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기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with School Aged Children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8 no.1 = no.257, 2010년, pp.1 - 14  

이사라 (세종사이버대학교 아동보육복지학과) ,  박지숙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협동과정)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culture-specific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with school aged children, and to investigate how this program affected their overall parenting behavior. We ran an 8-week session program for parents with first, second and third elementary s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 후 실습 및 토론시간에서는 부모역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 활동을 한다. 2회기에서는 요구도 조사 결과 학령기 아동의 발달영역에서 사회성 발달, 인지발달, 언어발달 순으로 요구가 나타났으므로, 학령기 아동의 발달특성에서 사회성, 인지, 언어발달에 대한 지식적인 부분과 이 시기에 바람직한 부모역할에 대한 강의를 하고 실습 및 문제해결 시간에서는 자신의 양육태도에 대한 고찰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각 발달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3회기에서는 학령기 아동을 위한 자녀양육정보영역에서 자녀와의 바람직한 대화법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던 것을 근거로, 부모-자녀의 상호존중적 대화를 주제로 학령기 자녀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강의와 실제적인 기술을 알려주고 배운 내용을 실제 적용해보는 실습시간을 갖는다.
  • 본 프로그램은 학령기 아동의 발달연령에 적합한 부모의 양육행동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궁극적으로는 부모의 양육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며 이를 통해 부모자녀 관계의 향상을 이루고 바람직한 부모상과 건강한 가족을 형성하도록 돕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거의 없는 현실에서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하고 여러 발달단계가운데 학령기 아동의 부모자녀관계에 적절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보급을 위한 기초연구가 되고자 한다. 또한, 본 학령기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통하여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에 대한 직접적인 교육프로그램 제공과 함께 초등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앞에서 살펴본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모든 연령대가 혼재되어 있는 대중을 위한 일회성 프로그램이 아닌 지속적인 교육을 통한 발달단계별로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것이다. 본 프로그램은 국내외 연구논문과 저서들(박성연 외, 2006; 예서현, 2004; 이명숙,2003; Luster & Kein, 1987; Mahoney, et al.
  • 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거의 없는 현실에서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우리나라 상황에 적합하고 여러 발달단계가운데 학령기 아동의 부모자녀관계에 적절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보급을 위한 기초연구가 되고자 한다. 또한, 본 학령기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통하여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에 대한 직접적인 교육프로그램 제공과 함께 초등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학령기 부모교육프로그램이 부모의 바람직한 양육을 증진시킬 수 있는지 그 효과에 대한 검증을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초등학교 1, 2, 3학년 자녀를 둔 15명의 어머니들로 구성된 실험집단과 15명의 어머니들로 구성된 통제집단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실험집단 어머니들에게 8주 동안 1주에 120분씩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8회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방식이었다.
  • <연구문제 1>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그 효과가 어떠한가?
  • 본 프로그램은 학령기 아동의 발달연령에 적합한 부모의 양육행동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궁극적으로는 부모의 양육행동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며 이를 통해 부모자녀 관계의 향상을 이루고 바람직한 부모상과 건강한 가족을 형성하도록 돕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개발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사전점수에 대한 차이분석을 한 결과 <표 4>와 같이 나타났다. 실험-통제집단 간 사전점수 차이분석은 사후검사를 비교하는 타당성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표본의 표집에 있어서 완벽한 동질성을 확보하지 못했기에 사전검사를 통해 종속변인들의 점수차이를 분석하여 그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을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 실험-통제집단 간 사전점수 차이분석은 사후검사를 비교하는 타당성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표본의 표집에 있어서 완벽한 동질성을 확보하지 못했기에 사전검사를 통해 종속변인들의 점수차이를 분석하여 그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을 밝히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부모의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지식에 대한 사전 검사 점수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갈등해결방법요인을 제외하고는 다른 변인들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모교육이란? 부모교육은 부모 또는 주양육자에게 자녀를 위한 특정한 지식과 양육기술을 제공하는 과정으로(Mahoney, et al., 1999), 부모교육을 통해 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향상을 이끌어 내고 양육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기대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부모교육은 부모가 역할 수행을 하는데 변화를 주기 위해 제공하는 교육적 활동이며(Brim, 1965), 자녀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변화시키려고 시도하는 목적적인 학습활동(Croake & Glover, 1977)이고, 부모에게 자녀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증진시켜 사고와 감정 그리고 행동에 있어서 습관적인 방법을 돌이켜 검토해 보도록 함과 동시에 자녀를 양육하는 새로운 방법을 습득하도록 하는 다양한 교육적 경험을 포함한다(이재연, 김경희, 1992).
초기 청소년기 아동의 인터넷에 기반을 둔 커뮤니케이션이 부모교육과 관련하여 갖는 의미는? 인터넷에 기반을 둔 커뮤니케이션은 아이들이 자아를 인식하고 자기만의 세계를 구축하기 시작하는 초기 청소년기에 이루어진다(Tapscott, 1998). 이러한 인터넷 문화는 초등학생들이 빠르게 사춘기 갈등을 겪을 수 있다는 점을 암시한다. 또한 아동의 사회생활 범위가 확대되고 부모의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시기임과 동시에 자녀를 객관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자녀의 발달을 지도해야 하는 시기이므로 부모는 자녀를 양육하고 지도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이는 이전 시기와는 다른 부모의 훈육방법이 필요함을 의미하고 부모의 양육이 신체적인 양육에서 점차 심리적인 양육에 중점을 두어야 함을 의미한다(도현심 외, 2005). 따라서 학령기 자녀를 둔 부모의 자녀양육방식과 부모역할에 대한 지식의 전달과 부모교육이 필요하고, 이 시기 부모의 역할은 다른 어느 시기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현재 시행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나? 현재 시행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민주주의 부모교육 이론에 근거한 STEP(Systematic Training for Effective Parenting)이나 인본주의 부모교육 이론을 기초로 한 Gordon의 PET(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Adler와 Dreikurs, Rogers의 AP(Active Parenting) 등이 있다(박성연 외, 2006). 이 외에도 현재 다양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지만, 전문 교육기관이나 전문가들에 의해서 시행되기 보다는 대중매체를 통해 대중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대부분 일회성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다(민보경, 김성원,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강명희(2002). 가정통신문을 통한 PET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공병진(1992). 부모효율성 훈련(PET)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성자(2003). 유치원에서의 부모교육을 통한 어머니의 양육 태도.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정옥, 구향숙(2007). 초등학생 부모자녀 관계향상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1), 113-125. 

