 함양량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고려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함양률 변화는 강수량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유출곡선지수에 따른 함양량 변화는 크게 영향을 받지는 않으나, 지수값이 불투수층에 가까운 지역일수록 함양률이 급격히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시계열 지하수 함양량 분석 결과 점진적으로 지하수 함양량이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