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일치적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Intervention Effect of Group Counseling in Improving Self-Esteem, Self-Efficacy and Congruent Communication Style among Female Victims of Family Violence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8 no.4 = no.260, 2010년, pp.103 - 123  

이종원 (서울대학교 아동가족)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on the self-esteem, self-efficacy, and congruent communication style of female victims of family violence. A twice-weekly group counseling consisting of 10 sessions was provided to 5 women residing in shelters in Seoul, South Korea from Octob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정폭력에 노출되어 있는 가족구성원들에 대한 중재의 1단계 작업으로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모자쉼터의 가정폭력 피해여성 5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향상과 자기효능감 향상, 그리고 일치적 의사소통 향상을 위해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였다. 2009년 10월 19일부터 2009년 11월 20일까지 1개월간 총 10회에 걸쳐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자아존중감 향상, 자기효능감 향상, 일치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이 프로그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주관적인 보고와 그들의 실제적인 변화와 성장면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 위와 같은 점들을 고려하여 가정폭력에 노출되어 있는 가족구성원들에 대한 사후중재의 1단계 작업으로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여성쉼터에 머물고 있는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향상과 자기효능감 향상, 그리고 일치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그 효과를 보고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작업은 피해여성에게 실제적인 도움이 되며 가해자에게나 자녀들에게도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가설 설정

  • 1) 프로그램 실험집단(참여자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이후 자아존중감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 2) 실험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이후 자기효능감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사회에서 가정폭력이 법제화되기 시작한 것은 언제인가? 우리사회에서 가정폭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법제화되기 시작한 것은 1998년 7월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과 ‘가정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부터였다. 이 두 법률에서는 ‘가정폭력’을 ‘가정구성원 사이의 신체적, 정신적 또는 재산상 피해를 수반하는 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가정폭력이 무엇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고 보는가? 가정폭력은 다른 범죄에 비해 가정 밖으로 잘 드러나지 않으면서도 지속적으로 반복되기 쉽고 그 순환고리를 끊기도 어려우며 가정 내 가해자 및 피해자, 자녀에 이르기까지 가족구성원 모두의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인 측면에 악영향을 미치며, 모방과 학습을 통하여 세대간에 걸쳐 악순환된다는 데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그러므로 가정폭력과 관련한 문제를 보다 포괄적이고도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데에는 개인을 포함한 가족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가족치료가 효과적이며 필요하다.
해결중심 치료의 예와 이것의 강점은 무엇인가? 해결중심 치료는 인간의 잠재적인 자원, 문제해결능력, 과거의 성공적인 경험, 변화욕구 등을 중요시하며 인간에 대한 긍정적인 가정 즉 모든 내담자는 변화할 수 있는 잠재력과 자원을 가진 자기 삶의 전문가라고 가정하며, 문제의 원인을 규명하기 보다는 내담자의 자원을 활용하면서 문제 해결 방법에 중점을 둠으로써 치료 목적을 성취하는 치료 모델이다. 해결중심의 치료기법들 예를 들면, 간접적 칭찬과 공감, 알고자 하는 자세, 강점의 발견과 확대, 목표도달을 위한 단계별 계획조망 등은 참여자들의 현재와 미래를 체계적으로 구축하도록 돕고, 강점과 장점을 구체적으로 격려하고 유지 확대를 하는데 강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예외질문을 통해 생활속에서 자신의 성공적인 예외를 확장하도록 도우며, 척도질문을 통해서 자신이 바라는 기적으로 가기까지 현재의 단계에서부터 차근차근 단계적인 성공가능성의 구축방안을 모색하도록 함으로써 참여자들의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 그리고 의사소통에 있어서 일치적이 되도록 돕는데 효과적인 모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0)

  1. 강은희, 이현림(2008). 가정폭력 재발방지를 위한 행위자 교정집단 상담이 가해자의 폭력행동,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2), 85-102. 

  2. 강희숙(2006). 사이코드라마가 가정폭력 피해 여성들의 우울과 치료효과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이코드라마학회지, 9(2), 1-11. 

  3. 강희숙(2007). 학대받는 아내의 학대 과정 경험.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5(2), 321-341. 

  4. 고문정(2008). Satir 일치성 척도 개발과 타당화,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공미혜(1993). 아내구타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 여성문제공개 토론회 자료집, 이형자씨 무죄 석방을 위한 공통대책 위원회, 6-11. 

  6. 권진숙(1996). 배우자 학대 부부집단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김갑숙(2003). 가정폭력 피해자녀들의 심리적 복지감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109-120. 