  5. 김정원, 이기숙(1999).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0(3), 183-197. 

  6. 김진영, 김정원, 전선옥(2006). 유아.부모.교사를 위한 부모교육. 파주: 창지사. 

  7. 도현심, 이희선, 김상희, 최미경, 이사라(2005). 인간발달과 가족. 파주: 교문사. 

  8. 민보경, 김성원(2008). 과학영재아 부모들의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823-831. 

  9. 박성연(2006). 아동발달. 파주: 교문사. 

  10. 박성연, 김상희, 김지신, 박응임, 전춘애, 임희수(2006). 부모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11. 박현미(2003). 웹 기반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예서현(2004).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효능감 및 부모-자녀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우영효(2001). 부모교육의 방향. 유아교육, 10(1), 97-108. 

  14. 윤미정(1998).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이원영, 배소연(1999).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 아동학회지, 21(2), 17-31. 

  16. 이재연, 김경희(1992). 부모교육. 서울: 양서원. 

  17. 임희수(2001).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정영숙(1998). 대상에 따른 부모교육 변별화 요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4, 27-52. 

  19. 최미경, 신정희, 구현경, 박선영, 한현아, 최단비(2008).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와 부모교육 지식수준 및 요구도. 아동학회지, 29(5), 227-242. 

  20. Abidin, R. R.(1990a).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The stress of parenting. Journal of Psychology, 19(4), 298-301. 

  21. Abidin, R. R.(1990b). Pareting stress index.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22. Baumrind, D.(1971). Current patterns of parental authority. Developmental Psychology Monograph, 4(No.1, Pt.2). 

  23. Brim, O.(1965). Education for child rearing. NY: Russell Sage Foundation. 

  24. Croake, J. W., & Glover, K. E.(1977). A history and evaluation of parent education. Family Coordinator, 26(2), 151-158. 

  25. Dempsey, L., & Dunst, C. J.(2004). Helping styles and parent empowerment in families with a young child with a disability. Journal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29(10), 40-51. 

  26. Desjardin, J. L.(2003). Assessing parental perceptions of self-efficacy and involvement in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hearing loss. Volta Review, 103(4), 391-409. 

  27. Luster, Y., & Kein, E. L.(1987). The relation between family context and perceptions of parental efficacy.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29, 301-311. 

  28. Mahoney, G., & Bella, J.(1998). An examination of the effects of family-centered early intervention on child and family outcomes.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8, 83-94. 

  29. Mahoney, G., Kaiser, A., Girolametto, L., MacDonald, J., Robinson, C., Safford, P., et al.(1999). Parent education in early intervention: A call for a renewed focus.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9, 131-140. 

  30. Kotchick, B. A., Forehand, R., Brody, G., Armistead, L., Simon, P., & Clark, L.(1997). The impact of maternal HIV infection on parenting in innercity african american familie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1(4), 447-461. 

  31. Scheel, M. J., & Rieckmann, T.(1998). An empirically derived description of self-efficacy and empowerment for parents of children identified as psychologically disordered.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15-27. 

  32. Siegler, R. S.(1986). Children's thinking(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3. Stevenson-Hinde, J.(1998). Parenting in different cultures: Time to focus. Developmental Psychology, 34(4), 698-700. 

  34. Tapscott, D.(1998). Growing up digital: Net generation. New York: McGraw-Hill. 

  35. Teti, D. M., & Gelfand, D. M.(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year: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 918-929. 

  36. Trommsdorff, G., & Kornadt, H. J.(2003). Parent-child relations in cross-cultural perspectives. In L. Kuczynski(Ed.), Handbook of dynamics in parentchild relations(pp.271-306). London: Sage. 

  37. Whipple, E. E., & Webster-Stratton, C.(1991). The role of parental stress in physically abusive families, Child Abuse & Neglect, 15, 279-2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