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보육지식과 어머니-교사 의사소통과의 관계
Maternal Knowledge of Childcare and Its Effects on Mother-Teacher Communication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8 no.2 = no.258, 2010년, pp.1 - 12  

안선희 (경희대학교 아동가족)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knowledge of childcare and mother-teacher communication.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40 mothers whose children were enrolled at seven childcare centers in Seoul. Respondents were asked to complete a series of ques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과 같은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보육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머니들의 보육지식 즉 보육시설의 특징, 학급의 크기, 교사의 경력 및 학력이나 훈련과정과 하루 일과와 관련된 활동 등등의 보육프로그램에 대해 어느 정도나 알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어머니의 보육지식이 어머니-교사와의 의사소통 수준 및 보육시설 이용기간, 자녀의 연령, 교육수준과 관련이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본 연구에 의해 산출된 결과는 보육 프로그램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이와 같이 부모-교사간의 의사소통이 빈번하지 않고 부모참여 활동도 소극적인 수준이면 보육의 효과를 높일 수 없을 뿐더러 부모들은 보육서비스에 관한 정보나 지식도 부족할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육에 관한 부모의 지식이 보육교사와의 의사소통 수준과 실제로 관련이 있는지 파악해보자 한다. 지금까지 보육지식을 조사한 국외의 연구들에서는 단순히 실태만을 파악하거나 보육환경의 특정영역에 한하여 조사가 이루어졌을 뿐 부모-교사 의사소통과 보육지식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보육의 질이 향상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보육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로서 부모들이 보육실체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는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보육서비스에 대한 지식 실태를 알아보고 보육지식이 교사와의 의사소통 수준과 관련이 있는지 그리고 어머니의 개인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정리하고 이에 대한 논의와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 이상과 같은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보육서비스를 이용하는 어머니들의 보육지식 즉 보육시설의 특징, 학급의 크기, 교사의 경력 및 학력이나 훈련과정과 하루 일과와 관련된 활동 등등의 보육프로그램에 대해 어느 정도나 알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어머니의 보육지식이 어머니-교사와의 의사소통 수준 및 보육시설 이용기간, 자녀의 연령, 교육수준과 관련이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가설 설정

  • 이상의 목적 하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어머니의 보육서비스에 대한 지식과 어머니-교사간의 의사소통에 대한 전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어머니의 보육지식과 어머니-교사간의 의사소통은 개인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어머니의 보육지식은 어머니-교사간의 의사소통과 관련이 있는가?
  • 한편, 보육서비스에 관한 부모의 지식은 부모참여 수준이나 보육시설과의 의사소통 빈도에 따라 다를 수 있을 것으로 가정된다. 부모들이 보육시설의 여러 행사에 참여하고 보육 종사자들과 접촉이 잦으면 자녀들에게 제공되는 보육프로그램에 관한 각종 정보나 지식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 교육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어떤 변화가 생기는가? 최근 들어 기혼여성의 취업률이 증가하고 유아기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가정이 늘어가고 있다. 2008년 말 보육통계에 의하면 만 0∼5세의 전체 아동 274 만 명 중에 40%인 110 만 명이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으며 보육수요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보건복지가족부, 2009).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이 향상되려면 무엇이 중요하다고 보는가?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이 향상되기 위해서는 좋은 보육정책과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하겠지만 보육서비스를 직접 이용하는 가정의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보육을 선택하는 권리와 책임을 가지고 있는 소비자로서의 부모들이 질 좋은 보육이 무엇인지 알고 보육에 대한 기준이 높으면 그만큼 보육의 질이 향상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가정의 역할이 보육수준의 향상에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보육시설의 질적 수준이 향상되기 위해서는 좋은 보육정책과 제도가 뒷받침되어야 하겠지만 보육서비스를 직접 이용하는 가정의 역할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보육을 선택하는 권리와 책임을 가지고 있는 소비자로서의 부모들이 질 좋은 보육이 무엇인지 알고 보육에 대한 기준이 높으면 그만큼 보육의 질이 향상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자녀에게 제공되는 보육서비스의 수준이 우수한지, 미흡한 지를 부모들이 제대로 분별할 줄 알면 처음부터 좋은 시설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고 질이 낮은 시설은 소비자의 선택을 자연히 받지 못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다소 미흡한 부분이 있는 시설이라 하더라도 보육소비자인 부모가 충분한 보육지식을 가진다면 보육시설과 협력하여 보육의 질이 개선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보육의 수요자로서 부모들이 가지는 보육에 대한 정보나 지식이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공인숙, 한미현, 김영주(2005). 보육학개론. 서울: 교육과학사. 