  8. 김경신, 김정란(2000). 가정폭력 가해자 개입 프로그램 실태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8(10), 117-132. 

  9. 김광일(1985). 아내구타에 대한 태도조사. 정신건강연구, 3, 218-234. 

  10. 김광일(1988). 부부 폭력의 임상 실제. 정신건강연구, 9, 한양 대학교 정신건강연구소, 174-183. 

  11. 김광일(1992). 구타당하는 아내의 정신의학적 연구. 가정폭력-그 실상과 대책. 서울: 탐구당. 

  12. 김광일(1994). 구타당하는 아내의 무기력, 자아강도 및 자아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편. 여성연구, 봄호 

  13. 김득성, 김정옥, 송정아(2000).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부부폭력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1-16. 

  14. 김미애(2006). 가정폭력 행위자 집단 개입 프로그램 효과: 집단 구성방식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18(3), 519-546. 

  15. 김병수(1999). 개인 및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아내학대의 인식과 경험.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김선아, 현명선(1999). 가정폭력 여성들을 위한 지지적 집단 프로그램에서의 경험, 정신간호학회지, 8(1), 17-26. 

  17. 김수연, 김득성(1999). 순환모델에 따른 비폭력부부와 폭력부부의 가족기능 비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241-255. 

  18. 김수연, 김득성(2001). 부부폭력과 결혼불안정성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1), 53-62. 

  19. 김아영(1997a).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측정(2), 미간행 연구자료. 

  20. 김아영(1997b).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의 관련변수 연구, 교육심리연구, 11(2), 1-19 

  21. 김아영(1998). 동기 이론의 교육현장 적용 연구와 과제: 자기효능감 이론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2(1), 105-128. 

  22. 김아영, 박인영(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39(1), 95-123. 

  23. 김아영, 차정은(1996). 자기효능감과 측정,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51-64. 

  24. 김양순(2009). 가정폭력 피해 아동과 어머니를 위한 부모-자녀 관계 치료 10세션 모델의 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2(2), 63-78. 

  25. 김연실(2000). 부모의 권위에 따른 완벽주의와 지연행동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김연옥, 박인아(2000). 가정폭력의 유형별 관련성과 아동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5, 103-127. 

  27. 김영애(2006). 인간관계 및 부부관계 개선을 위한 사티어 의사소통 훈련프로그램. 서울: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28. 김예정, 김득성(2006). 가정폭력의 세대간 전달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6), 141-153. 

  29. 김유숙(2003). 놀이를 활용한 이혼가족의 해결중심단기치료 사례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1(2), 77-100. 

  30. 김재엽(1999). 아내구타 피해여성의 우울증 개선을 위한 통일적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사회복지학, 38, 68-99. 

  31. 김재엽(2007). 한국의 가정폭력. 서울: 학지사. 

  32. 김재엽, 이지현, 정윤경(2008). 청소년들의 가정폭력노출 경험이 학교 폭력 가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 20, 31-59. 

  33. 김재엽, 정윤경, 이진석(2008). 부모간 폭력 목격 경험이 학교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과 지지적 사회관계망의 조절 효과, 청소년학연구, 15(4), 89-115. 

  34. 김재엽, 최수찬, 정윤경(2008). 직장-가정갈등과 스트레스가 남편의 아내폭력에 미치는 영향-가정폭력 해위자 교정, 치료 프로그램 참여 남편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1), 121-135. 

  35. 김정란(1999). 대학생의 이성교제 중 폭력과 대처행동.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김정란(2003). 청소년기 자녀의 가정폭력 노출과 심리사회적 부적응-중학생 자녀의 아내학대 목격과 자녀학대 피해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5), 171-180. 

  37. 김지영, 최상진(2004). 아내폭행 원인에 대한 통합적 모델 검즘.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3), 77-95. 

  38. 김혜정, 황경열(2005). 동.서양의 심리치료: 집단미술치료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동서정신과학, 8(2), 117-136. 

  39. 김환(1999). 학업적 꾸물거림에서 실패공포가 과제 제출 행동 지연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노혜련(2003). 가정폭력가해자에 대한 해결중심적 개별상담의 효과가능성에 대한 모색.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1(1), 179-215. 

  41. 박은미(1999). 아동기 학대 및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성인기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초기 성인기 대인관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2. 박재신(1992). 가정내 폭력과 일상생활. 서울: 등불. 

