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정생활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 내재화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Family Violence Exposure on School Violence among Adolescents: Mediating Effects of Life Satisfaction, School Life Satisfaction, & Internalizing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3 no.2, 2014년, pp.269 - 279  

김정란 (광주여성재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violence exposure and school violence,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family life satisfacti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nternalizing on those relationship and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serv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과 학교폭력 가해행동과의 관계성을 밝히고 가정생활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 내재화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내재화 및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대한 효율적인 개입과 학교폭력 예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모형은 [Figure 1]과 같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가정생활만족도, 학교생활 만족도, 내재화문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광주지역 남녀 중·고등학생 4,773명의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학교폭력 가해행동과 관련 있는 변인들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었으나, 청소년들의 생활영역을 중심으로 매개경로를 검증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가정폭력 노출과 학교폭력 가해행동을 매개하는 생활영역 관련변인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 따라서 학교폭력 가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논의되고 있는 가정폭력 경험이 청소년의 학교 폭력 가해에 어떠한 구조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청소년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에 대해 가정생활만족도와 학교생활 만족도, 내재화문제가 어떠한 매개효과를 갖는지에 대하여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 측정모델의 타당성 평가에 앞서 각 측정변인들의 내적 일관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Table 1]과 같이 가정폭력 노출, 가정생활만족도, 학교생활만족도, 내재화, 학교폭력의 Cronbach’s α는 .

가설 설정

  • 세 번째 경로로 내재화 문제를 가정할 수 있다. 가정폭력 노출 청소년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청소년의 적응문제를 정서문제, 행동문제, 사회성 문제 등으로 나누어 고찰해 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의 기본적 인성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인간의 기본적 인성은 가족관계를 통하여 형성되어지고 발달해 가기 때문에 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많은 상황들이 가족원 개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중 가정폭력과 같은 부정적 사건들은 청소년들에게 혼란을 겪게 하고 심한 정서변화를 일으켜, 부적응 문제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가정폭력과 같은 부정적 사건들은 청소년들에게 어떤 것의 원인이 될 수 있는가? 인간의 기본적 인성은 가족관계를 통하여 형성되어지고 발달해 가기 때문에 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많은 상황들이 가족원 개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중 가정폭력과 같은 부정적 사건들은 청소년들에게 혼란을 겪게 하고 심한 정서변화를 일으켜, 부적응 문제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실제 가정 내에서 직접적으로 폭력을 경험했거나 간접적 으로 폭력을 목격한 자녀의 경우 심리사회적인 적응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실제 가정폭력을 경험했거나 간접적으로 폭력을 목격한 자녀에게 어떤 어려움이 나타나는가? 이 중 가정폭력과 같은 부정적 사건들은 청소년들에게 혼란을 겪게 하고 심한 정서변화를 일으켜, 부적응 문제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실제 가정 내에서 직접적으로 폭력을 경험했거나 간접적 으로 폭력을 목격한 자녀의 경우 심리사회적인 적응에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부모로부터 학대를 경험하거나 부모 간 폭력을 목격한 경험은 청소년기 자녀의 우울, 불안, 공격성 등을 증가시키고,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oivin et al., 2012; Cheong & Seo, 2007; Cho & Cho, 2011; Kim, 2003;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ek, M. Y.(2010).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empathy and adolescents'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Master thesis, Keimyung University. 

  2. Boivin, S., lavoie, F., Hebert, M., & Gagne, M. H.(2012). Past victimization and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in adolescence: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al distress and hostility.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7(4), 662-684. 

  3. Cheong, K. W. & Seo, H. S.(2007). The effects of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on adolescents' delinquency and aggression: exposure type and gender difference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4(5), 49-73. 

  4. Cho, M. S.(2003). A comparative study of maladjustment of sons and daughters exposed to wife battering. Yonsei social welfare review, 7(1), 1-24. 

  5. Cho, C. B. & Cho, N. H.(2011). The effect of exposed experience of adolescents to family violence on committing school violenc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4), 75-102. 

  6. Choi, H. J.(2006). Study on the influence of school violence upon the incline of teenager offender and victim. Master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7. Edleson, J. L.(1999). Children's witnessing of adult domestic violence,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4, 839-870. 