  2. 김정화(1989). 영아발달에 관한 어머니의 기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박영아(2006). 바람직한 보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어머니의 요구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5(1), 55-69. 

  4. 박화윤, 최재숙(2001). 유치원에서의 어머니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1(4), 391-409. 

  5. 보건복지가족부(2009). 2009 보육통계. 

  6. 안선희(2004). 부모참여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태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3), 27-49. 

  7. 오미연(2005).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양육지식 및 민감성의 비교연구: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이근영, 장유경, 임현정(2004). 영아모의 자녀양육지식 수준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1), 45-63. 

  9. 이종은(2005). 천안.아산지역 보육시설에 대한 부모의 인식, 만족도, 보육요구에 관 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1, 111-136. 

  10. 이주연, 이사라(2006). 부모들의 보육시설 이용기대와 만족도에 대한 부모-교사간의 지각 차이. 한국생활과학회지, 15(6), 905-917. 

  11. 채영란, 정효정(2005). 영아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 유아교육학논집, 9(1), 239-256. 

  12. 최미숙, 박영미(2004).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의사소통에 대한 상호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9(2), 137-160. 

  13. 홍순옥, 김성혜(2008). 어머니의 배경변인에 따른 양육지식과 영아와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9(6), 55-71. 

  14. Benasich, A. A., & Brooks-Gunn, J.(1996). Maternal attitudes and knowledge of child-rearing: Associations with family and child outcomes. Child Development, 67(3), 1186-1205. 

  15. Brand, S.(1996). Making parent involvement a reality: Helping teachers develop partnerships with parents. Young Children, 51(2), 30-34. 

  16. Britner, P. A., & Phillps, D. A.(1995). Predictors of parent and provider satisfaction with child care dimensions: A comparison of center-based and family child day care. Child Welfare, 6, 1135-1168. 

  17. Cyer, D.(1989). Infant child care: Parent perception and child experiences.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Frank Porter Graham Child Development Center, Chapel Hill, NC. 

  18. Cryer, D., & Burchinal, M.(1997). Parent as child care consum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1), 35-58. 

  19. Cryer, D., Tietze, W., & Wessles, H.(2002). Parent's perceptions of their children's child care: Across-national compariso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7(2), 259-277. 

  20. Endsley, R. C., & Minish, P. A.(1991). Parent-staff communication in day care centers during morning and afternoon transi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6(2), 119-135. 

  21. Fantuzzo, J., Tighe, E., & Childs, S.(2000). Family involvement questionnaire: A multivariate assessment of family particip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Educational Psychology, 92(2), 367-376. 

  22. Hayes, C., Palmer, J. L., & Zaslow, M.(1990). Who cares for America's children? Child care policy for the 1990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3. Miller, B., A.(1990). The day care dilemma: Critical concerns for American families. New York: Plenum. 

  24. Olsen, G., & Fuller, M. L.(2003). Home-school relations: Working successfully with parents and families. Boston, MA: Allyn and Bacon. 

  25. Owen, T., Ware, M., & Barfoot, B.(2000). Caregivermother partnership behavior and the quality of caregiver-child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5(3), 413- 428. 

  26. Rassin, G. M., Beach, P. S., McCormick, D., Niebuhr, V. N., & Weller, S.(1991). Health and safety in day care: Parental knowledge. Clinical Pediatrics, 30, 344-349. 

  27. Shinn, M., Phillips, D., Howes, C., Galinsky, E., & Whitebook, M.(1990). Correspondence between mother's perceptions and observer ratings of quality in child care centers. Unpublished manuscript. Dept. of Psychology, New York University, New York. 

  28. Shpancer, N., Bowden, J. M., Ferrell, M. A., Pavlik, S. F., Robinson, M. N., Schwind, J. L. et al.(2002). The gap: Parental knowledge about daycar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2, 635-642. 

  29. Walker, J.(1991). Public policy and the supply of child care services. In D. M. Blau(Ed.), The economics of child care.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