  43. 박재우(1998). 과제의 자아위협도와 완벽주의가 과제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박형원(2004). 가정폭력 노출 아동의 공격행동 감소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3, 103-130. 

  45. 서산 가정폭력상담소(2000). 서산지역 가정폭력 피해자 상담 통계. 

  46. 소병숙, 정혜정(2002). 쉼터거주 아내들의 학대경험과 대처 행동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0(2), 169-197. 

  47. 손정영(1998). 아내학대 원인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8. 송성자(1995). 가족과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49. 송성자(2001). 한국문화와 가족치료. 서울: 법문사. 

  50. 송정아(2000).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Satir 가족치료. 기독교 상담학회지, 81-104. 

  51. 송진희(2008). 집단미술치료가 가정폭력 피해자의 자아존중감 및 KHTP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치료학회지, 8(2), 83-102. 

  52. 서혜석(2005). 자아존중감 및 부부적응 향상을 위한 가정폭력 행위자의 부부집단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Satir 성장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0(11), 25-41. 

  53. 신민섭, 오경자, 홍강의, 김해숙(2004). 가정 폭력이 배우자 및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3(3), 611-636. 

  54. 신영화(2003). 가정폭력에 노출된 성인아이 성향 자녀의 가족에 대한 개입.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1(1), 127-154. 

  55. 신혜섭(2000). 아내구타가정 아동의 행동문제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16, 67-85. 

  56. 심영희(1996). 가부장적 테러리즘의 발생유지기제와 사회적 대책.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창립 40주년 심포지움 논문집, 18-52. 

  57. 안영희(1998). 기혼남녀의 부부폭력 경험과 경험에 관한 연구. 대구 효성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8. 양병한(2005). 자기효능감, 우울 및 불안과 지연경향 간의 관계, 창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논총, 12, 89-110. 

  59. 양혜원(2002). 쉼터 이용 아내구타 노출아동의 문제: 개입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0(1), 25-50. 

  60. 양혜원(2009).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부모역할 향상 프로그램 개발, 가족과 문화, 20(3), 127-160. 

  61. 양혜원, 전영희(2001). 아내폭력 노출이 자녀의 행동 문제에 미 치는 영향. 연세사회복지연구, 6.7통합본, 127-152. 

  62. 유계숙, 장혜경, 전혜정, 김윤정, 민성혜(2009). 가족정책론. 서울: 시그마프레스. 

  63. 유희정(1999). 비행청소년 및 부모의 의사소통 유형과 행동 특성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4. 이경은, 장덕희(2000). 가정폭력 경험이 청소년의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 연구, 7(1), 95-123. 

  65. 이인수, 최대헌, 최명구(2005). 아동학대 및 가정폭력행위자 집단교육프로그램개발-사이코드라마를 적용하여-, 아동교육, 14(2), 179-197. 

  66. 이은주(2004). 가정폭력 행위자의 폭력행동 중단을 위한 한국적 집단개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4, 295-327. 

  67. 이은주, 최외선(2005). 미술치료가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12(1), 255-279. 

  68. 이종원, 옥선화, 남영주(2005). 아내폭력의 실태와 관련변인들 -충남 서산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3(8), 141-159. 

  69. 장덕희(2001). 가정폭력 경험자녀의 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8(2), 229-258. 

  70. 장수미(2004). 음주문제를 가진 가정폭력 가해자 폭력행동감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한국사회복지학, 56(1), 103-126. 

  71. 장희숙, 허남순, 김유순(2001). 구타당하는 여성들의 대응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한국가족사회복지학, 7, 231-254. 

  72. 전병제(1974). 자아개념 측정 가능성에 관한 연구. 연세논총, 11 

  73. 전형미(1989). 남편의 스트레스가 아내학대에 미치는 영향.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4. 정남희, 최외선(2003). 만다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0(2), 201-230. 

  75. 정문자, 이종원(2003). 원가족변인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3), 147-164. 

  76. 정민자, 엄선필(2002). 가정폭력피해자들의 결혼과 결혼지속과정에 관한 생애과정적 사례연구-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의 이용경험이 있는 여성피해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3), 49-61. 

  77. 정서영(1995). 부부간의 심리적.신체적 학대, 대처양식과 개인의 적응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8. 정은, 이경욱(2005). 가정폭력 피해 모녀에 대한 해결중심 가족치료 사례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 13(1), 1-29. 

  79. 정현숙, 유계숙(2004). 가족관계. 서울: 도서출판 신정. 