  8. Fantuzzo, J. W., Depaola, L. M., Lambert, L., Martino, T., Anderson, G., & Sutton, S.(1991). Effects of interparental violence on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 competencies of young childr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9(2), 258-265. 

  9. Hair, J. F. Jr.,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C.(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Prentice-Hall International. 

  10. Hughes, H. M., Parkinson, D., & Vargo, M.(1989). Witnessing spouse abuse and experiencing abuse: A "double whammy?" Journal of Family Violence, 4(2), 197-209. 

  11. Kim, H. M., Lee, S. J., Seo, H. J., Choi, E. J., Kim, E. J., & Moon, S. H.(2007). The effects of exposure to family violence on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of youth. Studies on Korean Youth, 18(1), 53-77. 

  12. Kim, J. R. & Kim, K. S.(2004). The influence of family functioning on the exposure of domestic violence in childre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3(5), 691-699. 

  13. Kim, J. R.(2003).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 children's wife abuse witnessing and child abuse victim: Adolescent children's domestic violence exposure & psycho-social maladjustment.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1(5), 171-180. 

  14. Kim, S. J.(2001).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the stressors from school on problem behavior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15. Kim, S. S.(2011). A study on adolescents'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problems. Master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16. Kwon, Y. O. & Lee, C. D.(1999). A validation study on the children'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scal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18(1), 65-80. 

  17. Lee, H. S. & Lim, J. H.(2011). Structural equation models analysis & AMOS 18.0/19.0. Seoul: Gyphyunjun. 

  18. Lee, S. C.(2012).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enagers'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and exercising school violence. Forum for Youth Culture, 29, 116-135. 

  19. Lee, S. N.(2005). The effects of characteristics of family structures on adolescent'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s. Master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20. Lim. S. Y.(2005). The impact of perceived family environments on school adjust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aster thesis, Daegu University. 

  21. Maas, C., Herrenkohl, T. I., & Sousa, C.(2008). Review of research on child maltreatment and violence in youth. Trauma Violence and Abuse, 9(1), 56-67. 

  22. Margolin, G.(1998). Effects of witnessing violence on children. In P. K. Trickett, and C. J. Schellenbach(Eds.), Violence against children in the family and the community. Washington, DC: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3.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Republic of Korea(2011). Report on 2011 general survey of youth. Seoul. 

  24.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2011). Analysis of children.youth living status By family type and research on countermeasures-focused on children.youth in family with one parent. Seoul. 

  25. O'Keefe, M.(1994). Racial/ethnic differences among battered women & their children,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9, 63-78. 

  26. Oh, Y. J.(2010). Predictors of developmental trajectory change and clustering related to adolescents' internalizing &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Doctoral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7. Park. J. H.(2012).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external and internal developmental assets in the relations between domestic violence exposure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8. Shin, H. S. & Khu, B. Y.(2002). Students at high risk of dropping out of school: Do they differ from school dropouts and low-risk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6(3), 121-145. 

  29. Slovak, K., Carlson, K., & Helm, L.(2007). The influence of family violence on youth attitudes.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 Journal, 24(1), 77-99. 

  30. Straus, M. A., Hamby, S. L., Boney-McCoy, S., Sugarman, D. B.(1996). 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s(CTS2). Journal of Family Issues, 17(3), 283-316. 

  31. Teitelman, A. M., Ratcliffe, S. J., Mcdonald, C. C., Brawner, B. M., & Sullivan, C. M.(2011).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and non-physical forms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depression among urban minority adolescents females. Child And Adolescent Mental Heath, 16(2), 92-100. 

  32. Wolfe, D. A., Jaffe, P., Wilson, S. K., & Zak, L.(1985). Children of battered women: The relation of child behavior to family violence & maternal stress, Journal of Consulting & Clinical Psychology, 53, 657-665. 

  33. Yang, H. W. & Jeon, M. H.(2001). Focused on children's cognitive appraisal to interparental conflict: The Influence of exposure to domestic violence on children's behavior. Yonsei social welfare review, 6, 127-152. 

  34. Yen, C. F., Ko, C. H., Yen, J. Y., Tang, T. C., Chang, Y. P., & Chung, C. P.(2010). Internalizing andexternalizing problems in adolescent aggression perpetrators, victims, and perpetrator-victims. Comprehensive Psychiatry, 51(1), 42 - 4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