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일상식이섭취량 평가를 위한 반정량적 식품섭취빈도조사지의 개발
Development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Assessing the Usual Dietary Intake of Korean Adolescents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8 no.2 = no.258, 2010년, pp.121 - 134  

이지은 (중앙대학교 가정교육과) ,  김정현 (중앙대학교 가정교육과) ,  정인경 (중앙대학교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 for assessing the usual dietary intake of Korean adolescents. For that, we used 24 hour recall data from the 2005 NHANES(the Third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cumulativ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규모로 조사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일상 식이섭취량 파악을 위한 식품섭취빈도조사지를 개발하고자한다.
  • 본 연구를 통해 선정된 식품섭취빈도조사지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17개 영양소별로 선정된 식품항목들로부터 얻어지는 영양소 섭취량이 총 영양소 섭취량을 어느 정도 반영하는 지를 살펴보았다(표 8). 그 결과 본 연구를 통해 선정된 87개의 식품목록으로부터 얻어진 영양소 섭취량은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청소년 대상자의 영양소 섭취량을 평균 91.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일상 식이섭취량을 파악하기 위한 식품섭취빈도조사지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 선정된 식품목록에 대한 타당성 검토는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및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24시간 회상법 자료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새롭게 개발된 식이섭취빈도조사지의 신뢰도(reliability) 및 타당도(validity)는 설문지개발과 별도로 검증이 이루어져야 하나,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식품목록만으로 대상자가 섭취한 영양소 섭취량이 전체 영양소 섭취량을 어느 정도 반영하는지(coverage)를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를 통해 선정된 식품목록이 타당한가를 검토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식품목록을 다른 대상 집단에 적용하여도 타당성이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청소년(남자 458명, 여자 457명)의 24시간 회상법 데이터를 이용하여 선정된 식품목록이 총 영양소 섭취량을 어느 정도로 반영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에 영양과잉이 되면 생길 수 있는 문제에는 무엇이 있는가? 청소년기는 신체적으로는 제 2차 성징과 같은 급격한 성장 및 발달이 이루어지며, 심리적으로는 자신의 외모에 관심이 많을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는 학업, 입시 등으로 인해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는 시기이므로, 청소년기에 신체적, 정신적 건강 유지를 위해서는 균형 잡힌 영양섭취가 이루어져야 한다. 청소년기에 충분한 영양섭취를 하지 않으면 성장과 발달에 지연이 초래될 수 있고, 반면에 영양과잉이 되면 비만, 소아형 당뇨 및 고혈압 등이 발생할 수 있다(이연숙, 임현숙, 안홍성, 장남수, 2007; Brown, 2005). 뿐만 아니라 이 시기에 영양불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건강문제는 성인기 건강문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청소년기 건강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식품섭취빈도조사법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식이섭취량을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조사할 수 있는 이유는? 식이섭취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24시간 회상법(24 hour-recall), 식사기록법(diet record), 식사력 기록법(diet history), 식품섭취빈도조사법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등이 있으며, 이 중 FFQ는 미리 선정된 식품 리스트와 섭취 빈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대상자에게 제공하여 체크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장기간 동안의 식이섭취량을 파악할 수 있고, 응답자의 응답 부담이 적으며, 자료처리에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어 대규모 역학조사에서 적용이 용이한 방법이다(장유경, 정영진, 문현경, 윤진숙, 박혜련, 2001; Lee & Nieman, 2007). 특히,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의 경우 조사자가 조사를 실시하는 교실에 직접 방문할 수 없고, 학교관계자 및 담임교사를 통해 실시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식품섭취빈도조사지를 이용하면 식이섭취량을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식이섭취량을 측정하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식이섭취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24시간 회상법(24 hour-recall), 식사기록법(diet record), 식사력 기록법(diet history), 식품섭취빈도조사법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등이 있으며, 이 중 FFQ는 미리 선정된 식품 리스트와 섭취 빈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대상자에게 제공하여 체크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장기간 동안의 식이섭취량을 파악할 수 있고, 응답자의 응답 부담이 적으며, 자료처리에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어 대규모 역학조사에서 적용이 용이한 방법이다(장유경, 정영진, 문현경, 윤진숙, 박혜련, 2001; Lee & Nieman, 2007). 특히,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의 경우 조사자가 조사를 실시하는 교실에 직접 방문할 수 없고, 학교관계자 및 담임교사를 통해 실시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식품섭취빈도조사지를 이용하면 식이섭취량을 보다 정확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김미양, 서일, 남정목, 윤지영, 심지선, 오경원(2002). 영양소 섭취의 주요급원식품과 주요변이식품들을 이용한 간소화된 반정량 빈도 조사 도구의 개발 및 평가. 한국영양학회지, 35(2), 250-262. 

  2. 김화영, 양은주(1998).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에 관한 연구. 한국영양학회지, 31(2), 220-230. 

  3.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2002). 소비자가 알기 쉬운 식품영양가표. 서울: 과학원예. 

  4. 대한당뇨병학회(1995). 식품교환표, 2nd Ed., 서울: 대한당뇨병학회. 

  5. 대한영양사협회(1999). 사진으로 보는 음식의 눈대중량. 서울: 대한영양사협회. 