  80. 정혜정(2003). 대학생의 가정폭력 경험이 데이팅 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1(3), 73-91. 

  81. 조미숙(1999). 가정폭력 목격이 자녀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4, 296-326. 

  82. 조미숙(2004). 가정폭력 수강명령 대상자를 위한 RET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 임상사회사업연구, 1(1), 23-40. 

  83. 최규련(1994). 가족체계유형과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140-152. 

  84. 최규련(1996). 한국에서의 부부간 폭력에 대한 대책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창간호, 103-130. 

  85. 최규련, 유은희, 홍숙자, 정혜정(1999). 가정폭력예방 및 대처 프로그램 모형개발-배우자 학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7(2), 159-173. 

  86. 한경혜, 김영희(1999). 부모의 청소년 자녀에 대한 신체적 폭력실태와 관련요인-개인과 가족관련 특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7(2), 27-39. 

  87.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춘천지부(2000). 가정폭력관련상담원 교육. 춘천: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춘천지부. 

  88. 한국여성개발원(1993). 한국가정폭력의 예방과 대책에 관한 연구. 

  89. 한국여성개발원(2000). 여성에 대한 폭력 관련 서비스 연계 방안.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90. 한국여성의 전화(1995). 여성상담사례집. 

  91. 한국형사정책연구원(1992). 가정폭력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92. 한미향(1999). 부부의 자아분화와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방안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3. 홍승일, 현명호(2005). 지연경향성과 심리적 불편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대처방식, 과제의 자아위협도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4(1), 259-277. 

  94. 허남순(1993). 아내구타에 대한 대책 및 치료기법에 관한 연구. 한림대 사회복지연구소편. 비교사회복지, 2, 277-320. 

  95. 허남순, 장희숙, 김유순(2000). 아내구타에 대한 경찰의 태도 및 개입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5). 

  96. 현미열(2008). 가정폭력 행위자에게 적용한 인지행동 집단상담의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7(2), 109-117. 

  97. Alsaker, K., Moen, B. E., Nortvedt, M. W., & Baste, V.(2006). Low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abused women, Quality of Life Research, 15(6), 959-965. 

  98. Anderson, K. L.(1997). Gender, status, and domestic violence: An integration of feminist and family violence approach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9, 655-669. 

  99. Atkinson, M. P., Greenstein, T. N., & Lang, M. M. (2005). For women, breadwinning can be dangerous: Gendered resource theory and wife abus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7(5), 1137-1148. 

  100. Ball, P., & Wyman E.(1978). Battered wives and powerlessness. Victimology, 2, 542-552. 

  101. Bandura, A.(1999). 자기효능감과 인간행동: 이론적 기초와 발달적 분석. 김의철, 박영신, 양계인 (역). 서울: 교육과학사. (1997년 원저발간) 

  102. Beck, A. T., Epsteinn, N., Brown, G., & Steer, R. A. (1989). An inventory for measuring clinical anxiety: Psychometric properties. Journal of counsulting & Clinical Psychology, 56, 893-897. 

  103. Belsky, J.(1980). Child maltreatment: An ecological integration. American Psychologist, 35, 320-335. 

  104. Campbell, J. J., & Humphrey(1984). Nursing Care of Victims of Family Violence, Virginia:Reston Publishing Company. 

  105. Davis, P. T., & Cummings, E. M.(1994). Marital conflict and child adjustment: An emotional security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116, 387-411. 

  106. DeMaris, A., Benson, M. L., Hill, T., & Van Wyk, J. (2003). Distal and proximal factors in domestic violence: A test of an integrated model.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5, 652-667. 

  107. Doumas, D., Margolin, G., & John, R. S.(1994).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ggression across three generations. Journal of Family Violence, 9, 157-175. 

  108. Egeland, B.(1993). A history of abuse is a major risk factor for abusing the next generation. IN R. Gelles & D. R. Loseke (Eds.), Current controversies of family violence, 197-208. London; Sage. 

  109. Felson, R. B.(1996). Big people hit little people: Sex difference in psysical power and interpersonal violence. Criminology, 34, 433-452. 

  110. Fincham, F. D., Grych, J. H., & Osborne, L. N.(1994). Does marital conflict cause child maladjustment? Directions and challenges for longitudinal research,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8, 128-140. 

  111. Graham-bermann, S., & Levendosky, A. A.(1998). Social functioning of preschool-age children whose mothers are emotionally and physically abused. Journal of Emotion and Abuse, 1, 59-84. 