  6. 보건복지부(2006a).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검진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7. 보건복지부(2006b).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영양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8. 오세영, 홍명희(2000). 한국노인을 대상으로 한 영양소 섭취의 주요급원식품과 주요변이식품들을 이용한 간이식품섭취빈도조사지의 개발. 한국영양학회지, 33(4), 429-437. 

  9. 원혜숙, 김화영(2000). 노인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한 반정량적 식품섭취빈도조사지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영양학회지, 33(3), 314-323. 

  10. 이연숙, 임현숙, 안홍석, 장남수(2007). 생애주기영양학. 경기도 파주시: 교문사 

  11. 이해정, 박선주, 김정희, 김초일, 장경자, 임경숙 외(2002). 한국인 50세 이상 성인과 노인을 위한 반정량적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7(2), 277-285. 

  12. 이희자, 이행신, 하명주, 계승희, 김초일, 이충원 외(1997). 대도시 지역 성인의 식이섭취 조사를 위한 간소화된 반정량적 빈도 조사 도구의 개발 및 평가. 지역사회영양학회지, 2(3), 349-365. 

  13. 임경숙, 이태영, 박혜순(2003). 청소년용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8(2), 149-159. 

  14. 장유경, 정영진, 문현경, 윤진숙, 박혜련(2001). 영양판정. 서울: 신광출판사 

  15. 정해랑(1993). 측량기록법에 의한 영양소섭취량의 개인간변이와 개인내변이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한국영양학회(2005).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서울: 국진기획. 

  17. Ahn, Y., Lee, J. E., Paik, H. Y., Lee, H. K., Jo, I., & Kimm, K.(2003). Development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based on dietary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itional Sci, 6(3), 173-184. 

  18. Block, G., Coyle, L. M., Hartman, A. M., & Scoppa, S. M.(1994). Revision of dietary analysis software for the Health Habits and History Questionnaire. Am J Epidemiol, 139, 1190-1196. 

  19. Block, G., Dresser, C. M., Hartman, A. M., & Carroll, M. D.(1985). Nutrient sources in the American diet: Quantitative data from the NHANES II surveys. Am J Epidemiol, 122, 27-40. 

  20. Block, G., Hartman, A. M., Dresser, C. M., Carroll, M. D., Gannon, J., & Gardner, L.(1986). A databased approach to diet questionnaire design and testing. Am J Epidemiol, 124, 453-469. 

  21. Brown, J. E.(2005). Nutrition through the life cycle, Belmont: Thomson Wadsworth. 

  22. Elmstahl S., Riboli, E., Lindgarde, F., Gullberg, B., & Saracci, R.(1996). The Malmo Food Study: the relative validity of a modified diet history method and an extens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measuring food intake. Eur J Clin Nutr, 50(3), 143-151. 

  23. Kemm, J. R.(1987). Eating patterns in childhood and adult health. Nutr Health, 4, 205-215. 

  24. Lee, R. D., Nieman, D. C.(2007). Nutritional assessment. 4th Ed., NY: McGrew-Hill Companies, Inc. 

  25. Mullen, B. J., Krantzler, N. J., Grivetti, L. E., Schutz, H. G., & Meiselman, H. L.(1984). Validity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the determination of individual food intake. Am J Clin Nutr, 39(1), 136-43. 

  26. Overvad, K., Tjonneland, A., Haraldsdottir, J., Ewertz, M., & Jensen, O. M.(1991). Development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food, energy and nutritent intake in Denmark. Int J Epidemiol, 20, 900-905. 

  27. Rimm, E. B., Giovannucci, E. L., Stampfer, M. J., Colditz, G. A., Litin, L. B., & Willett, W. C.(1992). Reproducibility and validity of an expanded self-administer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mong male health professionals. Am J Epidemiol, 135, 1114-1126. 

  28. Rockett, H. R., Wolf, A. M., & Colditz, G. A.(1995). Development and reproducibility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diets of older children and adolescents. J Am Diet Assoc, 95(3), 336-340. 

  29. Sharma, S., Cade, J., Jackson, M., Mbanya, J. C., Chungong, S., Forrester, T., et al.(1996). Development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in three population samples of African origin from Cameroon, Jamaica and Caribbean migrants to the UK. Eur J Clin Nutr, 50, 479-486. 

  30. Stryker, W. S., Salvini, S., Stampfer, M. J., Sampson, L., Colditz, G. A., & Willett, W. C.(1991). Contribution of specific foods to absolute intake and between-person variation of nutrient consumption. J Am Diet Assoc, 91, 172-178. 

  31. Tokudome, S., Ikeda, M., Tokudome, Y., Imaeda, N., Kitagawa, I., & Fujiwara, N.(1998). Development of data-bases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dietary studies in middle-aged Japanese. Jpn J Clin Oncol, 28(11), 679-687. 

  32. Willet, W. C.(1998). Nutritional epidemiology. 2nd Ed. NY: Oxford University Press. 

  33. Willett, W. C., Sampson, L., Stampfer, M. J., Rosner, B., Bain, C., Witschi, J. et al.(1985). Reproducibility and validity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m J Epidemiol, 122, 51-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