  112. Heyman, R. E., & Slep, A. M. S.(2002). Do child abuse and interparental violence lead to adulthood family violen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4(4), 864-870. 

  113. Hiberman, E.(1980). The Wife-beater's wife reconsidered.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7, 1336-1347. 

  114. Holden, G. W., & Ritchie, K. L.(1991). Linking extreme marital discored, child rearing, and child behavior problems: Evidence from battered women. Child Development, 62, 311-327. 

  115. Hotaling, G. T., & Sugarman, D. B.(1986). An analysis of risk factors in husband to wife violence: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Violence and Victims, 1, 101-124. 

  116. Infante, D. A., Chandler, T. A., & Rudd, J. E.(1989). Test of an argumentative skill deficiency model of interspousal violence. Communication Monographs, 86, 163-177. 

  117. Kaukinen, C.(2004). Status compatibility, Psysical violence, and emotional abuse in intimate relationship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2), 452-471. 

  118. Kolbo, J. R., Balkely, E. H., & Engleman, D.(1996). Children who witness domestic violence: A review of empirical literature.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1, 281-293. 

  119. Mckenry, P. C., Julian, T. W., & Gavazzi, S. M.(1995). Toward a bio-psychosocial model of domestic violen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7, 307-320. 

  120. Melzer, S. A.(2002). Gender, work, and intimate violence: Men's occupational violence spillover and compensatory violenc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4, 820-832. 

  121. Migliaccio, T. A.(2002). Abused husbands: A narrative analysis, Journal of Family Issues, 23, 26-52. 

  122. O'Keefe, M.(1998). Factors mediating the link between witnessing interpersonal violence and dating violence. Journal of Family Violence, 13(1), 39-57. 

  123. Onyskiw, J. E., & Hayduk, L. A.(2001). Underlying children's adjustment in families characterized by physical aggression, Family Relations, 50(4), 376-385. 

  124. Parish, W. L., Wang, T., Laumann, E. O., Pan, S., & Luo Y.(2004).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china: National prevalence, risk factors and associated health problems, International Family Planning Prespectives, 30(4), 174-181. 

  125. Perry-Jenkins, M., Repetti, R. L., & Crouter, A. C. (2000). Work and family in the 1990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2, 981-998. 

  126. Rosenberg, M.(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7. Satir, V.(1978). Your Many Faces. Millbrae, CA:Celestial Arts. 

  128. Scott, P.(1974). Battered wives.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29, 433-441. 

  129. Shin, H. L.(1995). Violence and intimacy: Risk makers and predictors of wife abuse among Korean immigrant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130. Solomon, L. J., & Rothblum, E. D.(1984). Academic procrastination: Frequency and cognitive-behavioral correlat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4), 503-509. 

  131. Stith, S. M., Rosen, K. H., Middleton, K. A., Busch, A. L., Lundeberg, K., & Carlton, R. P.(2000).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spouse abuse: A meta-analysis. Journal of Marriage & the Family, 62, 640-654. 

  132. Straus, M.(1978). Wife beating. Vicimology, 2, 443-458. 

  133. Straus, M. A., & Gelles, R. J.(1990). How violent are american families? Estmates from the national family violence resurvey and other studies. in M. A. Straus & R. J. Gelles (Eds.), Psysical violence in american families? Risk factors and adaptations to violence in 8,145 families, 95-112.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134. Tontodonato, P., & Crew, B. K.(1992). Dating violence, social learning theory, and gender: A multivariate analysis. Violence & Victims, 7, 3-14. 

  135. Umberson, D. J., Williams, K. L., & Anderson, K. L. (2002). Violent behavior: Measure of emotional upset?,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3(2), 189-206. 

  136. Walker, L.(1978). The Battered woman, New York: Harper & Row. 

  137. Widom, C. S., & Maxfield, M. G.(2001). An update on the "Cycly of violence." research in brief. Washington, DC: National Institute Justice. 

  138. Wolak, J., & Finkelor, D.(1998). Children exposed to partner violence. In J. L. Jasinski.,& L. M. Williams (Eds.), Partner violence: A comprehensive review of 20 years of research, 73-111. Thousand Oaks, CA:Sage. 

  139. Yount, K. M.(2005). Resources, family organization, and domestic violence against married women in minya, egyp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7(3), 579-596. 

  140. Zimmerman, B. J., Bandura, A., & Martinez-Pons, M.(1992). Self-motivation for academic attainment: The role of self-efficacy beliefs and personal goal-sett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9, 663-19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